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물 화재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29초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실대형 화재실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al Scale Fire Test of Building Exterior Wall Assemblies)

  • 권오상;유용호;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95-300
    • /
    • 2011
  • 국내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위험성 판단을 위한 기준 설정 및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방지를 위하여 국내 외 실규모 화재실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미국, 영국 등의 화재안전선진국들에서는 NFPA 285, BS 8414-1 등의 실대형 화재 실험을 통하여 외장재의 화재위험성을 판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확산 성능 평가 방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실대형의 화재실험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건축물의 단위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성장이 플래시오버에 도달한 후 창문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화염이 출화되었을 때 이러한 화염에 의한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 성능 평가하는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실대형 화재실험 장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확률 및 빈도 분석

  • 김영노;유용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1-82
    • /
    • 2013
  • 현재 도시의 발달은 건축물의 대형화와 다양화를 생활 필수 요소로 정착시켰으며 이는 공항, 역사, 체육시설, 전시시설을 비롯하여 여러 시설을 대형화 시켰다.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온 국내 건축물의 대형화에 있어서 사고 및 피해는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발생한 1971년 대현각호텔 화재사고와 같이 상시 발생가능성이 있는 대형화재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 사례를 data base화하여 화재발생 확률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화재발생가능성이 있는 대공간 건축물의 화재 시나리오 작성 및 대처방안 정립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목조 건축물의 화재위험과 안전 대책

  • 성시창
    • 방재와보험
    • /
    • 통권108호
    • /
    • pp.18-23
    • /
    • 2005
  • 목조 건축물 문화재를 화재 등의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민족의 자부심이 되어온 귀중한 문화재의 가치를 보전해야 한다. 사찰, 궁궐 등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을 보고 느끼는 즐거움을 유지하고 후세에 전하기 위해서는, 한치의 오차도 없는 화재예방을 염두에 두고 목재의 방화처리 및 목구조의 화재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기존 건축물의 승강로 화재안전성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Fire Performance of Elevator Shaft in Existing Buildings)

  • 최금란;유승관;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03-310
    • /
    • 2010
  • 기존 건축물은 현행 소방법 및 건축법을 소급해 적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비상용승강기와 제연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이렇듯 화재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기존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대 진입 및 구조활동이 가능한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 개선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승강로 급기가압 방식을 제시한다. 먼저, 수직통로를 통한 연기 확산에 무방비 상태인 기존의 고층 건축물의 문제점 및 화재사례를 분석하고, 국내외 비상용승강기 및 제연설비 관련 법규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NIST의 Conta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승강로 급기가압 전과 후의 층별 차압을 비교함으로써 승강로 가압이 연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현장사례분석의 비교 감식을 통한 화재원인 분석 -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

  • 김용운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109
    • /
    • 2007
  • 조립식 건축물의 화재는 건축자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재 특징을 나타내게 되는데 금번 연구과제로 선정한 화재는 지난 2006년 12월에 발생한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숙소 화재사례로서 이번 연구를 통해 조립식 샌드위치패널 건축물의 화재원인분석과 감식방법을 고찰해 보고 아울러 발표된 연구논문자료와 실제 화재재현실험을 통한 감식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화재원인조사실무 - 창고 화재의 특징과 조사

  • 박남규
    • 방재와보험
    • /
    • 통권124호
    • /
    • pp.48-52
    • /
    • 2008
  • 설 연휴가 끝나갈 무렵 발생한 숭례문(국보1호) 화재사건으로 온 나라가 발칵 뒤집혔고 모든 국민은 나의 소중한 일부를 잃어버린 공허함에 형용할 수 없이 참담한 심정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화재원인의 끝자락에는 여지없이 인재로 귀결되고, 보존관리와 소화과정에 대한 논란도 쉽게 정리되지 않을 듯하다. 우리 주변에는 화재발생 요인도 다양하지만 그 대상물 또한 지니는 특징이 매우 다양하여 소화기법이나 조사기법 등에 있어서도 그 만큼 복잡한 형태를 갖는다. 본 코너에서는 화재로 인해 심각하거나 빈번한 피해를 가져다주는 주요 구조 형태에 따른 화재의 특징을 살펴보고 화재 원인의 유형과 조사기법에 대하여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숭례문 화재 사건은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사찰과 함께 특수 건축물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추후 논의할 기회를 가져볼 것이다. 화재의 종류에는 소방관점이나 건축법상의 대상물 등 다양하게 표현되고 분류할 수 있다. 본 코너에서는 이러한 틀에서 벗어나 화재의 특징이 달라질 수 있는 구조나 재료, 형태 등을 달리하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별로 화재 현상을 나누어 그들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특징을 살펴보고, 사고 후 업무와 관련이 되는 담당자의 관점에서 조사의 요점이나 화재 사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접근 방법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 PDF

국내 재실자 밀도 기준 설정을 위한 실태 조사 연구 (The Current Analysis for development occupancy density of buildings)

  • 윤호주;황은경;김종성;김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27-232
    • /
    • 2011
  • 최근 피난제약이 많은 대형 및 고층건축물의 증가함에 따라 화재 시 많은 인적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화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건축물의 성능 위주 피난 안전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건축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축물의 피난용량을 결정하는 재실자 밀도는 중요한 평가요소로 국외의 경우에는 건축물 용도에 따른 단위면적 당 재실 인원 즉, 재실자 밀도를 산정하여 규정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건축법에서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만을 고려한 사양적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재실자를 고려한 피난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실자 밀도 고려한 성능위주 피난용량 확보기술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초고층 건축물을 선정하여 재실자 밀도 실태조사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재실자 밀도 산정 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주요가연물 연소특성 DB 구축 (An Study on the Preparation of Fire Behavior of Fixed Combustibles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

  • 서윤정;김동은;홍해리;황현배;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3-76
    • /
    • 2011
  • 최근 건축물에서 공동주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공동주택의 화재비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재 시 인명 피해의 주원인인 가연물은 소재가 다양화되고 있으나 안정성 보다는 디자인, 기능성에 치중되어 그에 따른 화재 위험성도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보의 실내장식물에 이어 공동주택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적재가연물을 가연물 조사를 바탕으로 선정하여 Furniture Calorimeter를 이용해 그 연소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파가 타 시료에 비해 화재 시 높은 위험성을 나타냈으며, 일본건축학회에 발표된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소파의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층 건축물 외장 커튼월에서 스프링클러를 활용한 화재 확산 방지 기법 실험적 기초 연구

  • 채승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9-60
    • /
    • 2013
  • 본 연구는 고층 건축물의 외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커튼월에서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축물의 기존 외장재와 설비들을 이용한 성능설계 적용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가로 1.2 m, 세로(높이) 2.6 m 두 개의 유리가 붙어 있는 커튼월을 사용하였으며 한쪽의 유리에만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커튼월 앞에 1m 지름의 헵탄의 화원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스프링클러 설치 유무에 따라 커튼월의 유리의 파손으로 인한 화재 전파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옥상녹화가 전기화재에 미치는 영향 (An Affect Results of Electrical Fire at the Green Roof)

  • 박선영;오재훈;문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33-36
    • /
    • 2010
  • 현대 사회의 도시가 고밀도로 개발되면서 녹지공간의 축소로 인하여 이상기온 현상 즉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기온현상인 열섬현상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건축물의 옥상녹화시 건축물의 온도 저감효과가 건축물 화재의 발화원인 중 하나인 전기화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