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행정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Method of Update and Inspection for Building Layer of Digital Maps 2.0 using e-AIS Data (인터넷건축행정시스템(e-AIS) 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2.0의 건물 레이어 갱신 및 검수 방안)

  • Kim, Hyo-Joong;Yang, Sung-Chul;Ga, Chill-O;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27-433
    • /
    • 2008
  • 수치지도는 제작 과정뿐만 아니라 갱신 및 검수 작업도 정확성과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항공사진과 현지측량을 통한 기존의 갱신 방법은 짧은 주기로 변하는 현실 세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고 있어 수치지도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인 새로운 갱신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인터넷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도면과 건축물대장정보를 이용하면 신축, 개축, 증축 등이 수시로 일어나는 건물에 대해 수치지도의 갱신을 위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도면에서 추출된 공간 정보와 건축물대장에서 취득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의 건물 레이어를 갱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Maps Updating and Checking System using Construction Drawings of e-AIS(around Building Layer) (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 도면을 활용한 수치지도 갱신 및 검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건물레이어를 중심으로))

  • Ga, Chill-O;Yang, Sung-Chul;Kim, Hyo-Joong;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62-263
    • /
    • 2008
  • 수치지도는 다양한 GIS 어플리케이션의 기반데이터로 최신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항공사진과 현지측량을 통한 갱신 방법은 짧은 주기로 변하는 현실 세계를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치지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물은 신축, 개축, 증축이 수시로 일어나기 때문에 기존의 갱신 방안으로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축행정시스템(e-AIS)의 건축 도면 및 대장 정보를 이용한 수치 지도 갱신 및 검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시스템화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로 수치지도의 갱신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 구축된 자료를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갱신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Building Information Integration Method between e-AIS and KLIS-rn (인터넷 건축행정정보시스템(e-AIS)과 도로명주소 관리시스템(KLIS-rn)의 연계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Ji-Young;Kim, Ki-Rack;Lee, Won-Hee;Yu, Ki-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1
    • /
    • pp.121-130
    • /
    • 2010
  • As the development of wireless environment and portable devices, navigation companies need more spatial information for Location Based Service and so they are investing heavily in this part. But my country have constructed lots of spatial dataset during the NGIS project, and then we can reduce costs by using constructed spatial dataset. The integration method of each building information between e-AIS and KLIS-rn is linked to designed mapping table by main building numbers and auxiliary cadastral number. e-AIS and KLIS-rn are integrated by the feature matching between CAD data and KLIS-rn. Due to the limitation of test data, more accuracy test will be required with various data sets.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accuracy on building related registers information (건축물관련 행정자료의 정비방안 : 건축물관련 정보 통합활용을 중심으로)

  • Kang, Young-Ok;Lee, Joo-Il;Park, Mi-Ra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8 no.3
    • /
    • pp.15-26
    • /
    • 2006
  •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ramework data for the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However, building related registers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t have limitation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Those situations are obstacle for the efficient and scientific urban management in the information era. This research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building related registers, second, set the direction to improve accuracy of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and finally suggested solu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buil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ts problem typ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set detail guideline to improve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which could be immediately used in local government for the systematic urban management.

  • PDF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4
    • /
    • pp.371-383
    • /
    • 2007
  •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represent Korean style national policy and plann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The KOPSS refers to a kind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or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PSS) for stakeholders' spatial decision-making. The KOPSS uses the existing individual databases obtained from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A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LMIS) that have been constructed by information projects since the mi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KOPSS b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basic composites of the GIS-based SDSS or PSS. For this,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base environment strategies,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KOPSS.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Business Process in the Housing Market Information System (주택시장 정보시스템의 업무 프로세스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Yang, Dong-Suk;Kee, Ho-Young;Byun, Wanhee;Sim,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99-801
    • /
    • 2017
  • 최근 주택시장과 관련되어 운영 중인 정보 시스템들(주택공급통계정보시스템, 건축행정정보시스템,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마이홈 등)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연계 활용하여 국가통계로서 정확성과 적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주택시장 관련 정보시스템의 업무 프로세스를 검토하고, 운영담당자로부터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A Study on Data Integration and Establishment of Business Prosess in Housing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주택통계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통합 및 업무 프로세스 수립에 관한 연구)

  • Yang, Dong-Suk;Park, Beom-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383-385
    • /
    • 2018
  • 정확하고 신속한 주택 통계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여러 정보시스템들의 연계하여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체계화된 업무프로세스를 수립하여 데이터의 중복이나 오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정보시스템인 건축행정정보시스템(세움터), 주택공급통계시스템(HIS), 부동산실거래관리시스템(RTMS)을 중심으로 주택공급관련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주택통계 업무프로세스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Present status of advancement of housing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improvement plan (주택 통계 관련 정보시스템의 고도화 현황 및 개선방안 제시)

  • Lee, Min A;Yang, Dong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48-550
    • /
    • 2021
  • 각 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주택과 관련된 통계 데이터는 정교한 예측과 판단이 요구되는 주택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택통합DB와 주택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추후 주택시장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와 주택공급통계정보시스템(HIS)를 대상으로 정보시스템 고도화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예시를 소개하고자 한다.

Analysis on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Building Registers for Update of Digital Map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건축물대장의 적용가능성 분석 : 건물레이어의 속성정보 갱신을 중심으로)

  • Kim, Jung-Ok;Kim, Ji-Young;Bae, Young-Eun;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73-179
    • /
    • 2008
  • 수치지도가 제 때 갱신되지 않으면 그 정확성과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고민해보고자, 아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인 수치지도 속성부분의 갱신에 있어 건축물대장의 적용가능성을 건물레이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수치지도 건물레이어의 속성정보와 건축물대장의 항목들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두 자료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건축물대장을 이용한 갱신 가능 항목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건축행정정보시스템의 건축물대장동별개요 테이블을 참조하여 갱신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수치지도와 건축물대장의 갱신가능 속성항목을 대응시키는 실제적인 방법론 대신 건축물대장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해 본 것으로, 허가받은 건물만이 존재한다는 건축물대장의 특성상 수치지도의 모든 건물도형을 갱신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진다.

  • PDF

A Study on data integration guideline with the advancement of housing market statistics (주택시장 통계 고도화에 따른 데이터 통합 가이드라인 제시에 관한 연구)

  • Yang, Dong-Suk;Park, Beom-Soo;Lee, Min-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726-728
    • /
    • 2019
  • 주택시장 통계와 관련된 국가 정보시스템들의 현황조사와 업무 프로세스 정립을 기반으로 실제 적용 가능한 시스템들의 매뉴얼 및 데이터 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면 주택시장 구조 변화에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정보시스템인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과 주택공급통계정보시스템(HIS)을 대상으로 주택시장 통계고도화에 따른 데이터 통합 가이드라인 및 관련정보시스템의 업무 개선 매뉴얼을 제시했다. 각 기관들의 체계적인 자료 생성은 주택시장분야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