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격월변동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韓國 周邊 海洋 貯熱量의 秀節的 變動 (Seasonal Variation of Heat Content in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 강용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
    • /
    • 1985
  • 한국주변 192개 정점 표층 300m의 15년간(1961~1975) 격월 수온자료를 사용하여 해양이 보유(방출)하는 영량의 계절적인 변동을 추정하였다. 동해에서는 100m 이내의 표층에서 계절적인 열의 보관과 방출이 일어나며, 수심이 얕은 서해와 남해에서는 거의 전 수심에 걸쳐서 계절적인 열보유량 변동의 연교차는 서해와 동해가 비슷하나, 열보유량 변동은 표면수온에 비하여 연주기 위상이 1내지 3개월 늦다. 해류와 계절풍에 의한 열이송으로 인하여 한국주변 해양 저열량의 시간적 변화의 연진폭은 태양복사에너지의 연진폭보다 훨씬 크다.

  • PDF

초파리 집단내 역위빈도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 이태훈;권국일;임낙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7-333
    • /
    • 1988
  • 계절에 따른 초파리 집단내 역위다형 현상의 변동상을 알기 위하여 전주근교의 과수원에서 1983년 1월부터 11월까지 격월로 여섯번 채집한 집단 표본을 분석하였다. 총 1071마리에서 얻은 15개형의 역위는 모두 편동원체역위(paracentric inversion)였으며, 이 중 7개형은 세계형91위(cosmopolitan inversion)였고, 나머지 8개형은 지역형역위(endemic inversion)였다. 개체당 역위의 평균 보유수는 0.639이고 역위를 보유한 개체의 빈도는 0.465였다. 7개의 세계형역위에 대한 표본집단을 분석한 결과 격월 집단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1월과 1 1월 표본간에서는 그 성황이 오히려 비숫해짐으로서 집단내 총역위빈도는 주기적으로 변동하고 있음이 암시된다. 역위와 환경변수와의 다중상관분석에서는 기온, 습도, 강수량이 역위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위 중 In(2L)t가 상기한 환경변수 모두에 대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In(3R)C와 In(3R)P는 어느 것과도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염색체내 그리고 염색체간의 연관 또는 조합의 검정결과 연관불평형혈상을 1월, 5월, 그리고 7월 표본의 제3염색체에서, 그리고 비균일조합은 1월과 7월 표본에서 역시 제3염색체에서만 산출 되었다. Seasonal changes of inversion frequencies in Chonju 0. melanogaster populations were studied. A total of 1071 males were collected six times with ho months intewal from January through November in 1983. to analyse diploid sets of chromosomes carried by males, each male was mated to several virgin females homoBvgous for cytologically standard sequence in all chromo-somes. From each mating, more than seven FL larvae were selected in random and tested to find chromosomal aberrations. In the present study, 15 different inversions were found and identified to be paracentric only In both second and third chromosomes; seven were cosmopolitan and the rest eight endemic types. The average frequency of inversions was 0.465 and the mean number of inversions carried by a single male was 0.639. The linkage disequilibria were detected between the leK and right arms of third chromosomes from the samples of January, May and Julv, Whereas nonrandom associations appeared also in the third chromosomes only in January and Julv samp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frequencies of inversion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t appeared that mea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otal precipitation for a month skipped over 30 days before collected affect to change to frequencies of particular inver-sions. With respect to the behavior of inversions in the present samples, it is suggested, with the Friedman's analysis of variance by ranks of inversion frequency orders, that the frequencies of inversions change cyclically year to year.

  • PDF

저인망에 채집된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with a Bottom Trawl in Kwangyang Bay, Korea)

  • 차성식;박광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5-243
    • /
    • 1997
  •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0년 2월부터 12월까지 5개 정점에서 격월로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2과(科) 54종(種), 9,497개체, 65,838.2g이 채집되었다.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가 총 개체수의 64.9%를 차지하였으며, 주둥치와 전어(Konosirus punctatus)가 각각 총 생물량의 28.8%와 22.3%를 차지하였다. 수온이 낮은 2월에는 출현종수와 개체수, 생물량이 모두 연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수온이 $12^{\circ}C$ 이상을 보이는 시기에는 20종 이상이 출현하였다. 개체수는 10월에, 생물량은 4월에 가장 높았다 광양만에서 어류군집의 구조는 주둥치와 전어의 출현량 변화에 따라 계절 변동을 보였다.

  • PDF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한 동해 최초 연속 물성 단면 관측 보고 (Report about First Repeated Sectional Measurements of Water Property in the East Sea using Underwater Glider)

  • 임규창;박종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9권1호
    • /
    • pp.56-76
    • /
    • 2024
  • 동해에서 수행된 국내 최장기 수중글라이더 운용 및 연속 단면 관측 결과를 보고한다. 본 연구팀은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하여 2020년 9월 18일부터 12월 21일까지 총 95일 동안 국립수산과학원(NIFS) 정선 관측 106 라인에 거의 일치하는 37.9 °N 위도선을 따라 동경 129.1 °E ~ 131.5 °E 사이를 6회 왕복하는 국내 최초의 연속 물성 단면 관측을 성공리에 수행하였다. 본 수중글라이더는 2020년 9월 18일 129.1 °E 위치에서 투하되어 9월 19일부터 88일간의 비행 관측을 수행하였고, 2020년 12월 15일부터 6일간 129.2 °E 위치에서 위치 제어 유지(Virtual Mooring)후 회수되며 전체 운용을 마무리하였다. 표층부터 800 dbar 수심까지 톱니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총 수평거리 2550 km를 비행하는 동안 글라이더의 경로 이탈은 RMS 거리 262 m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매우 안정적인 경로 추종 모드를 보여줬다. 비행 관측을 통해 획득한 총 12개의 고해상도 물성 횡단면 자료로부터 수온과 염분의 연속적인 변동이 보이는 아중규모 특성을 확인하였고, 국립수산과학원(NIFS)의 격월 선박 관측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시공간 해상도 차이에 따른 뚜렷한 특성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공간 해상도 차이에 따른 결과로 표층 전선역의 세기 및 이동, 수온약층 강화현상 등 아중규모 현상들이 글라이더 횡단면 자료에서만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아중규모 구조는 현행 선박 관측 자료의 정점 간격(25 km) 보다 작다는 특징이 있었는데, 동해 내 아중규모 구조의 이해를 위해서는 고해상도 관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는 시간 해상도 차이에 따른 결과로 글라이더 자료에서 추출한 평균 7일 간격의 수온과 염분 시계열이 대략 6주 주기를 갖는 월중변동(Intramonthly variation) 특성을 보인다는 것과 대략 1주 동안 급격한 관측치의 변동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격월 정선 관측 자료에는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다. 따라서, 정선 관측해역의 물성 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박 관측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효율적인 글라이더 관측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두 플랫폼 간 관측치의 편차를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편차의 요인을 공간 규모에 기초한 정점의 정의 및 시간 규모에 따른 변동성, 그리고 각 플랫폼의 CTD 측정 장비의 교정 관점에서 논하였다.

천수만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동특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 박승윤;허승;유준;황운기;박종수;이승민;김창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9-4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천수만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6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격월별로 년 6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 엽록소 a 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아질산질소, 질산질소 및 용존무기질소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전조사 항목에서 정점 간 차이가 적었으나, 주성분 분석결과 표층에서는 부남호 영향을 받는 정점 1 과 중간역인 정점 2~11 및 입구쪽인 정점 12~16로 구분되어지고, 저층에서는 표층과 마찬가지로 정점1과 죽도 북측연안의 정점 2~7 및 정점 8~16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격월별로는 저층의 부유물질을 제외한 전조사 항목에서 유의성이 입증되었으며,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격월별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입구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수질의 시간적 변동은 표층과 저층에서 세 그룹으로 구분되어지나 경향은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조사월에서 영양염류가 낮은 상태이었다.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은 II등급(좋음) 수준이며, 격월별로는 6월과 8월은 III등급(보통), 10월과 12월은 II등급(좋음), 2월과 4월은 I등급(매우좋음)으로 구분되어 경인연안, 아산연안, 목포연안 및 군산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광양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Gwangyang Bay)

  • 장민철;장풍국;신경순;박동원;장만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11-29
    • /
    • 2004
  • 광양만에서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을 2001 6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격월로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조사해역의 9개 정점에서 망목 $3000\mu{g}$인 NORPAC 네트를 이용하여 수평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동물플랑크톤은 47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량은 6,205 inds. $m^{-3}$이었다. 월별 출현량은 2002년 6월에 최대 26,060 inds. m$^{-3}$에서 2001년 8월에 최소 630 inds. $m^{-3}$사이에서 변동하였다. 요각류는 채집된 동물플랑크톤의 4.6~84.1% (평균 38.2%)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우점하는 요각류는 Puracalanus parvus, Centropages abdominalis, Acartia omorii, Acartia erythraea였다 적조를 유발하는 Noctiluca scintillans는 2002년 6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요각류 가운데 높은 출현량을 보인 Acartia omorii와 Centropages abdominalis는 수온이 낮은 겨울과 봄에, 그리고 Acartia erythraea는 수온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만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그 외에 지각류와 만각류 유생은 6월과 8월에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조석주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범위는 2,768∼15,856 inds. $m^{-3}$로 시간에 따라 약 5.7배의 변동을 보였다.

남해 연안수의 수온상승과 수온전선 후퇴와의 상관성 (Positive correlation water temperature increase with thermal front retrogress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영택;이호정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2-123
    • /
    • 2010
  • 2000~2009년 동안 격월로 관측한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표층 수온이 10년 동안 약 $1{\sim}1.9^{\circ}C$ 상승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상승폭이 해역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부산해역은 약 $1.5^{\circ}C$, 여수해역은 약 $1.7^{\circ}C$, 제주북부에서도 약 $1.7^{\circ}C$의 상승폭을 보임으로서 남해 동쪽보다는 서쪽해역의 상승폭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남해 연안수의 평균 수온이 증가하는 추세경향으로 미루어 볼 때 남해 수온전선이 약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안쪽으로 밀릴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 모슬포는 약 $1.9^{\circ}C$ 가 상승하였으며 제주도 성산포는 2004~2009년 동안 약 $1.2^{\circ}C$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수온의 변동성은 조위관측소에서 관측된 수온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부산은 $0.2^{\circ}C$/8년, 여수 $0.4^{\circ}C$/10년, 제주북부는 $1.5^{\circ}C$/10년, 모슬포와 성산포는 $1^{\circ}C$/6년, 서귀포는 $1.7^{\circ}C$/8년 상승폭을 보인다. 조위관측소의 수온 상승폭보다 한국연안해류조사의 수온 상승폭이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관측소의 위치가 해안가에 있는 반면 연안해류조사는 선박을 이용하여 외해쪽에서 수온을 관측하기 때문에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해수의 수온 상승 현상은 증가율이 약간 낮기는 하지만 50m 수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부산해역, 여수해역, 제주북부 해역은 모두 약 $1.2^{\circ}C$의 상승폭을 보였으며, 제주도 성산포는 약 $1.1^{\circ}C$인 반면, 모슬포 해역에서는 약 $1.5^{\circ}C$로 상승추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남해 연안수가 표층과 저층에서 동반 상승했다는 것은 대마난류의 세력이 강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시자(indicator)로서 최근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기후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상승률은 관측기간이 길어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남해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 PDF

섬진강 하류계에서 유종섬모충류의 군집구조와 계절적 동태 (Seasonal Dynamics and Community Structure of Tintinnina in lower Seomjin River System)

  • 유형빈;박수산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25-36
    • /
    • 2001
  • 본 연구는 유종섬모충류의 생태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 1999년 1월까지 격월로 섬진강 하류계에서 12개 정점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유종섬모충류는 총 8속 56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출현종의 월별분포는 1998년 3월에 7속 40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1998년 11월에 2속 3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출현하였다. 출현종의 정점별 분포는, 정점 12에서 8속 38종으로 가장 많았고, 정점 3에서 2속 5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유종섬모충류의 월별 총출현량은 20,099 (5월) - 699,502 indiv./㎥ (3월)의 범위로 변동하고 있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11에서 가장 많은 출현량(431,706 indiv./㎥)을 보였고, 정점 4에서 가장 적은 출현량(8,777 indiv./㎥)을 보였다. 우점종은 22종으로 그중 Tintinnopsis속이 18종으로 전체 우점종의 81.8%를 차지하였다. 유종섬모충류의 군집동태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여러 환경요인 중 수온과 염분도가 군집동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수온은 10-15$^{\circ}C$에서, 염분도는 10.1-25.0$\textperthousand$ 구간에서 다양한 종 조성과 높은 출현량을 나타내었다.

  • PDF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Larval Fishes off the East Sea, Korea)

  • 최희찬;정해근;조정현;윤석현;오현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6-200
    • /
    • 2022
  •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의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8년 2월부터 12월까지 격월로 RN80 네트를 이용하여 자치어를 채집하였고, 해양 환경과 자치어 분포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등 물리적 요인과 영양염, 엽록소-a 및 동물플랑크톤 현존량과 같은 화확 및 생물학적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2018년 동해 근해에 출현한 자치어는 49개과 104개 분류군, 총 7,644.3개체/1,000 m3가 출현하였다. 이중 멸치가 전체 출현량의 76.2% 우점하였고, 앨퉁이가 15.0%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 까나리, 악어치가 각각 0.8%와 0.5%로 비교적 많은 출현량을 보였고, 고등어와 날붕장어가 0.3% 이상으로 위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량의 93.2%를 차지하였다. 조사 해역의 월별 자치어 출현양상을 보면, 출현분류군수는 2월에 10개로 가장 적었고, 10월에 33개로 가장 다양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량은 4월에 76.3개체/1,000 m3가 출현하여 연중 가장 적었고, 8월에 4,585.8개체/1,000 m3로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였으며, 월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출현 자치어의 월별 공간 분포는 저수온기보다 고수온기에 연안 가까이에서 많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출현 분류군 중 전체 출현량의 91.3%를 차지한 멸치와 앨퉁이의 월별 공간 분포와 유사하였다. 한편 자치어 전체 출현량과 해양 환경과의 상관관계는 2월에 수온 및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용존무기질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월에는 용존무기질소와 음의 상관관계, 12월에는 엽록소-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우점종인 멸치는 4월에 염분, 6월에 엽록소-a 8월에 용존무기질소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NOSIM 분석 결과, 자치어의 월별 종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월별 dissimilarity는 주로 멸치와 앨퉁이의 출현량 변동에 의해 결정되었으나, 그 외 우점 분류군들의 종조성과 출현량 변화가 조사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자치어 군집의 분포가 저수온기에는 주로 수온, 고수온기에는 염분, 동물플랑크톤 건중량 및 영양염류 농도 등 비교적 다양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