•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와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42초

유연성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골관통식 봉합 - 동물 실험 및 예비 임상 결과 보고 -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for Bankart Lesion with a Flexible Drill Device - An Experimental and Preliminary Clinical Report -)

  • 박진수;원예연;유정한;박용욱;노규철;정국진;김홍균;황지효;이용범;서일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72-78
    • /
    • 2010
  • 목적: 견관절의 Bankart 병변에 대하여서 관절경적 수술하에서도 골경유 봉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골 천공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동물 실험 및 임상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유연성 천공기 세트는 유연성 천공기와 유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연성 천공기는 49개의 미세강선들이 단일 강선 (직경 1.2 mm)으로 꼬인 구조로 이루어져 유연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연한 강선의 한 쪽 끝에는 천공기 (직경 1.2 mm)가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도관은 외경 3.0 mm, 내경 2.0 mm의 원통형 금속 도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쪽 끝은 30도 정도 굴곡되어 있다. 기기의 내구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돼지의 견갑골 관절와에 골 천공을 실시하는 실험을 30회 이상 실시하였다. 유연성 강선 부위의 기계적 파단이나 골 천공의 실패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적 견관절 관절경 술식대로 견관절의 후방 입구 및 전 상방, 전 후방 입구들을 확보한 후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병변이 확인이 되면 면도기를 이용하여 견갑와 내측면의 변연 절제를 실시하여 골 출혈을 유도한다. 이후 관절경을 전 상방 입구로 이전 시키고, 후방 입구를 통하여서 유연성 골천공기 세트의 유도 강관을 삽입하는데 유도 강관의 끝이 견갑와연에서 약 5 mm 정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유도강관 내로 유연성 천공기를 삽입한 후 구동기를 이용하여서 견갑와의 골 천공을 실시한다. 골 천공 후에는 유연성 천공기만 유도강관에서 제거한 후에 유도 강관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천공된 골구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봉합 갈고리를 이용하여 관절와순에 유도봉합사를 통과시킨 후에 이 유도봉합사에 골 천공구를 통과한 봉합사를 끼워서 관절완순을 통과하도록 한 후 활주 결찰을 실시하여 골 관통 봉합을 이루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견갑와의 2시, 4시 방향에 골 천공을 시행하여 견갑와순의 봉합을 실시한다. 결과: 외상성 견관절 탈구 환자 5예에서 유연성 골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수술 도중 또는 수술후의 신경이나 혈관 손상 등의 문제점이나 합병증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기 자체의 문제들도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 6개월간의 추시 결과 상에서는 재탈구 등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유연성 골 천공기를 사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시 관절경적 수술이면서도 골 관통식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와순의 부착면적의 증대 효과 뿐 아니라 손쉬운 활주 결찰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 경 관절와 봉합술과 관절낭 축화술을 동시에 사용한 군과 관절낭 축화술을 사용한 군의 비교 - (Arthroscopic Treatment for Multidirectional Shoulder Instability - Comparison between Thermal Capsulorrhaphy and Transglenoid Suture with Thermal Capsulorrhaphy -)

  • 이광진;김경천;신현대;김영모;우세민;송호섭;강태환;변기용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2호
    • /
    • pp.162-168
    • /
    • 2006
  •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ransglenoid suture with thermal capsulorrhaphy and thermal capsulorrhaphy on multidirectional shoulder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September 2001, 23 patients who received the artrhoscopic treatment were the subjects and follow up period were at least 2 years. Each were subdivided as Group A(7 cases), which took transglenoid suture with thermal capulorrhaphy and Group B(16 cases), who took only thermal capsulorrhaphy.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Rowe score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After operation according to Rowe score 4(57.1%) were excellent, 1(14.3%) were good and 2(28.6%) were fair in the Group A. for Group B 6(37.5%) were excellent, 2(12.5%) were good, 5(31.3%) were fair and 3(18.8%) were poor. Shoulder instability was recurred in 1(14.2%) case of Group A and 8(50%) cases of Group B during follow up period. Conclusion: Thermal capsulorrhaphy is thought to be a good adjuvent method, if it done with anterior capsular shift by transglenoid suture in multidirectional shoulder instability.

견갑골 극관절와 결절종의 관절경하 감압술 (Arthroscopic Decompression of Spinoglenoid Ganglion Cyst)

  • 황태혁;왕태현;조형래;김근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98
    • /
    • 2011
  • 목적: 견갑골 극관절와 결절종에 대한 관절경하 감압술의 술기와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견관절 극관절와 결절종에 대해 관절경하 감압술을 시행한 8예(남자 7명, 여자 1명; 평균 연령 40.6세; 범위 21~61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평균 6.4개월(범위: 3~8개월)가량 지속된 환측 견관절의 외회전 근력 약화와 모호한 동통이었다. 근전도 검사 상 총 8예중 5예에서 견갑상 신경의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전 예에서 평균 2.6 cm(범위 1.8~3.6 cm)의 극관절와 결절종이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 상 모든 예에서 후상방 관절순의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관절경하 후상방 관절낭 절개술을 통해 감압술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와 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Constant 점수 및 단순 견관절 검사를 포함한 임상적 점수는 최종 추시 상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수술과 관련된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근전도 검사 상 이상 소견을 보인 예를 포함한 전 예에서 등속성 근력 측정 상 외회전 근력의 회복소견을 보였다. 전 예에서 술 후 평균 5.2개월(범위: 3~12개월)에 촬영한 자기공명영 검사에서 결절종의 소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평균 18개월(범위: 12~26개월)의 추시기간 중 재발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갑골 극관절와 결절종에서 관절경하 감압술을 시행하여 유의한 기능적 회복을 얻었으며 전 예에서 술 후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결절종의 소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관절경하 감압술은 동반된 관절와 순 병변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며 이를 통해 결절종의 재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Arthroscopic Partial Repairs in Massive Rotator Cuff Tears)

  • 유재철;고경환;우경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50-158
    • /
    • 2009
  • 목적: 거대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이나 회전근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봉합은 불가능하여도 부분 봉합 또는 “force couple repair”를 통해서도 통증 및 기능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근개의 부분봉합술만을 시행한 환자들에서의 임상결과와 방사선학적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에서 2008년 2월까지 거대 범위에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해 부분 봉합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7.3개월 (15~46)이었고 수술 시 평균 연령은 66.6세 (57~76)였으며 성별은 남자가 7명, 여자가 9명 이었다.동통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수술 전 후에 비교하였으며 견관절 기능 평가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와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을 통해 시행하였다. 술 전 및 술 후에 견관절의 방사선검사를 통해 견봉-상완골 간격 및 퇴행성 변화의 진행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4.4 ($\pm2.50$)에서 2.1 ($\pm2.26$)로 감소하였고 (p=0.0029) 기능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46.9 ($\pm16.64$)에서 70.0 ($\pm22.80$)로 호전된 양상 관찰되었다 (p=0.0023). 견관절 기능 평가인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9.0 ($\pm10.80$)에서 80.3 ($\pm16.78$)로 증가하였고 (p<0.0001), KSS 점수는 술 후 평균 81.9 ($\pm16.74$)로 관찰되었다. 술 전 6.6 cm ($\pm1.74$)의 견봉-상완골 간격은 술 후 6.2 cm ($\pm1.69$)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p=0.3874). Hamada classification을 이용한 견관절의 퇴행성 변화 역시 술 전에 비해 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p=0.2663). 만족도에 있어 3명의 환자에서 매우 좋음, 9명의 환자에서 좋음, 3명의 환자가 보통, 그리고 1명의 환자에서 불량을 표시하였다. 또한 추시 기간 동안 추가적인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완전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 대해서 부분 봉합술 (force couple repair)를 통해서 술 후 평균 2.3년 (15~46개월)에 좋은 임상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견봉-상완골 간격도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으며 관절와 상완관절의 퇴행성 변화 역시 통계학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Supine 자세에서 Shoulder oblique촬영시 Tube angle 변화에 따른 Shoulder joint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Shoulder Joint's Image with the Changed Tube Angle of the Shoulder Oblique Projection in Supine Position)

  • 서재현;최남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2호
    • /
    • pp.109-114
    • /
    • 2008
  • 어깨의 병변을 관찰하는 단순 방사선촬영법들 중 견관절을 보기 위한 대표적인 검사법으로 Shoulder oblique법(Grashey법)이 있다. 이 검사는 견관절의 정면상을 볼 수 있는 검사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할 때는 몸의 한쪽 면을 거상시키는 자세를 취하여 검사를 시행한다. 하지만 몸이 불편하거나 수술직후의 환자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견관절이 잘 묘출되는 영상을 얻기가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면서 견관절이 잘 나타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누운 자세에서 몸의 한쪽면을 거상시키는 자세를 취하는 대신에 누운 자세를 취한상태에서 X-선관의 각도를 Medio-Lateral(몸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방향으로 변화시켜 영상을 획득하였다. 총 15명(남: 9, 여: 6)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획득한 영상은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 모니터에서 전문가 4명(정형외과 전문의 2명, 방사선과 전문의 2명)이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X-선관의 각도를 Medio-Lateral로 변화시킨 정도가 $25^{\circ}$인 영상에서는 상완골두와 견갑골이 겹쳐보였으며, $30^{\circ}$$35^{\circ}$인 영상에서는 상완골두와 견갑골이 분리되어 보였고, $40^{\circ}$인 영상에서는 상완골두와 견갑골이 분리되어 보였으나 영상이 많이 왜곡되어 나타났다. 영상의 평가점수는 각각 $25^{\circ}1.20{\pm}0.414$ (평균$\pm$표준편차), $30^{\circ}2.47{\pm}0.516$, $35^{\circ}2.87{\pm}0.352$, $40^{\circ}2.27{\pm}0.458$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왜곡의 정도는 $30^{\circ}$에서 적게 나타났고 $40^{\circ}$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누운 자세를 취한상태에서 X선관의 각도를 Medio-Lateral 방향으로 $30{\sim}35^{\circ}$ 주는 경우 가장 좋은 견관절 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이 방법이 Shoulder Oblique법보다 상완골두의 왜곡을 더 발생시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몸이 불편한 환자들의 견관절을 검사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응급환자의 경우 환자의 체위변화 없이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체위변화가 없는 이 촬영법은 환자의 추적 검사 시에도 최적의 동일 X선관의 각도를 적용하기 때문에 이전검사와 거의 같은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영상의 비교에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상 성인과 SLAP 병변이 있는 환자의 견관절 회전운동 (Rotational Motion of Shoulder in Normal Volunteer and SLAP Lesions)

  • 신동은;송상준;박형근;김재형;남기식;김재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18
    • /
    • 2004
  • 목적: 정상 성인과 상부관절와순 병변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내, 외회전 운동각을 측정하고 이들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견관절경술을 통해 상부관절와순 병변으로 확인 된 38례(제1군)와 대조군으로는 40명(제2군)의 젊은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중 기록한 사진과 녹화된 동영상 그리고 관절 운동에 대해 분석 하였다. 관절 운동의 측정 방법은 1군은 마취 후에 앙와위 상태에서 견갑골 고정하에 외전 90도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내회전과 외회전의 각도를 각각 측정 하였고 2군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동적 관절 운동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Two sample T-test와 Wisconsin signed ranks test로 통계학적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제1군과 2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1군의 관절 운동 범위는 내회전평균 50도, 외회전 평균 터도, 제2군의 관절 운동 범위는 내회전 평균 7「도, 외회전 평균90도 이상으로 양 군간에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내회전 : p(0.001, 외회전 ; p(0.001).결론: 상부관절와순 병변이 있는 환자의 수동적 외회전 및 내회전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으며 이는 상부관절와순 병변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에서 생긴 견갑골 관절와 골절편의 상방 전위에 의한 견관절 충돌 운동 장애 - 증례 보고 - (Shoulder Impingement Caused by Superiorly Displaced Glenoid Fracture Fragment at a Boy - A Case Report -)

  • 전경일;박경진;김용민;김동수;최의성;손현철;최현식;박지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2호
    • /
    • pp.231-234
    • /
    • 2006
  • We experienced a case of impingement caused by a bone fragment which was impacted between acromion and humeral head in a child. The bone fragment came from antero-inferior glenoid fracture.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and stability were obtained by arthroscopic bone fragment removal. In case that bone fragment is located in the upper shoulder joint and results in impingement, We must consider not only greater tubercle fracture but also glenoid fracture.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assist in the preoperative diagnosis.

단독 후외측 견봉 골절에 대한 내고정술 - 증례 보고 - (Internal Fixation for Isolated Posterolateral Fracture of the Acromion - A Case Report -)

  • 권영호;정구희;차상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62-65
    • /
    • 2008
  • 견갑골의 견봉에서 일어나는 골절은 오구돌기, 관절와와 같은 다른 견갑골 부위의 골절과 동반되거나 견봉쇄골 관절 탈구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이들 대부분의 골절은 전위가 많지 않아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견갑부 주위 골절의 동반 없이 단독으로 견봉 후외측부위에 골절 및 전위가 있는 환자에서 유관나사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으로 좋은 기능적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견봉 골절 내고정을 위한 술기적 특징 및 문헌적 고찰을 보고하고자 한다.

극상건 석회화 건염에 대한 맹검 주사요법과 초음파하 주사요법 (Blind and Ultrasonography-guided Injection Therapy for Calcific Tendinitis of Supraspinatus)

  • 문영래;남기영;노경환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6-90
    • /
    • 2008
  • 서론: 견관절의 극상건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에 대한 맹검 주사요법과 초음파하 주사요법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증상이 있는 27세에서 69세 사이의 견관절 석회화 건염 36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석회화 부위에 21-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다발성 천공 후 주변부에 증식요법 주사제를 주입하였다. 19명은 맹검하에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2.2세(27~64세)이었고, 17명은 초음파하에서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49.0세(31~69세)였다. 평가항목으로 통증에 대한 시각점수척도(Visual analogue scale)와 견관절 운동범위(굴곡, 외전, 외회전)를 측정하였다. 결과: 시술전 두 군간의 통증에 대한 시각점수척도와 운동범위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시술후 두 군 모두 시술전과 비교시 통증에 대한 시각점수척도와 운동범위는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으며, 시술후 통증에 대한 시각점수척도 및 운동범위의 호전 정도는 맹검 시술군과 초음파하 시술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통증에 대한 시각점수척도:p=0.001, 굴곡:p=0.000, 외전: p=0.000, 외회전: p=0.016). 결론: 극상건의 석회화 건염에 대한 초음파하에서 시행되는 주사요법은 맹검하에서 시행하는 것보다 더 양호한 결과를 보여, 시술을 시행함에 있어 초음파의 사용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상 후 유착성 견관절낭염 환자에서 관절가동술을 병행한 슬링 운동치료의 효과 :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with Combined Exercise Therapy of Sling on Post-traumatic Adhesive Capsulitis Patient: A Case Report)

  • 권원안;김연정;권혜미;김은지;박우경;신혜원;오정익;우정희;이다혜;이은정;정은주;정재영;정현경;최보영;허은영;이재홍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2호
    • /
    • pp.9-16
    • /
    • 2012
  • 본 연구는 43세 남성 환자의 관절가동술과 슬링을 이용한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치료사례를 조사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통증장애지수(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측정과 어깨관절의 굽힘(flexion), 벌림(abduction), 바깥돌림(external rotation),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에 대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견관절 주위에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 주사 1회, 약물치료를 병행하며 주 3회 8주간 보존적인 물리치료인 온습포(hot pack)와 간섭파(ICT), 관절가동술, 그리고 슬링을 이용한 운동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관절가동술과 슬링운동치료의 적용이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통증을 줄이고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