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 자재 재사용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cycling of the construction wastes and reformation of the system)

  • 김영준;정명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2호
    • /
    • pp.27-35
    • /
    • 2012
  • 건설폐기물 중 다량으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는 현재 순환골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순환골재의 사용은 구조물로 사용되기 보다는 채움재나 성토재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폐콘크리트와 같은 순환골재가 구조물의 건축자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품질향상과 함께 가능한 많은 수요처를 확보하는 등의 적극적인 활성화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건설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 재활용현황, 그리고 재활용에 관련된 제도 및 재활용을 저해하는 요인 등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성접착제를 이용한 목조주택 내벽용 황토 마감재의 물성 및 친환경성 (Loess(Yellow Soil) Finishing Materials Using Water-based Adhesive for Wooden Construction Indoor Wall)

  • 안재윤;김기욱;김수민;오진경;김현중;박문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00-107
    • /
    • 2007
  • 현대인들은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하루 중 90% 달하는 것을 간주할 때 실내의 공기는 현대에게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건축 재료는 천연재료에서 화학물질을 기본으로 하는 재료로 변하게 되고 에너지 절약의 대책으로 건물의 기밀도를 높임으로써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현대인에게 악영향을 미치기 시작했고 이런 요소들이 근원이 되어 새집증후군을 유발하게 되었다.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고 보다 유익한 친환경 건축자재를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토, 물, 수지, 경화제, 무기물 충전제를 이용한 친환경 황토 마감재를 개발하였고 한국형 목조 주택 내장벽에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런 황토 마감재가 실내벽에 사용 시 요구물성인 내잔갈림성, 내세척성, 내충격성, 부착강도를 측정하였고 황토마감재의 특성인 원적외선 실험과 포름알데히드, TVOC 방산 농도를 통하여 친환경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공동주택 유형별 친환경 마감재 사용 실태분석 연구 (Actual Use Pattern of Environment-friendly Finish Materials in Recently-Constructed and Remodeled Apartment Houses)

  • 이지순
    • KIEAE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39-45
    • /
    • 2011
  • The concepts of interior design work have set forward an aesthetic and functional proposition to be answered by those who design spaces. The available range of suitable materials for interior use appears to be almost inexhaustible in this day and age. Now a day, relatively new fields of study on environmental-friendly interior examine humans'innate affinity for health and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A growing field of research suggests that spaces' relationship to aesthetics and environment can either help or hinder their occupants' health and wellness, productivity, and even their creativity. This paper presents several examples of already built apartment houses in practice, and discusses the demand of users of the spaces for health and sustainable environment, deep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ly-constructed spaces and the remodeled ones. The considerations to some new and contemporary materials from the aspect of healthy indoor architecture design are presented in this paper. Designers need to rethink the conventional and high-tech interior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es with respect to perceived air quality, material emissions, and odors. The future of interior design is oriented on light shapeable materials which are able to create a unique memorable atmosphere. The primary assignment in accepting recent materials and proceedings is our responsibility to creating proposals, that are mainly safe, hygienic and environmentally proper.

공동주택의 실내부 표면적 및 사용 마감재 구성 실태분석 (Real Survey on Interior Surface Area and Applied Finishes in Recently-Planned Apartment Houses)

  • 이지순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115-121
    • /
    • 2010
  • This paper is an outgrowth of many years of practicing real interior work projects and one of my responses to the question not only about the actual dimension of interior work surface but also about th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finishing materials in basic interior project of high-rise apartment houses. For this purpose, 8 conventional apartment units which are already-built or designed have been surveyed and the results are interpreted in the form of proportion of space and finishes. The data can be applied to make up a schematic design in the selec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works and assessment of the degree of sustainability. For further study, the basic data provided here can be used as an index to differentiate the occupants' desire toward green interior design for their own apartment spaces,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interior work in the Korean market. Not surprisingly, wall paper is dominated to make the interior surface in apartment houses. In the percentile of the utilization of finishing materials, wood-flooring and coating materials like wet paint also ranked at the upper position.

건축물 열환경 특성제어를 위한 상변화 축열재 (Heat Storage Material by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to Control Buildings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 윤희관;한성국;심명진;안대현;이웅목;박종순;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22-526
    • /
    • 2010
  • 축열이용기술은 열저장효과를 이용하여 냉난방 부하가 적을 때 남는 열을 저장하였다가 부하가 증가할 때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열저장 물질의 온도이용 특성에 따라 현열축열과 잠열축열로 구분한다. 잠열축열은 특정 온도 범위에서 상변화 할 때 높은 잠열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열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열저장을 위해 소요되는 공간 크기가 현열 축열에 비하여 작아지게 되고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열의 흡수 및 방출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냉난방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온 상변화물질을 축열재로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 석고 등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물질이 에너지절약성능은 물론 건축자재로서 필요한 물성을 갖추기 위하여 최적배합 방법 및 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중량비로 3% 들어간 축열모르타르의 냉각지연효과는 약 19%로 나타났다.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혼입된 경량 콘크리트의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Light-weight Concrete Using Wasted Form Polyurethane)

  • 박상효;이성규;이민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56-362
    • /
    • 2016
  • 경량 콘크리트는 기포제를 사용하여 건축자재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포제의 사용은 콘크리트의 체적이 감소되고,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기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산업 부산물인 폐발포 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하여 콘크리트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시공성과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소량의 혼화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혼화재의 혼입률이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혼입된 경량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두 개 회사의 혼화재 중에서 폐발포 폴리우레탄이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혼화재의 혼입률을 다르게하여 배합한 결과는 혼화재의 혼입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감소된 반면, 콘크리트의 함수율과 압축강도는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난연성능과 차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VD법에 의해 제작한 Zn계 합금박막의 밀착성과 내식특성에 미치는 형성구조 (Influence of formation structure on corrosion resistance and adhesion properties of Zn alloy thin films prepared by PVD method)

  • 배일용;임경민;윤용섭;정재인;이명훈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Fine pattern PCB 표면 처리 기술 워크샵
    • /
    • pp.46-46
    • /
    • 2011
  • 각종산업의 건축자재, 전기기기 등의 분야에서 내식성 향상용 표면처리 도금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연과 실용금속 중 가장 가벼우면서 비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뛰어난 Mg을 사용하여 Zn-Mg의 합금 박막을 제작하였다. 여기서는 Zn, Mg 단일 박막의 밀착성과 내식성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모재와 코팅층 사이에 Al을 삽입하여 (Zn-Mg)/Al 합금 박막을 형성시켰다. 또한 박막의 증착과정 중 이들 막의 제어는 바이아스 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진공도를 변수로 하였고, 진공도에 따라 달라지는 쳄버내의 가스 입자가 흡착 인히비터로 작용해서 박막의 몰포로지와 결정배향성의 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박막의 내식성과 밀착성에 미치는 몰포로지나 결정배향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최적의 코팅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써 중간층 유무별 Zn계 합금박막의 기초적인 제작설계 지침을 제공하였다.

  • PDF

아크릴 반구를 이용한 밀폐 조건에 따른 재료별 열 이동 특성 분석(I): 실내마감재 종류에 따른 비교 (Analysi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y Materials in Closed Conditions Using Acrylic Hemisphere (I): Comparison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 YANG, Seung Min;LEE, Hyun Jae;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17-230
    • /
    • 2020
  •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온실가스 감축 계획으로 에너지 소비 감소 계획이 제안되고 충족을 위한 건축물이 열관류율 기준이 강화되었다. 한국에서는 소비되는 전체 에너지 중 약 25%는 건축부문에 사용되고 있으며 건물 에너지 소비량 감소를 위한 열전도율이 낮은 건축자재 또는 단열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의 활용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내부 마감재로 사용될 경우 건물 에너지 소비가 최대 7%까지 감소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실내마감재로 사용되는 3가지 유형의 마감재(시멘트, 오동나무, MDF)에 따라 열전달특성 및 열용량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열 이동은 복사열의 형태로 전달되며 오동나무 마감재 사용시 에너지량과 열전달량이 가장 많은 결과로 실내 마감재로 목재 사용 시 건물 내부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비스페놀류의 사용 현황과 위해성: 소고 (Current State of Use and the Risks of Bisphenols: A Minireview)

  • 송창엽;김웅;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81-594
    • /
    • 2017
  •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과 에폭시 레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내분비계 교란물질이다. BPA가 함유된 플라스틱은 물병, 식품용기, CD, DVD, 그리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BPA가 함유된 에폭시 레진은 상수도관 내의 코팅제, 식품용 캔 그리고 영수증용 감열지 등에 사용되고 있다. BPA의 에스트로젠 유사효과와 다른 유해 영향이 많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많은 나라에서 BPA가 규제되고 있으며, BPA의 대체재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비스페놀 S와 비스페놀 F가 BPA의 대체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BPS와 BPF가 함유된 제품들이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다. 하지만, BPA와 비슷한 화학구조 때문에 이 대체재들 또한 BPA처럼 내분비계의 교란을 일으키며 이 대체재들의 유해 영향도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소고에서 비스페놀류의 유해 영향과 규제 현황을 기술하고자 한다.

페로니켈슬래그 순환자원을 활용한 점토기와의 성능평가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lay Roof Tiles Using Ferro Nickle Slag Recycled Resources)

  • 김순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1-291
    • /
    • 2021
  • 건설산업의 환경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축 자재의 친환경성을 강화하고 내구수명을 연장하여 신축 및 철거를 최소화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한옥의 지붕마감 공법이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경제성, 무게, 내구성 등의 문제점으로 기존공법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한옥 건물의 지붕재로 사용되는 점토기와의 제조방법에 경주에서 생산된 기와용 점토와 고령토와 S사의 재활용 FNS(Ferro Nickel Slag)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전통 점토기와의 개발 특성과 재료를 연구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