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걷기운동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9초

고유수용성 저항운동이 사회복지시설 이용 여성 노인의 근지구력, 동적 평형성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rioceptive exercise on muscle endurance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gait ability of elderly women in social welfare facility)

  • 오유성;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69-167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14주 고유수용성 저항운동이 사회복지시설 이용 여성 노인의 근지구력, 동적 평형성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연령이 70세 전후의 30의 여성 노인을 운동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은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에 근지구력(30초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 동적 평형성(3m 왕복 걷기)과 보행능력(10m 걷기, 400m 걷기)을 검사하였다. 운동집단은 주 3회 60분간 스위스 볼을 이용한 고유수용성 저항운동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하체 근지구력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고, 동적 평형성을 평가하는 3m 왕복 걷기에서도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보행능력인 10m 걷기와 400m 걷기에서도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유수용성 저항운동에 의한 동적평형성과 보행능력의 개선은 여성 노인의 낙상 관련 가능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기기 연구 (Study of measurement equipment with acceleration sensor evaluating motion quantity)

  • 조원식;김광성;김경호;황두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97-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운동시간과 칼로리 소모량, 운동시신체운동정도를 3축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건강밴드를 설계 하였다. 건강관리를 위해 하는 운동은 많은 양의 운동을 하는 것 보다 규칙성 건강을 관리를 해야 한다. 주거환경의 변화가 친환경적으로 되는 지금 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집 주변에서 운동을 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밴드를 설계하여 보다 쉽게 규칙성 있게 도와주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설계 하여 각 운동별로 센서의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론 측정한 결과 걷기, 조깅, 줄넘기의 3축가속도 센서의 측정간은 걷기에서는 X축의 센서의 변화량이 다른 축의 변화보다 변화량이 많이 심하였고 조깅의 경우 X, Y, Z축의 변화량이 전체적으로 걷기보다 변화가 많았다. 줄넘기에서는 걷기, 조깅과는 다르게 신체의 움직임이 상하로 많이 있는 운동이기 때문에 Y, Z축의 변화량이 X축의 변화량 보다 많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별 신체의 사용량 측정에 이용이 가능하다.

  • PDF

중년여성의 혈중 지질농도, 신체증상, 헤모글로빈에 미치는 단전호흡운동과 걷기운동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anjeon Breathing and Walking to Blood Lipids, Physical Symptoms and Hemoglobin in Middle Aged Women)

  • 현경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41-52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anjeon Breathing exercise and walking exercise on blood lipids, physical symptoms and hemoglobin of middle-aged women to determine which of these two exercises was more beneficial. Methods: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20) took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and performed an eighty-minute Danjeon breathing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while the walking exercise group(25) took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and performed a walking exercise seven hours per week for 12 weeks. The control group(20) received only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The groups were homogeneous on age, religion, marital status, education, profession,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menopause, smoking, drinking, fat intake and cholesterol intake. Likewise, the groups were homogeneous on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atherogenic index, hemoglobin and physical sympto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 program and $x^2$-test, ANOVA, repeated measures of ANOVA and LSD. Results: 1. Total cholesterol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and the walking exercise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HDL- cholesterol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and the walking exercise group were not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3. Atherogenic index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atherogenic index of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not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4. Hemoglobin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and the walking exercise group were not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5. Physical symptom score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was lower than those of the walking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Physical symptom score of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not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Danjeon breathing exercise and walking exercise are effective for decreasing total cholesterol of middle-aged women. Danjeon breathing exercise is more effective for decreasing atherogenic index and physical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than walking exercise.

  • PDF

걷기운동 및 Thera-Band를 이용한 하지근육 강화운동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피로, 신체적 기능정도 및 질병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risk Walking &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band on Pain, Fatigue, Physical Function, and Disease Activity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은남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4-93
    • /
    • 2001
  • The effects of brisk walking &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pain, fatigue, physical function & disease activity were examined in 28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14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for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the out patients on rheumatoid arthritis clinic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16 weeks of brisk walking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ra-Band. Pain, fatigue, physical function & disease activit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16 weeks of exercise. At baseline test, Fatigue & physical function score between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o differences with in experimental group(baseline versus follow up) were compared with differences within the control group by Mann-Whitney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difference score on pain (U=6.50 p<.001) and fatigue (U=26.5 p<.01).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 on the pain & fatig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no changed for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difference score of the physical function (U=22.5 p<.001).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 of the physical function has been significantly in creased. However, for the control group, it has been no chang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the CRP (C-reactive protein)level. In summary, brisk walking &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in, fatigue, and physical function without exacerbating disease activity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PDF

중년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단전호흡운동과 걷기운동의 효과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anjeon Breathing and Walking to Physical fitness in Middle Aged Women)

  • 현경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9권1호
    • /
    • pp.15-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anjeon Breathing exercise and walking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d women.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20) took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and performed an eighty-minute Danjeon breathing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while the walking exercise group(25) took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and performed a walking exercise seven hours per week for 12 weeks. The control group(20) received only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VO_2max$, back strength, flexibility, balance, power and ag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developed by the Korea Physical Science Institu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 program and $x^2$, ANOVA, repeated measures of ANOVA and LS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back strength, flexibility, agility and power among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walking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he degree of back strength, flexibility and power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lking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degree of agility of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VO_2max$ and balance among Danjeon breathing exercise group, walking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Danjeon breathing exercise improves back strength, flexibility and power than walking exercise and walking exercise improves agility than Danjeon breathing exercise.

  • PDF

일개 광역시민의 신체비활동 관련 요인 분석연구 (Related Factors to Physical Inactivity of Residents in One Metropolitan City)

  • 강성욱;홍지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배석환;김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1076-1079
    • /
    • 2011
  • 본 연구는 일개 광역시 주민들 400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관련 특성, 신체비활동 정도를 조사하여 신체비활동의 유발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걷기운동 미실천 수준의 경우 연령, 교육수준, 의료보장, 직업, 기초생활수급유무, 독감 예방접종, 체중조절시도, 고위험음주, 스트레스 인지정도, 지역사회 운동프로그램참여, 운동시설의 접근성이, 중등도 이상의 운동 미실천의 경우, 성별, 연령, 월 소득, 가구소유, 건강검진 여부, 체중 조절 시도, 현재 흡연 여부, 지역 사회 운동 프로그램참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신체비활동 수준을 결과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걷기운동의 경우 20대에 비해서 30대가 1.46배, 40대가 1.57배 미실천률이 높고, 사무직이 전문행정관리직에 비해 1.37배, 체중조절을 시도하지 않은 군이 한 군에 비해 1.70배,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 군이 안 느낀 군에 비해 1.58배, 조금 느낀 군에 비해 1.38배, 운동시설 접근성이 어려운 군이 쉬운 군에 비해 1.7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등도 이상 운동의 경우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미실천율이 1.74배, 체중조절시도를 안한 군이 한 군에 비해 1.63배, 지역사회운동프로그램참여 안한 군이 한 군에 비해 2.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여러 가지 만성질환이 대두되고 있고, 이에 따른 신체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신체활동 실천율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신체활동의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체비활동 결정짓는 요인들에 대해 우선 파악해야 한다. 분석결과 가장 차이가 나는 것은 운동시설의 접근성과 지역사회운동프로그램의 불참군에서 가장 신체비활동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Walking Exercise on Physiological index, Physical Fitness, Self 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 손조욱;이지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physiological index, physical fitn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aged over 70. Sample and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for eight weeks from the 2nd of July to the 27th of August 200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6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walking exercise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have walking exercise. The intensity of the walking exercise allowed 50-65% of the maximum heartbeat. Resul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flexibility, left grip strength, sense of equilibrium,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lower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alking exercise has the effect of decreasing diastolic blood pressure together with improvement in flexibility, left grip strength, sense of equilibrium,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aged over 70. According to the results presented above, walking exercise can be strongly recommended for improving the health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 PDF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노인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Walking Program on Physical Health in Older Adults)

  • 김희걸;남혜경;조경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3-190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walking program on body mass index (BMI), blood pressure,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one group pretest-posttest) was employ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Seoul and a total of 57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ompleted the 10-week walking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by SPSS WIN 14.0. Result: The participants showed lower BM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cholesterol level, and blood glucose level after than before participation in the walking program. Body mass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t= 2.911, p= .005) after completing the walking program.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after completing the walking program.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10-week walking program had favorable effect on BMI. Future research needs to target various older adult groups during a long-term period.

  • PDF

골관절염 노인의 신체활동이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치는 영향 :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n Str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백현희;정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67-276
    • /
    • 2020
  •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골관절염 노인 104명을 대상으로 3가지 신체활동 즉 걷기, 근력운동, 유산소 활동에 대한 각각의 실천율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율의 차이와 신체활동이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근력운동 실천율 낮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걷기와 유산소 활동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에서는 스트레스를 느끼는 군이 스트레스가 전혀 없다는 군에 비해 걷기와 유산소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를 조금 느낀다고 한 군이 3일 이상 걷기를 가장 많이 실천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서 운동능력은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는 군에 비해 걷기, 근력운동, 유산소 활동을 실천하는 군이 운동능력이 좋았으며, 자기 관리에서는 걷기, 유산소 활동을 실천하는 군이 자기 관리에 문제가 없었고, 일상활동은 걷기, 근력운동을 실천하는 군이 일상활동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통증/불편 영역에서는 걷기를 실천하는 군이 통증/불편감이 적게 나타났으며, 불안/우울 영역에서는 걷기 실천하는 군이 불안/우울이 적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골관절염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 수준을 높이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여성 골관절염 노인의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개선이 우선적으로 강조되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