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격차해소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35초

맞춤형 ICT역량강화 콘텐츠개발을 위한 정보화 실태조사 - 캄보디아 라이프대학을 중심으로 (Survey on Informatization level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tents enhancing ICT capability - focused on Life University in Cambodia)

  • 박화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71-477
    • /
    • 2016
  • 인프라가 열악한 개도국에서의 ICT역량 강화교육은 ICT 격차해소 및 경제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가의 지리적, 산업적인 면에서 다양한 정보화 수준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므로, 일률적이며 일방적인 ICT 역량강화교육보다는 각 국가의 다양한 산업수요현황에 따라 국가별 맞춤형 교육 콘텐츠 설계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적인 현황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중 캄보디아 라이프대학교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현지 ICT 기술수준 및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별 산업과 연계된 과목을 발굴하며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정책등을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섬 지역의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of an Island)

  • 노순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38-444
    • /
    • 2005
  • 우리나라 정보통신 이용현황은 2004년 6월말 기준 CDMA방식을 이용하는 이동전화 가입자는 약 3,601만, ADSL 방식 등을 이용하는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약 1,161만명으로 급속히 발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통신기술(In .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과 이용인구의 비약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농어촌 및 섬에는 지형적, 경제적 이유로 대도시와의 정보격차가 현저하게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형적, 경제적인 원인으로 인해 정보접근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소외계층이 많이 존재하는 섬 지역에 중점을 두어 정보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살펴보고 섬 지역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7-123
    • /
    • 2011
  • 장애인들은 오랫동안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소외되어 왔다.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해소라는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자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야 할 것이며, 장애유형별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를 창출하고 그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 및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보건복지부 장애인 통계 및 실태조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장애인의 장애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평생학습활동의 성찰과 향방 (Reflection and Direction of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Public Libraries of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66
    • /
    • 2006
  •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센터와 게이트웨이로서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개인과 집단에게 평생학습, 문화활동, 정보해득력 등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당위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평생학습활동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지향성을 모색하였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은 핵심역량과 평생학습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정보해득력을 제고시키는 프로그램을 개설하며, 특히 소외계층인 장애인과 노령자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평생학습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해야 한다.

  • PDF

고령층 정보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Blended Learn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 Model of Reducing Digital Divide for the Silver Age)

  • 김기혁;안귀임;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4-337
    • /
    • 2012
  • 우리나라 고령층 정보화 교육은 1999년부터 시작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정보화 수준은 기초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점으로는 정보화 교육이란 다른 일반적인 교육과 달리 고령층에게는 일반적인 교육 방법으로는 높은 수준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교수자간에 연계할 수 있는 학습방법과 Blended Learning을 고령층 정보화교육에 접목시켜 변화 해 온 8여년간 고령층 정보화 교육의 수준 향샹된 연구 결과를 나타내보기로 한다.

  • PDF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위한 학습콘텐츠 추천 시스템 설계 (Learning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 강윤희;강명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0-352
    • /
    • 2016
  • 국내외적으로 스마트러닝은 자기주도형 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모델을 통해 기존 학습과 비교하여 높은 학습 성과를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학부모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과 자료 활용 능력이 일반국민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정보격차로 인해 기존의 교육 콘텐츠의 효과적 활용은 제약점을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지원체제의 주요한 요구사항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문화가정 맞춤형 학습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설계를 기술한다.

장애인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방안 (A Study on Plan to revitalize IT Education for the Disabled' QOLT(Quality of Life Technology))

  • 배기태;윤혁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65-26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화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고 삶의 질 차이가 벌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 방안을 정보화교육 강사의 역량 중심으로 고찰해보고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차원에서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이용을 보장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장애인 정보화 교육장 운영 합리화 방안에 대한 환경을 마련하였으나 실제 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화 교육 강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실효성이 높지 않은 측면이 있다. 장애인 정보화 교육 강사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 교육 및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정부지원을 통해 장애인정보화 보육 강사가 안정감 있게 교육 업무에 집중하고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게 한다면 장애인들의 정보화 및 고용 창출, 및 삶의 질 향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일본 공적연금제도 개혁 및 재정전망

  • 최문현
    • 사학연금연구
    • /
    • 제1권
    • /
    • pp.243-284
    • /
    • 2016
  • 2015년 사학연금은 '더 내고 덜 받는' 모수 개혁과 함께 사학연금의 수익비를 국민연금 수준으로 맞추어 형평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나, 연금재정의 장기 안정화를 위한 근본적인 처방은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차후 추가적인 재정안정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사학연금제도안정화 및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해외 연금개혁 우수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사학연금제도의 유지 및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일본은 1984년 내각결정으로부터 시작된 피용자 연금제도 일원화를 통하여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공적연금의 문제 해결방안 모색 뿐 아니라 연금제도 분립에 따른 부담과 급여의 격차, 특히 민관격차의 존재를 해소하고자 연금개혁을 추진하였고, 2012년 8월 연금개혁을 통하여 2015년 10월부터 공제연금과 후생연금을 통합하는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연금제도 개혁사례에 관한 연구는 공적연금제도의 운영과 재정 면에서 우리와 큰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개혁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전망(평가)은 우리에게 연구할 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인구 고령화 및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현상에 따른 공적연금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우리에게, 특히 성숙기에 진입하고 사학연금의 향후 재정위기 개혁방향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AI 키오스크 (AI Kiosk with User Interface Application)

  • 박윤진;최다연;김수영;장지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42-843
    • /
    • 2023
  • Covid-19으로 인한 언택트(Untact) 문화의 확산으로 키오스크 주문과 같은 비대면 서비스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서비스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격차 및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술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개인 맞춤화된 키오스크를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I 키오스크는 자연어 처리기술을 활용한 음성 주문을 통해 편리성을 증진하고,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연령대 인식, 사용자의 알레르기 정보를 고려한 메뉴 추천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발된 키오스크를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정보 취약계층 간의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

정보소외계층 재정의를 통한 정책방향의 제시: 정보격차조사 모집단으로서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중심으로 (Redifining Digital Poverty : A Study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Disabilities, Low-Income and Elders)

  • 이향수;이성훈;최정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12
    • /
    • 2016
  • 현재 정보소외계층 대상에 대한 정의는 2000년대 초반 정부가 정보격차실태조사를 처음 시작했던 당시의 기준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정보격차조사의 정보소외계층 대상을 검토하고 재 정의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격차조사의 대상 중 특히 문제의 소지가 많은 대상인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중심으로 각각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보소외계층 대상으로서 이들 집단에 대한 정의를 재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격차 조사 대상 장애인을 현재의 지체, 뇌병변, 청각/언어, 시각장애인만으로 한정하지 말고,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하여 15가지 장애유형을 재검토 해야 한다. 저소득층의 경우 정보격차해소 대책의 대상으로서 저소득층의 기준도 기초생활수급자에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차상위계층을 정보소외계층으로 포함시키는 검토가 필요하다. 장노년층의 경우 현재 노인연령기준이 사회통념에 맞추어 상향조정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장년층은 제외하고 65세이상의 노인층에 대해서만 정보소외계층에 포함시켜 정보격차조사를 수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