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기획

Search Result 26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uthoring Tool for Web Content Development by Python Education (Python 교육을 통한 Web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저작도구)

  • Jeong, Je-Hyeon;Oh, Seong-Min;Gu, B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699-701
    • /
    • 2022
  •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Python 교육은 현재 기본으로 다루고 있다. PIP 의 우수한 확장성에 의해 수많은 분야에서 Python 을 이용하여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게임 개발에서도 Python 은 적극 활용되고 있다. 메모리관리와 최적화를 위한 Low Level 개발 부분에서는 C/C++, C#, JAVA 를 사용하지만, 게임 시스템 기획자의 경우 프로그래머에게 직결되는 문서를 작업하기 위해 객체지향적 시점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Python 을 통해 기획자와 프로그래머의 의사소통 향상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개발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ython 교육과 접근성이 좋은 Web Contents 를 개발하기 위하여 KM Engine 을 개발하였다. 경민 대학교 게임콘텐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 Web Contents 를 개발한 결과 Unity, Unreal 에 비해 학생들이 매우 편하게 개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M Engine 은 경민 대학교 학생 들 뿐 아니라 게임 제작을 배우고 싶어하는 이들과 이들을 학습시킬 목적을 가진 이들에게 기여하길 바란다.

A Study on the Streaming-Friendly Game Design and Suggestion of Game Planning Guidelines through the Analysis of Game Streaming (인터넷 게임 방송 분석을 통한 방송 친화적 게임 디자인 연구와 게임 기획 가이드라인 제시)

  • Kim, Young-Bum;Sohn, Kee-Hoon;Lee, Taek-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2
    • /
    • pp.538-547
    • /
    • 2021
  • This study seeks to derive game design elements that turn out game streaming-friendly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et game streaming.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previous studies on the motivation of watching internet game broadcasting and simplified the motivations to 'Expertise' and 'Amusement', the goal that game streaming should aim for, and divided streamer's streaming types into 'Reviewer', 'Master', 'Entertainer' and 'Acrobat' by those two options. Based on the categories, this study analyzed game streaming videos of various genres and confirmed that both the number of videos and the number of views by the streaming type were the highest in the 'Acrobat' group.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s that and revealed different figures by the type although they belong to the similar gen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two games, this study identified 's advantages in three points-Fortune, Setup Time, Control View- and finally suggested some guidelines for streaming-friendly game planning.

Study on The Online Game Server Architecture (온라인 게임 시스템 서버 아키텍처 연구)

  • Choi, Sung;Park, Heon-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534-539
    • /
    • 2006
  • 온라인 게임 서버는 비용과 확장성의 이유로 분산 서버 구조를 택하고 있으며, 게임의목적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서버 아키텍처를 설계한다. 대용량의 서비스를 하는 대규모 분산 시스템이자 네트워크 가상환경 예이다. 온라인 게임을 위한 서버 구조는 기술적인 면 만 아니라 기획적인 면에서도 영향을 받는다. 어떠한 온라인 게임을 만들 것인지에 따라 서버 구조는 달리 결정되며, 게임을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시킬 것인지에 따라 서버 구조 또한 변경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 서버 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 필요한 사항들을 기술하고, 이를 수용하는 서버 구조를 설계 연구하였다.

  • PDF

Youth Physical Activity Game Application Planning and GUI Design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통한 청소년 신체활동 게임 어플리케이션 기획 및 GUI설계)

  • Kim, Do-hyeon;Ahn, Su-zy;Lee, Yeon-jung;Han, Se-jin;Park, Jung Kyu;Park, Su 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182-184
    • /
    • 2017
  • Recently, adolescent's lack of exercise due to increasing physical inactivity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Accordingly, we planned a smartphone game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s. The application is able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youth through the interesting factor of 'game'. Also it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activity by measuring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f the user through GPS. We propose a way to continuously motivate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through this motion interaction game application.

  • PDF

Present and Future for the Curriculums of Game Majors (게임학과 교과과정 현황과 변화 추이)

  • Park, Jin Wo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5
    • /
    • pp.123-130
    • /
    • 2016
  •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game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Korea. We now need to review and foresee the future of game department curriculums.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and analyze the current curriculums of game departments in Korean colleges. The study focuses on the detailed course works based on the game making processes, which are largely composed of game design, game programming and game graphic design. Then we analyze the past curriculum changes of the game programming and the game graphic design departments. Also, we survey the curriculums of cinema departments which are older than game departments, thus may show the hint for the future of game department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urriculums of game departments have to strengthen the game design related courses and have to expand the game making exercise courses.

A Case Study on the Use of Agile Methodology in Game Development Project of College (대학의 게임개발프로젝트에서 애자일 방법론 적용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05-306
    • /
    • 2019
  • 대학의 게임개발 프로젝트는 학기라는 시간적 제약아래 게임 기획, 그래픽, 프로그래밍, QA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팀을 이루고 진행한다. 게임 개발은 특성상 폭포수 개발과 같은 전통적인 개발방법론보다는 애자일 방법론이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애자일 방법론 적용을 시도한 졸업작품팀의 개발자를 인터뷰하여 진행과정과 실패 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애자일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a Tool for Event Direction in Mobile Game (모바일 게임의 이벤트 연출을 위한 Tool 개발)

  • No, Hae-Sun;Rhee, Dae-Wo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1
    • /
    • pp.37-46
    • /
    • 2011
  • Due to the advent of high performance feature-phone and smart-phone, the scale of mobile games and the member of developers are increased rapidly. The production process of mobile games is changing to meet these needs. Tools for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are produced worldwide, but tool's research for the event direction is inadequate. In the event direction, the game designers play more important roles than programmers.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mobile game event direction tool for game designers. And we make the events of the released mobile games to test the efficiency and usefulness of tool that we developed.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is enhanced about 15% in development period.

Games QA using Checklists Technique (체크리스트 기법을 이용한 게임 QA)

  • Lee, Jin-Ho;Jung, Hyeon-Cheol;Kang, Seung-Gon;Cho, Hyun-Woo;Lee, Je-Meong;Kang, Myung-Ju;Park, Chan-Il;Oh, Hyoun-Ju;Kim, Sang-Jung;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307-31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 중 "체크리스트" 기법을 이용하여 2014년 청강문화산업대학 게임전공 졸업작품 게임 13점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해 의견을 제시한다. "체크리스트"란 테스트하거나 평가해야 할 내용과 경험을 나열해 놓은 것을 의미하며, 체계적으로 도출되기 보다는 테스트 경험과 노하우를 정리하고 목록화하여 테스팅에서 해당 내용을 누락 없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하는 문서다. 테스트의 진행은 개발팀의 기획서 분석에서 시작되며, 기획서에서 기반한 게임의 실제 구현비율과 동작 가능한 비율을 중점으로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