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의 품질 평가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Quality Analysis of Web-site User Interface ; Using Kano′s Two-dimensional Concept of Quality Model (웹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분석 - Kano의 품질 인식 모형의 적용 -)

  • 김재전;이경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98
    • /
    • 2002
  • 인터넷 이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웹사이트에 대한 개인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정보의 무분별한 발생을 막고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치가 더욱 증대되었다. 최근에는 개별적인 연구자들뿐 아니라 웹사이트 평가기관과 순위기관들이 각각의 평가영역과 평가모형에 따라 웹사이트,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들은 웹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주로 일원적인 인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웹사이트 품질이나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는 데 있어 품질의 고저나 만족ㆍ불만족을 일직선상에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물리적 상황이 충족되면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지만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만을 가지게 된다는 가정에서 평가모형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ano의 모형에 따라 품질을 물리적 충족상황을 횡축에, 고객의 만족감을 종축에 두고 품질개념을 이원적으로 해석하여 매력적, 당연적,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화면구성, 항해성, 검색성, 상호 작용성, 사용자지원성의 5가지 영역에서 25개의 평가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Kano의 설문지조사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게임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일간신문 사이트를 대상으로 290부의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품질요소에서 매력적 품질요소, 일원적 품질요소, 당연적 품질요소를 분류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인트로나 메인페이지의 포인트, 다양한 정렬방식, 개인화 된 페이지, 개인장치로의 다운로드가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으며, 시각적 구성, 링크의 정확성, 링크분류의 체계성, 용어의 명료성, 컨텐츠 이용의 용이성, 적절한 강조의 사용, 고객피드백시스템은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또한 당연적 품질요소는 사이트 설계의 일관성, 에러처리, 의견제시 공간, 이용설명서 또는 도움말, FAQ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에 새로운 웹사이트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Quality Evaluation and Analysis of on Line Edutainment Software (온라인 에듀테인먼트 품질 평가 및 분석)

  • Lho, Young-Uhg;Park, Sang-Won;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537-542
    • /
    • 2007
  • 에듀테인먼트는 여러 가지 소재와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종합적인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에듀테인먼트에서 사용하는 시각적인 매체와 청각적인 매체에 대한 선호는 주관적인 성향이 강하므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평가하듯이 어떤 기준에 따라 평가하기 어려운 요인이 있으므로 에듀테인먼트용 품질평가는 지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에듀테인먼트를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중학생들에게 인기가 높은 온라인 에듀테인먼트를 대상으로 개발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determinant on Repurchase Behavior of Game User in Chinese online game industry: moderation effect of online review (중국 온라인게임 산업의 게임사용자 재구매 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온라인평가의 조절효과 분석)

  • Lee, Young-Duc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6
    • /
    • pp.41-54
    • /
    • 2015
  • Despite a great performance of Korean online game in Chinese online game market, Korean companies were faced with decreasing market positions in China from 2006. To overcome this problem, I will suggest a research model about determinant of repurchase behavior of on-line game user and moderation effect of online review.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in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hypothesis through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re are several conclusions as such; first, perceived value and loyalty of consumer have grea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repurchase behavior. Second, online review has positive direct influence on repurchase behavior and moderation effect of relationships among them. Third, game company has great efforts to develop online games and game contents which were guaranteed before in price, quality, information, and accurate consideration of online review.

Analysis on Efficiency for the Quality Elevation of Edu-Game Contents on Mobile Platforms (모바일 플랫폼의 에듀게임 콘텐츠 품질향상을 위한 효율성 분석)

  • Ahn, Kyung-Whan;Hwang, Myung-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4 no.2
    • /
    • pp.136-142
    • /
    • 2009
  • Today, as a core industry of high value added contents, the field of game received great influences as a complex cultural technical industry of multimedia and such. Users of Mobile Web2.0 will now choose the well-made contents and this has become stronger in relation to the technical advancements of mobile platforms such as the Wibro and HSDPA. Accordingly since the year 2006, the Korea Game Industry Agency has begun a public subscription for functional games to elevate the necessity of changes in social recognition for edu-games. Although the current investment effects of edu-games are being valued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to the scale, outcom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game industry, the created effects of the value added is very high when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laced in the political propositions for the edu-game investments necessary in the quality expansions of edu-game contents.

  • PDF

A Study on User Evaluation of VR Games on Improving Visual Immersion (시각적 몰입감 향상에 관한 VR 게임의 사용자 평가 연구)

  • Lee, Lang-Goo;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407-413
    • /
    • 2022
  •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user experience and questionnaire to find out whether the technical and contextual elements of the 'COVID-19 SABER' VR game produced and developed through initial research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visual immersion. As a result first, the hypotheses regarding the resolution, viewing angle, effect, and design quality of the technical elements were accepted, but the hypotheses regarding the frame rate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were rejected. Next, as for the hypothesis of the contextual elements, the hypothesis about background, directing, color and texture, interest and fun was adopted, and the hypothesis about storytelling was rejected. In summary, it was conclud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visual immersion of VR games, technical elements resolution, viewing angle, effect, design quality, contextual elements background, directing, color and texture, interest and fun must be designed and pro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VR games that can induce and improve user's visual immersion in the future.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이국철;이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3-152
    • /
    • 1999
  •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선진국들은 자국에 유리한 소프트웨어 품질표준을 만들어 이를 국제 표준에 반영하고, 외국 소프트웨어에 대한 진입 규제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상품인 소프트웨어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거래가 쉬운 이점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패키지 소프트웨어에 관한 품질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모형을 도출하고, 그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에서 활용 가능한 패키지 소프트웨어만을 대상으로 품질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평가모형을 적용하기에 앞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품질평가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은 현재 개발업체가 취급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종류와 개발업체에서 평가받기를 원하는 제품의 종류, 그리고 평가대상이 될 수 있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제품의 경쟁력 수준과 관련하여 선진국의 제품과 비교하여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자 입장에서 품질평가 항목별로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품질평가모형의 적용 대상을 선정하였다. 적용대상 제품은 모두 14개로 각각의 제품들을 게임, OA, 통신, ERP, 4GL, OS 소프트웨어로 분류하고 제품에 대한 평가는 개발자(개발경력 3년 이상)와 일반사용자로 분류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제품분야별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적용하였다. 평가방법은 각각의 제품에 대한 평가점수를 1점부터 5점까지 나누어 평가결과를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평가결과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동종제품간 평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제품을 비교하였으며, 둘째 소프트웨어 종류별 평가로 제품을 응용소프트웨어, 응용개발도구,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분류하여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셋째, 국내외 제품별 평가분석으로 전체 제품을 국내제품과 국외제품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총괄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 제품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여기에서는 각 제품의 평균점수에 대한 차이를 95%의 유의수준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

  • PDF

The Effect of Game Platform Evaluation and Flow Experience on Player Loyalty in Mobile Game Application (모바일 게임 플랫폼 평가 및 플로우경험이 게임사용자의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Oh, Se-G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235-244
    • /
    • 2020
  • In the 4th Industrial age, mobile games are a highly competitive but highly profitable industry, with hundreds of games per day. To produce a successful mobile gam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obile environment and consumers in the mobile era, and a study tha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various facto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 and out-of-gam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of mobile gam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s a result, the game platform's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and the price poli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luation. Also in the flow factor, goal and interaction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low, and skill or challen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effects of flow and platform evaluation on customer loyalty were all positively affected. First. Companies must derive customer opinions and actions about the game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customers. Second, if the game gives customers the proper goals and functions to enable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more successful games can be developed.

To Compare and Analysis Design Method about Motions of Game Character (게임 캐릭터 동작에 관한 설계 기법 비교 분석)

  • Yim, Jong-Seon;Lee, D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797-800
    • /
    • 2018
  • 그래픽, 물리엔진 등의 다양한 라이브러리의 발전은 게임의 품질을 높이는 반면, 과도한 결합도, 클래스 정체성 상실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게임 설계시 다양한 요소들 중 하나인 캐릭터 동작 설계에서 디자인패턴 중 상태 패턴 기법, 명령 패턴 기법 그리고 캐릭터 모터 기법을 사용하여 대기/걷기/뛰기/공격 동작을 구현하였고, 구현한 각 동작을 5000프레임씩 실행하여 프레임당 평균 소요시간과 메모리 평균 사용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HTML5 Game Engine Mobile Game Development Technique Research -Focused on the Development case using Construct2 Engine- (HTML5 게임 엔진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제작 기법 연구 -Construct2 엔진을 활용한 게임 제작 사례 중심으로-)

  • Lee, Dae Hee;Jeong, Eui J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6
    • /
    • pp.183-190
    • /
    • 2015
  • Construct2 Game Engine is development by in United Kingdom production company Scirra. Construct 2 game engine to be used globally, the most excellent technical strength and visibility in the 2D game engine has grown to high engine. The game engine created by the 'Kongbin&Domino'. 'Kongbin&Domino' game, it began commercialization in the Google store and Apple's App Store. It advances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case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game engine. Researched that can contribute to a better production. In the future, throughout the Research, it is to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game industry is conducting research to support the game development process which can be facilitated by the game content creation.

A Quality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On-Line Edutainment Software (온라인 에듀테인먼트 품질 평가 및 분석)

  • Lho, Young-Uhg;Park, Sang-Won;Jung, Deok-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11
    • /
    • pp.2192-2198
    • /
    • 2007
  • An edutainment is a composite which are joining with the serveral matter and the multiplicity of techqniues An Eduainment software use serveral audio and video media. The human have different preference to audio and video media. It is difficult to evaluate quality of an edutainment software than a general software. So, we need an evaluation factors to compare quality of edutainment software. We developed the evaluation factors for edutainment software.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used the evaluation factors to evaluate the favorite edutainment softwares among them. We evaluate and analyze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