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ort about First Repeated Sectional Measurements of Water Property in the East Sea using Underwater Glider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한 동해 최초 연속 물성 단면 관측 보고

  • GYUCHANG LIM (Kyungpook Institute of Ocean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ONGJIN PARK (Kyungpook Institute of Oceanography/School of Earth System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임규창 (경북대학교 경북해양과학연구소) ;
  • 박종진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경북해양과학연구소)
  • Received : 2023.11.17
  • Accepted : 2024.01.16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We for the first time made a successful longest continuous sectional observation in the East Sea by an underwater glider during 95 days from September 18 to December 21 2020 in the Korea along the 106 Line (129.1 °E ~ 131.5 °E at 37.9 °N) of the regular shipboard measurement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y Science (NIFS) and obtained twelve hydrographic sections with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The glider was deployed at 129.1 °E in September 18 and conducted 88-days flight from September 19 to December 15 2020, yielding twelve hydrographic sections, and then recovered at 129.2 °E in December 21 after the last 6 days virtual mooring operation. During the total traveled distance of 2550 km, the estimated deviation from the predetermined zonal path had an average RMS distance of 262 m. Based on these high-resolution long-term glider measurements,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bi-monthly NIFS measurements in terms of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and found distinguished features. One is that spatial features of sub-mesoscale such as sub-mesoscale frontal structure and intensified thermocline were detected only in the glider measurements, mainly due to glider's high spatial resolution. The other is the detection of intramonthly variations from the weekly time seri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which were extracted from glider's continuous sections. Lastly, there were deviations and bias in measurements from both platforms. We argued these deviations in terms of the time scale of variation, the spatial scale of fixed-point observation, and the calibration status of CTD devices of both platforms.

동해에서 수행된 국내 최장기 수중글라이더 운용 및 연속 단면 관측 결과를 보고한다. 본 연구팀은 수중글라이더를 활용하여 2020년 9월 18일부터 12월 21일까지 총 95일 동안 국립수산과학원(NIFS) 정선 관측 106 라인에 거의 일치하는 37.9 °N 위도선을 따라 동경 129.1 °E ~ 131.5 °E 사이를 6회 왕복하는 국내 최초의 연속 물성 단면 관측을 성공리에 수행하였다. 본 수중글라이더는 2020년 9월 18일 129.1 °E 위치에서 투하되어 9월 19일부터 88일간의 비행 관측을 수행하였고, 2020년 12월 15일부터 6일간 129.2 °E 위치에서 위치 제어 유지(Virtual Mooring)후 회수되며 전체 운용을 마무리하였다. 표층부터 800 dbar 수심까지 톱니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총 수평거리 2550 km를 비행하는 동안 글라이더의 경로 이탈은 RMS 거리 262 m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매우 안정적인 경로 추종 모드를 보여줬다. 비행 관측을 통해 획득한 총 12개의 고해상도 물성 횡단면 자료로부터 수온과 염분의 연속적인 변동이 보이는 아중규모 특성을 확인하였고, 국립수산과학원(NIFS)의 격월 선박 관측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시공간 해상도 차이에 따른 뚜렷한 특성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공간 해상도 차이에 따른 결과로 표층 전선역의 세기 및 이동, 수온약층 강화현상 등 아중규모 현상들이 글라이더 횡단면 자료에서만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아중규모 구조는 현행 선박 관측 자료의 정점 간격(25 km) 보다 작다는 특징이 있었는데, 동해 내 아중규모 구조의 이해를 위해서는 고해상도 관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는 시간 해상도 차이에 따른 결과로 글라이더 자료에서 추출한 평균 7일 간격의 수온과 염분 시계열이 대략 6주 주기를 갖는 월중변동(Intramonthly variation) 특성을 보인다는 것과 대략 1주 동안 급격한 관측치의 변동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격월 정선 관측 자료에는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다. 따라서, 정선 관측해역의 물성 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박 관측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효율적인 글라이더 관측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두 플랫폼 간 관측치의 편차를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편차의 요인을 공간 규모에 기초한 정점의 정의 및 시간 규모에 따른 변동성, 그리고 각 플랫폼의 CTD 측정 장비의 교정 관점에서 논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작성 과정에서 정선 관측자료 현황에 대해 설명해주신 국립수산과학원 이준수 박사님께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 논문은 2020년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RS-2020-KS201379, '수중글라이더 핵심부품·장비 기술개발 및 운용센터 구축' 사업), 2023년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RS-2023-00256005, 고품질 준실시간 해양그리드 데이터서비스 체계 개발),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2022R1A2C10014059).

References

  1. Bruvik, E.M., I. Fer, K. Vage and P.M. Haugan, 2020. A revised ocean glider concept to realize Stommel's vision and supplement Argo floats. Ocean Sci., 16: 291-305. https://doi.org/10.5194/os-16-291-2020
  2. Chang, K.-I., W.J. Teague, S.J. Lyu, H.T. Perkins, D.-K. Lee, D.R. Watts, Y.-B. Kim, D.A. Mitchell, C.M. Lee and K. Kim, 2004. Circulation and curr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 Oceanogr., 61(2-4): 105-156. https://doi.org/10.1016/j.pocean.2004.06.005
  3. Choi, A.-R., Y.-G. Park, H.-S. Min and K.H. Kim, 2009. The Improvement of CTD Data through Post Processing. Ocean and Polar Research, 31(4): 339-347. https://doi.org/10.4217/OPR.2009.31.4.339
  4. Garau, B., S. Ruiz, W.G. Zhang, A. Pascual, E. Heslop, J. Kerfoot and J. Tintore, 2011. Thermal lag correction on Slocum CTD glider data. J. Atmos. Ocean. Technol., 28: 1065-1071. https://doi.org/10.1175/JTECH-D-10-05030.1
  5. Haldeman, C.D., D.K. Aragon, T. Miles, S.M. Glenn and A.G. Ramos, 2016. Lessening biofouling on long-duration AUV flights: Behavior modifications and lessons learned. OCEANS 2016 MTS/IEEE Monterey, Monterey, CA, USA: 1-8.
  6. Nichols, C.R. and K. Raghukumar, 2020. Introduction. In: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zation. Synthesis Lectures on Ocean Systems Engineering. Springer, Cham, pp. 6.
  7. Ocean Climate Stations, 2023. Available at: https://www.pmel.noaa.gov/ocs/Papa [2023/11/17].
  8. Park, J., 2013. Underwater Glider: Its Applicability in the East/Japan Sea. Ocean and Polar Research, 35(2): 107-121. https://doi.org/10.4217/OPR.2013.35.2.107
  9. Park, J., 2019. First Observational Finding of Submesoscale Intrathermocline Eddy in the East Sea using Underwater Glider. J. Korean Soc. Oceanogr., 24(2): 332-350.
  10. Park, J., K. Kim, B.A. King and S.C. Riser, 2005. An Advanced Method to Estimate Deep Currents from Profiling Floats. J. Atmos. Oceanic Technol., 22: 1294-1304. https://doi.org/10.1175/JTECH1748.1
  11. Park, Y., S. Lee, Y. Lee, S.K. Jung, N. Jang and H.-W. Lee, 2012. Report of East Sea Crossing by Underwater Glider. J. Korean Soc. Oceanogr., 17(2): 130-137. https://doi.org/10.7850/jkso.2012.17.2.130
  12. Rudnick, D.L. and S.T. Cole, 2011. On sampling the ocean using underwater glide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6: C08010.
  13. Stommel, H., 1989. The Slocum Mission. Oceanography, 2(1): 22-25. https://doi.org/10.5670/oceanog.1989.26
  14. Tanioka, K., 1968. On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Tosen Warm Current). Oceanographical Magazine, 20: 31-38.
  15. Wagawa, T., Y. Kawaguchi, Y. Igeta, N. Honda, T. Okunishi and I. Yabe, 2020. Observations of oceanic fronts and water-mass properties in the central Japan Sea: Repeated surveys from an underwater glider. Journal of Marine Systems, 201: 103242.
  16. Webb, D.C., P.J. Simonetti and C.P. Jones, 2001. SLOCUM: An underwater glider propelled by environmental energy. IEEE Journal of Oceanic Engineering, 26(4): 447-452. https://doi.org/10.1109/48.97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