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 형태와 공간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typical Architecture Classification and Main Public Space of the Museums (박물관의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3
    • /
    • pp.88-102
    • /
    • 2021
  • This study focused on the museums mainly holding permanent exhibitions except for the function of special exhibition in museum architectural works.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central space of museums, by applying the forms like formal form, informal form, segment form, and diagonal form shown through a case study to total 164 work cases, reclassifying the architectural form into informal form, formal form, semi-formal form, segment form, diagonal form, and linear form, and then analogizing the matter of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central space of museums. The relevant conten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most of the central spaces according with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were the informal form, which showed 92.7% distribution rate. overall, there were many cases of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Compared to the formal form,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with central space.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is estimated to be continuously developing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basic data aiming fo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entral space and architectural form.

A Study on the Morphogenesis of Polyhedra as Design Sources of Architectural Structures (건축구조 디자인 요소로서 다면체의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 Choi, Sun-Young;Park, Sun-Woo;Park, Chan-Soo;Choi, Chui-Kyung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6 no.2 s.20
    • /
    • pp.107-1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rphology of polyhedra as a tool diversifying the approach to structures and shapes, and to consider the way of the morphogenesis as structural design sources. First, through many examples in nature and styles used as the rhetorical representation of buildings, the shapes of which are based on one of polyhedra are shown. Secondly, the morphogenetic characteristics of polyhedra limited to pure lattice structure are investigated. Thereby the methodology of spatial morphogenesis of polyhedra as structural design sources are generated.

  • PDF

A study of convergence correlation between freeform architecture classification of museum and exhibition space -Focus on the Netherlands, Germany and Singapore- (박물관의 비정형건축형태분류와 전시공간과의 융합상관성 고찰 - 네덜란드, 독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

  • Oh, Sun Ae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7 no.4
    • /
    • pp.205-216
    • /
    • 2019
  • Today, there have been more museums with architectural freeform structure.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at caused a change in the paradigm of the genealogy of architectural forms. Accordingly, it has been required to find whether the freeform architecture influences an exhibition space.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reeform architecture and exhibition space, this study looks into the tendency of actual freeform architecture through case analysis after 2000. An exhibition space of museum serves as a socially, culturally, and locally symbolic icon and has the function of delivering information to viewers through the aesthetic presentation of articles on exhib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drew the conclus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freeform architecture and exhibition space in order to infer that a freeform exhibition space is more effective at viewers' spatial experience. The method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literature survey on the concept of the freerform architecture of museum and th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forms was conducted and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Secondl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visits to Singapore, Germany, and the Netherlands in order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freeform architecture and exhibition space. In this case, Karel Vollers' architectural freeform criteria were used for analysis. Thirdly, to 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freeform architecture and exhibition space, each case was cross-checked on the basis of Karel Vollers' architectural freeform criteria and freeform exhibition classification, and then results were drawn.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EX(angle, ortho) of freeform architectur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agonal form of exhibition space. That was proved 92.3% accurately more in the Netherlands and Germany than in Singapore. However, the curve form of exhibition space had a unclear correlation. In Singapore case, the curve form correlation was made through RO, FR, and TW. Secondly, freeform architecture had complex-typed combination with the diagonal and curve forms of exhibition space. In particular, N-02 and G-02 had a combination form, basically EX, and partially various forms so as to induce the complexity of free form. As such, architectural freeform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infinite transformation in various combinations. For responses, combinational approaches are required in multilateral ways.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plann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reeform architecture of museum and exhibition presentation.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사례 연구 -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

  • Song, S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97-299
    • /
    • 2012
  • 유럽에서 지어진 플로팅 건축물을 중심으로 상부 시설에 적용된 모듈러 시스템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형은 단위 공간 모듈러를 적용하는 경우와 단위 건축물 모듈러를 적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단위 공간 모듈러의 경우 동일 형태의 반복에 의한 유형과 서로 다른 형태의 결합에 의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Theories and Changes of Architectural Spatial Form (건축공간-형태의 이론과 변천에 관한 연구)

  • 이기승;윤도근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13
    • /
    • pp.238-248
    • /
    • 1997
  • The spatial form of architecture in the same era has its own common characteristic spatial form. This study is based on this proposition and is focused on how architectural spatial forms have been changed up to now after modern ages(from the beinging of 1900s to the early days of 1990s ; from early modern age, golden modern age, post modern, late modern architecture to recent experimental trend) and how architectural theories of spatial forms will be changed in the future is predicted.

  • PDF

Implementing a Smart Space Service Testbed based on the Concept of Reconfigurable Spatial Functions (Reconfigurable Space 개념에 의한 스마트공간서비스 시나리오의 테스트베드 구현)

  • Cho, Yun-Jung;Kim, Sung-A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55-86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 of dynamically reconfigurable space by introducing smart building components. Thanks to the advances in ubiquitous computing and ITC technology, we are able to expect, in the near future, the aspects of future buildings which may transform their appearance and states to perform specific functions. In other words, it is certain that the building space will actively reconfigure itself to accommodate user's needs once we acquire proper technolog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uilding components may not be transformed through the magical process, but change its physical states (e.g. transparency, illumination, display contents, etc.) and functions of embedded devices (e.g. audio, actuators, sensors, etc.), we can envision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smart space. In order to conceptualize such spaces, critical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current works of leading architects. When the room needs to be used as a specific function room, the components need to change theirs states or to behave in a certain manner to create an optimum environment. Our model defines the relationships and elements to describe the mechanism of reconfigurable space. We expect this model provides a conceptual guideline for developing a smart building components based on spatial service scenarios. Therefore, a future smart spaces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technologies are not designed in deterministic manner, so that spatial functions are expanded without constrained by physical existence.

  • PDF

공간클럽(09)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418
    • /
    • pp.86-89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12)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5 s.421
    • /
    • pp.98-102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03)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8 s.412
    • /
    • pp.60-65
    • /
    • 2003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공간클럽(10)

  • Lee, Jae-Hun
    • Korean Architects
    • /
    • no.3 s.419
    • /
    • pp.64-70
    • /
    • 2004
  • 건축공간에 대해 막연히 동경하며, 좋은 건축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기억해본다. 그다지 손에 잡히는 것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건축주의 요구와 구조, 기능, 설비, 건축비의 문제에 매달려 좋은 건축공간이 가져야할 모습을 마지막까지 지키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축가에게 꿈같은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해본 적이 없는 나만이 만들어낸 건축공간일 것이다. 그것은 영원한 건축가의 꿈이며,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건축인이 건축적 삶을 사는 근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근래, 건축공간에 우선하여 형태적 유희나 재료의 표현, 프로덕션의 즐거움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경향이 보여지기도 하지만, 건축이 존재하는 고유한 영역은 결국 공간이라는 것에 모두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젊은 시절 건축공간에 대한 향수를 달래며, 잊혀져가는 건축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일으키고자 공간클럽이라는 이름으로 건축공간에 대한 이런 저런 얘기를 던지려고 한다. 더러는 일반적인 이야기도 있겠지만, 소주제를 통해 건축공간을 전혀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