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검은무늬병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병 저항성 기반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 관리 (Disease Resistance-Based Management of Alternaria Black Spot in Cruciferous Crops)

  • 이영희;김수민;이승빈;김상희;윤병욱;홍점규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63-376
    • /
    • 2023
  • 검은무늬병은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십자화과 작물을 황폐화시키고 있으며, 브로콜리, 배추, 케일, 무, 유채 등의 생산에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다.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은 A. brassicae, A. brassicicola, A. raphani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Alternaria 종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병원균들은 감염된 종자나 매개충에 의하여 전반된다. 본 총설에서는 검은무늬병에 대한 십자화과 작물의 병 저항성 형질을 발굴하기 위한 그 동안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병 저항성을 위한 유전 자원이 십자화과 작물의 근연 야생종으로부터 조사되었으며, 십자화과 작물의 상이한 품종들이 다른 접종 조건에서 선별되었다. 검은무늬병 저항성 작물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식물 방어 관련 유전자들을 이용한 십자화과 작물의 형질 전환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β-Amino-n-butyric acid나 멜라토닌과 같은 화학 물질을 전처리하여 활성화된 식물 면역이 십자화과 작물의 검은무늬병을 줄이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검은무늬병 저항성 형질은 다른 서식지에서 유래한 모델 식물 Arabidopsis 생태형들에서도 평가되었다. 야생형 Arabidopsis와는 상이한 병 저항성을 보이는 식물 면역 관련 돌연변이체들은 십자화과 작물에서 검은무늬병을 관리하는 데에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러한 돌연변이체에서 변동된 산화-환원 조절과 항산화 반응에 대하여 본 총설에서 논하였다.

한국(韓國) 배 흑성병(黑星病) 병원균(病原菌) 연구(硏究) (The Causal Organism of Pear Scab in Korea)

  • 조의규;조원대;이은종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3-265
    • /
    • 1985
  • 한국에 발생하는 배나무 검은별 무늬병 병원균의 특성과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분리된 검은별 무늬병균의 분생자의 길이와 폭은 평균 $14.6-6.4\;{\mu}m$이었으며 분생자경의 길이와 폭은 평균 $13.5-4.6\;{\mu}m$이었다. 병원성 경정은 Flemish Beauty, Beurre Delicious, Winter Nelis (서양배), 신고(일본배)에 인공상처 접종한 결과 신고의 잎에서만 전형적인 검은별 무늬병의 병징이 재현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배 검은별 무늬병균은 V. nashicola에 가까운 것으로 판정 되었다.

  • PDF

Alternaria brassicicola에 의한 무 검은무늬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ective Method for Testing Resistance to Black Spot of Radish Caused by Alternaria brassicicola)

  • 이지현;장경수;최용호;김헌;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210-219
    • /
    • 2017
  • 본 연구는 Alternaria brassicicola에 의해 발생하는 무 검은무늬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A. brassicicola 7균주의 포자 형성량과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실험한 균주 중, A. brassicicola KACC 40036과 43923 균주는 V-8 juice agar 배지에서 가장 많은 포자를 생산하였다. 그리고 실험한 균주 모두는 무 유묘에 대하여 강한 병원력을 나타냈다. 시판 중인 무 61개 품종의 A. brassicicola KACC 40036 균주에 대한 저항성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실험한 품종 중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품종은 없었으나 '금봉'과 '새롬'같이 약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이 발견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추후 실험을 위해 저항성 반응에 차이를 보이는 4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이들 4개 품종의 접종하는 무의 생육 시기, 접종원 농도 그리고 접종 후의 재배 온도에 따른 검은무늬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실험한 모든 품종은 어린 유묘일수록 검은무늬병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였으며, 더 많은 A. brassicicola 포자를 접종할수록 검은무늬병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접종한 유묘를 $25^{\circ}C$의 습실상에서 배양하였을 때에는 $20^{\circ}C$$30^{\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보다 검은무늬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로부터 무 품종의 검은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무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pm}5^{\circ}C$)에서 16일 동안 재배하고, 이 유묘에 A. brassicicola 균주의 포자현탁액($2.0{\times}10^5spores{\cdot}mL^{-1}$)을 분무하여 접종하고, 접종한 식물은 $25^{\circ}C$ 습실상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25^{\circ}C$, 상대습도 80%의 생육상에서 재배하고, 접종 2일 후에 병반면적율을 조사하는 것을 제안한다.

단일살균제에 의한 땅콩 녹병과 검은무늬병의 관리 (Management of Leaf Spots and Rust Diseases of Peanut by Single Fungicide)

  • 랄타코레 B.B.;S. 마투르;R.B. 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3-115
    • /
    • 1987
  • 땅콩녹병과 검은 무늬병을 방제하기 위한 살균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실내와 포장에서 실험한 결과 12개 공시약제중 Biloxazole이 상기 두 병해의 동시방제에 효과적이었으며 땅콩 수량도 증진되였다.

  • PDF

참깨 검은무늬병(病) 및 잎마름병(病)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Alternaria and Corynespora Blights of Sesame)

  • 유승헌;김홍기;강여규;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69-176
    • /
    • 1981
  • 충남일원(忠南一圓)의 참깨 재배포장(栽培圃場)의 병해발생상(病害發生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Alternaria sesami에 의(依)한 검은무늬병(病)과 Corynespora에 의(依)한 잎마름병(病)의 발생(發生)과 피해(被害)가 극심(極甚)함을 확인(確認)하였다. A. sesami에 의(依)한 검은무늬병(病)은 우리나라 참깨 포장(圃場)에서는 그 발생(發生)이 보고(報告)된 바 없는 새로운 병(病)으로서 잎에서는 암갈색(暗褐色)${\sim}$흑색(黑色)의 병반(病斑)이 생기고 점차 확대(擴大)되며 심(甚)한 경우에는 잎이 말라 찢어지며 고사(枯死)하고 탈락(脫落)한다. C. cassiicola에 의(依)한 잎마름병(病)의 병징(病徵)은 잎에 자색(紫色), 갈색(褐色) 또는 적갈색(赤褐色)의 부정형(不定形) 병반(病斑)이 생기며 점차 확대(擴大) 되어 조기낙엽(早期落葉)을 초래(招來)한다. 이 두가지 병(病)은 모두 참깨의 유묘기(幼苗期)부터 발생(發生)하나 특(特)히 성숙기(成熟期) 이후(以後)에 많이 발생(發生)한다. A. sesami와 C. cassiicola균주(菌株)의 배양적온(培養適溫)은 모두 $27^{\circ}C$였고 포자형성(胞子形成)은 암묵(暗?)에서 배양(培養)한 것보다 12시간(時間) 간격(間隔)으로 광(光)을 조사(照射)할 경우에 촉진(促進)되었다. A. sesami와 C. cassiicola의 균사생장(菌絲生長)과 포자형성(胞子形成)을 촉진(促進)하는 배지(培地)로는 각각(各各) sesame oatmeal agar(SOA)와 PDA배지(培地)였다.

  • PDF

당근 유기재배를 위한 병해충 저항성 품종 선발 (Selection of Desirable Cultivar for Organic Cultivation of Carrot)

  • 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95-98
    • /
    • 2011
  • 국내 당근 유기재배를 위한 저항성 품종 선발을 목적으로 한 실험에서는 당근 유전자원 32품종을 이용하여 병저항성(흰가루병, 검은무늬병, 검은잎마름병) 검정, 내충성 및 추대 정도를 조사하였다. 흰가루병 스크리닝 결과 'PI 223360'이 저항성이었으며, 'Oxheart Carrot Heirloom'를 포함한 10개의 품종이 중도저항성이었고 'Long Impeator #58'을 포함한 22품종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검은무늬병과 검은잎마름병의 스크리닝 결과 모든 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몇몇 품종이 중도저항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충성을 조사한 결과 'Oxheart Carrot Heirloom'를 포함한 13품종이 내충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ntes Coreless Carrot'을 포함한 11개의 품종들이 중간정도를 나타냈으며 'SA 102'와 'Scarlet Keeper Carrot Rare'은 감수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대조사 결과에서는 'Hongsim Ouchon Carrot'을 포함한 6개의 품종이 이른 추대를 보였으며, 'Japanese Imperial Long Carrot'를 포함한 4개 품종이 중간 추대를 나머지는 만추대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Oxheart Carrot Heirloom'이 조사한 32개 당근 유전자원 중 유기재배를 위한 품종으로 선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