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겉보기 점도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2초

마(Dioscorea batatas DECNE) 점질 다당류의 물성 및 열적 특성에 관한연구 (The Study on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Yam Mucopolysaccharides)

  • 구성자
    • 유변학
    • /
    • 제8권3_4호
    • /
    • pp.199-206
    • /
    • 1996
  • 산마와 재배마에서 점질다당류를 추출하여 리올러지 및 열특성을 연구하였다. D.I.W 에서 산마와 재배마 점질다당류의 고유점도(η)는 각각 16.1 이/g. 25.1 이/g 이고 pH7일 때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염을 가했을 때 (η)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urea 용액에서 NaCl, MaCl2 용액에서보다 (η)가 높았다. 마 점질다당류의 chain stiffness는 0,0050이고 Overlap parameter는 산마와 재배마 점질다당류가 각각 0.06 g/이. 0.04 g/이였 다. 마 점질 다당류는 shear rate가 증가함에 따라 겉보기 점도가 감소하여꼬 농도가 증가함 에따라 yield stress 와 점조성 지수는 증가하고 shear index가 감소하는 가소성유동체였다. 산마 점질다당류는 35$^{\circ}C$까지 온도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하였지만 그이상의 온도에서는 겉보 기 점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재배마 점질다당류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겉보기 점도가 점차 적으로 감소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1가 염가 2가 염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고 염농도가 증 가함에 따라 겉보기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urea를 첨가했을 때 겉보기 점도가 약간 감소하다 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DSC로 산마와 재배마 점질다당류의 "true melting"을 측정했을 때 각각 92$^{\circ}C$, 93$^{\circ}C$였고, enthalpy는 67.06 cal/g, 75.83 cal/g였다. 겔화에 소요된 enthalpy는 pH가 증가할수록 큰 값을 나타냈고 NaCl을 첨가했을 때 감소하다가 염농도 증 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Urea와 glycerol을 각각 첨가했을 때 D. I. W.오세보다 감소 하였다. TGA로 열분해 현상을 측정했을 때 분해 온도는 산마와 재배와 점질다당류가 각각 219~332$^{\circ}C$, 229~341$^{\circ}C$ 범위였다.TEX> 범위였다.

  • PDF

밤전분 수용액의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Solution)

  • 박홍현;김성곤;변유량;이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15-819
    • /
    • 1989
  • 밤전분 현탁액(3% 및 4%)의 유동특성을 모세관 점도계로 분석하였을 때 $30-65^{\circ}C$에서 항복응력이 존재하지 않는 딜라탄트유체의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3% 전분 현탁액은 $70^{\circ}C$에서, 4% 전분현탁\액은 $65^{\circ}C$ 이상에서 의가소성 유체의 거동을 보였다. 밤전분 현탁액의 점조도지수의 활성화에너지는 $50^{\circ}C$이하에서는 0.56kcal/mole, $60-70^{\circ}C$에서는 51.9-80.8 kcal/mole 이었다. 전분 호화액(4%)의 유동특성을 회전점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가열온도 및 시간에 관계없이 겉보기 점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여 의가소성을 나타내었다. 밤전분 호화액을$65-80^{\circ}C$로 가열했을 때의 겉보기 점도의 대수값은 동일온도에서의 전분의 팽화력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가열온도 $70-80^{\circ}C$에서의 겉보기 점도의 활성화 에너지 값은 13.9kcal/mole이었다. 상압$(90^{\circ}C)$ 및 가압$(121^{\circ}C)$ 호화액은 측정온도의 증가에 따라 겉보기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가압호화액은 측정온도의 증가에 따라 겉보기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가압호화액의 겉보기 점도는 동일온도에서 상압호화액의 겉보기 점도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HPMC 점도의 유탕면 지방소화 지연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In Vitro Lipid Digestibility of Instant Fried Noodle with HPMC)

  • 배인영;장혜림;최연정;이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1-48
    • /
    • 2019
  • 본 연구는 HPMC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점도와 겉보기 점도가 유탕면의 흡유량과 지방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PMC 상업용 소재의 점도와 밀가루 대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보이는 수준으로 밀가루 대신 HPMC를 대체하여 제조한 유탕면에서도 겉보기 점도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HPMC 자체 점도 증가(높은 중합도를 갖는 시료)에 따른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탕면의 흡유량 감소와 지방 소화 지연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HPMC 자체의 높은 점도가 더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점탄성 유체의 정압 열팽창계수, 밀도 및 전단속도 0에서의 점동에 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sobaric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ensity and Zero-shear-rate Viscosity of Viscoelastic Fluid)

  • 최민구
    • 유변학
    • /
    • 제7권3호
    • /
    • pp.181-191
    • /
    • 1995
  • 점탄성유체의 물성치들 중 정압열팽창계수 및 밀도는 자연대류 열전달 연구에 전단 속도 0에서의 점도는 점탄성유체에 대한 모델들 사용 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점탄성유 체이며 마찰 감소 첨가제, 유전자 분리용액동으로 사용하는 Separan AP-273 용액의 정압열 팽창계수, 밀도 및 전단속도 0에서의 점도에대한 농도 및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작동유 체의 물성치들은 10~6$0^{\circ}C$의 온도범위와 100~20,000wppm의 농도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작 동유체의 물성치들에 미치는 열주기와 노화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정압열팽창계수와 전 단속도 0에서의 점도를 교대로 두 번씩 측정했다. 정압열팽창계수 및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 의 측정 정밀도는 증류수에 대한 측정치와 문헌에 나타난 자료를 비교하여 얻었고 이는 $\pm$ 2%이내였다. Separan AP-273용액의 정압열팽창계수 및 밀도는 증류수의 값들로 대치될수 있다. 작동유체의 정압열팽창계수와 밀도는 열주기와 노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낙하식 점 도계를 사용해 측정한 겉보기점도 값들을 나타내느 flow curve에서 전단속도가 0이 되는방 향으로 겉보기점도를 외삽시켜 Separan AP-273용액에 대한 전단속도0에서의 점도를 얻었 다. 정압열팽창계수 측정 전후에 측정한 작동유체에 대한 전단속도 0에서의 점도는 열주기 와 노화로 인해 퇴화되었다.

  • PDF

Hotspa을 이용한 접촉표면의 온도측정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ntact Surface by Using the Hot Spot)

  • 정동윤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2년도 제16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50-56
    • /
    • 1992
  • 공업재료의 표면은 수많은 돌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들의 접촉으로 진실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찰은 겉보기 접촉면적과는 무관하며 진실접촉면에서 일어난다. 표면의 한 돌기가 접촉면과 상대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마찰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마찰에너지 발산의 결과로서 진실접촉면적 주위의 국부적인 표면 온도가 상승되며 따라서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된다. 이러한 표면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이론적 및 실험적인 방법이 많이 제시되어왔다. 정적상태에서의 표면온도는 Block(1937)과 Jaeger(1942)에 의해 이론적으로 소개하였다. Jaeger는 열원의 위치와 상대적인 접촉운동 그리고 크기 및 경계조건 등의 특정한 조건 하에서 진실접촉점의 온도를 계산하였다. 이에 Bany와 Baber(1984)는 그들의 경계조건이 잘목 정의되었음을 지적하고 더욱 세분화된 경계조건으로 온도분포를 유도한 바 있다. Ling(1969)은 접촉점에서의 온도가 주변의 겉보기 접촉면적의 온도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수치해석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는 고속정밀촬영기를 이용하여 진실접촉점에서 발생하는 Hot spot의 온도분포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 그 결과를 Geoim과 Winer의 이론식에 적용하므로 식의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다당류 메틸란의 산 성분 함량에 따른 점도의 변화 (Viscosity Change of Polysaccharide, Methylan by Acids Content)

  • 김상용;김정회;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51-1157
    • /
    • 1997
  • 정제된 다당류 메틸란을 여러 가지 화학 방법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79%의 당이 존재하였고 6%의 단백질과 16%의 유기산이 존재하였다. 배양시간이 증가함 따라 pyruvic acid와 uronic acid 같은 산의 함량이 34시간의 10%에서 72시간에서는 17%까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점도도 증가하였다 메틸란 내의 산의 함량이 점도에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어 주요 유기산인 uronic acid와 pyruvic acid의 함량과 점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생물학적 및 과학적 변형을 통하여 pyruvic acid의 함량이 변화된 메틸란을 이용하여 pyruvic acid의 함량과 점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Pyruvic acid함량이 증가할수록 겉보기 점도와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고 pyruvic acid의 함량이 1% 증가할 경우 약 290 cp의 겉보기 점도와 약 6 dL/g의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및 화학적 변형을 통하여 uronic acid의 함량이 변화된 다당류에서 uronic acid 함량과 점도와 관세를 살펴보았다. 메틸란 내의 uronic aci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여 uronic acid의 함량이 1% 증가할 경우 약 85 cp의 겉보기 점도와 약 1.5 dL/g의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메틸란의 점도 증가는 다당류 내의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고 메밀란의 점도 증가는 uronic acid보다 pyruvic acid에 더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회전식 점도계를 이용한 ERF의 겉보기 점도 특성 (Apparent Viscosity Properties of Electro-Rheological Fluid by Using Rotational Viscometer)

  • 장성철;이진우;김태형;박종근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6-201
    • /
    • 2001
  • Electro-Rheological(ER) fluids change their apparent viscosity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strength. Therefore, there are many practical applications using the ER fluids. ER effect on the dispersive system of polarizable fine powder/dielectric oil has been investigated. The electr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tarch based ER fluid were reported. Yield stress of the fluids were measured on the couette cell type rheometer as a function of electric fields, particle concetrations, and temperatures.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by high voltage DC power supply, The outer cup is connected to positive electrode(+) and the bob becomes ground(-). And the temperatures the viscosity(or shear stress) versus shear rates were measured. In this experiment shear rates were increased from 0 to 200s$^{-1}$ in 2 minutes. This thesis presents Bingham properties of ER fluids subjected to temperature variation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viscosity was determined for ER fluids consisting of 35 weight % starch particles in automatic transmission oil.

  • PDF

쌀 전분 호화액의 틱소트로픽 성질 (Thixotropic Properties of Gelatinized Rice Starch Solutions)

  • 김주봉;김영숙;이신영;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1-456
    • /
    • 1984
  • $6{\sim}10%$ 쌀전분의 가열 및 알카리호화액에 대하여 시간의존성 리올로지특성을 회전점도계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시료 모두 항복응력을 갖는 틱소트로픽유체로 거동하였으나 알카리호화액의 시간의존성이 더 컸으며 전단에 대한 안정성을 보였다. 시간의존특성은 전단 시간 20분까지 Tiu들의 유동모형식에 잘 적용되었으며 식에 포함된 구조의 파괴속도상수 $a_1$ 값은 호화액의 구조적상태변화와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_1$ 값은 전단속도에 대하여는 두시료에서 모두 직선적인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농도 및 온도에 대하여는 겉보기 점도와 마찬가지로 지수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8 % 쌀전분의 가열호화액에 대한 $a_1$ 의 온도의존성은 겉보기점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30{\sim}70^{\circ}C$에서 측정한 $a_1$ 및 겉보기 점도의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6.8 및 14.3 $kcal/g{\cdot}mol$ 이었다.

  • PDF

Wheel형 분무건조기에 반응표면법에 의한 치즈 분말의 특성 해석 (Analysis of Powder Characteristics of Cheese by Using RSM in Spray Dryer with Rotating Wheel Atomizer)

  • 강안수;여경목;김용렬;김복남;안형환;이한섭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147-1155
    • /
    • 1996
  • Wheel형 분무건조기에서 식품첨가제로 사용되는 치즈분말의 건조공정을 반응표면법에 의하여 원료의 고형분함량, wheel 회전속도 및 출구온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분말제품의 수분함량, 겉보기밀도, 분말 입자크기 및 현탁액의 점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분산분석한 후 유의성과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들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입자크기와 수분함량은 wheel의 회전속도가 커질수록 감소하였고, 겉보기밀도는 출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현탁액의 점도는 wheel의 회전속도와 고형분함량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분말제품의 종속변수들의 상관관계에서 수분함량과 겉보기밀도는 비례 관계, 입자크기는 수분함량과 겉보기밀도와 반비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분리대두단백의 첨가에 따른 영양음료 Base의 Rheology 특성 변화 (The Change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Nutritional Beverage Base by the Soy Protein Isolate)

  • 신제호;서종교;이석기;심재헌;김상교;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38-64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영양음료 base를 제조할 때 단백질 급원으로 분기대두단백질(soy protein isolate; SPI)과 sodium caseinate를 혼합비를 달리하여 5종의 시료를 제작하였고 각각의 유동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circ}C$에서 전단속도를 $0\;sec^{-1}$에서 $500\;sec^{-1}$까지 변화시킬때, SPI 비율이 커질수록 시료는 newtonian 유동특성에서 pseudoplastic 유동특성으로 변화되고 비율이 더욱 커짐에 따라 항복력을 동반한 bingham pseudoplastic 유동특성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SPI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체 조직 중 progel의 형성이 많아지고 이것이 유동특성에 변화를 주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유동특성과 온도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각 시료를 온도변화에 따라서 겉보기 점도 $(log{\eta}_{app})$와 1/T의 관계를 도시한 결과 겉보기 점도는 모든 시료가 $250\;sec^{-1}$의 전단속도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PI의 첨가량이 많은 시료일수록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Ea (활성화에너지)는 SPI의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0.8035{\sim}1.5947{\times}10^4\;J/kg{\cdot}mol)$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SPI의 비율이 높은 시료는 열처리 공정 후 progel화 된 SPI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이에 따라 겉보기 점도가 증가하고 유동 활성화에너지 외에 분자간 회합등을 절단하는데 소요되는 구조 활성화에너지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겉보기 점도와 시간의존성의 관계에서는 SPI의 비율이 일정수준 이상일 경우 hysteresis loop를 관찰하였고 전단응력의 변화에 따라 조직붕괴가 심해져 결과적으로 시료의 유동특성이 크게 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