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단계

Search Result 93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Point of View (환경 스트레스 관점의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유효과 연구)

  • Oh, Ji Young;Park, Hey Kyu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7 no.5
    • /
    • pp.215-226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healing effect of the design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stress, which is one of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By examining the objective healing effects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and systematic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hases. Firstly, three environmental stress theories (Attention Recovery Theor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Environmental Stress Model) were examined to review the academic basis of which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has been derived and developed. Second, we analyzed 16 previous research on the design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and used them as an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Thirdly, 11 foreign studies that proved the healing effects of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rough objec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as an analysis framework, and the basis for applying design elements in constructing healing environment was prepar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eal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rom Lazarus's psychological stress theory and Ulrich's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one of the noninvasive healing tools that affect stress reduction. Second,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could be divided into 15 factors and categorized a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mentioned and studi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of nature-friendly, aesthetic, and openness. Third,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healing effects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were related to natural affinity and aesthetics, and it was found that the visual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could affect the actual stress reduction.

Predicting Crime Risky Area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기반 범죄발생 위험지역 예측)

  • HEO, Sun-Young;KIM, Ju-Young;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64-80
    • /
    • 2018
  • In Korea, citizens can only know general information about crime. Thus it is difficult to know how much they are exposed to crime. If the police can predict the crime risky area, it will be possible to cope with the crime efficiently even though insufficient police and enforcement resources. However, there is no prediction system in Korea and the related researches are very much poor. From these backgrounds,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utomated crime prediction system. However, for the first step, we build a big data set which consists of local real crime information and urban physical or non-physical data. Then, we developed a crime prediction model through machine learning method. Finally, we assumed several possible scenarios and calculated the probability of crime and visualized the results in a map so as to increase the people's understanding.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rime occurrence revealed in previous and case studies, data was processed in the form of a big data for machine learning: real crime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temperature, rainfall, wind speed, humidity, sunshine, insolation, snowfall, cloud cover) and local information (average building coverage, average floor area ratio, average building height, number of buildings, average appraised land value, average area of residential building, average number of ground floor). Among the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decision tree model, the random forest model, and the SVM model, which are known to be powerful and accurate in various fields were utilized to construct crime prevention model. As a result, decision tree model with the lowest RMSE was selected as an optimal prediction model. Based on this model, several scenarios were set for theft and violence cases which are the most frequent in the case city J, and the probability of crime was estimated by $250{\times}250m$ grid.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the high crime risky area is occurring in three patterns in case city J. The probability of crime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and visualized in map by $250{\times}250m$ grid. Finally, we could develop a crime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visualized the crime risky areas in a map which can recalculate the model and visualize the result simultaneously as time and urban conditions change.

A study on the variant placement method of the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rafter (전통 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 연구)

  • Hong, Eun-ki;Chang, Hun-du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4
    • /
    • pp.110-125
    • /
    • 2015
  • This study is objected to investigate the repairing method and the modification period of rafters via the transformation traces left in the superciliums, where repair process takes places frequently. This is the basic research of analyz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Deokkeori, one of the additional-rafter methods. Deokkeori method can be described as using Deokdori in the top section of Hayeon, and placement of Sangyeon above it. This method was started to be used sinc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middle 18th Century) and mainly used at 19th Century to resist the transformation caused by repairing. It had been gradually developed from non-application stage to application stage including additional usage of complement.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Deokkeori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First, the usage of Deokdori to connect Sangyeon to the top section of Hayeon. It reduct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Sangyoen and Hayeon, therefore give constructive benefits and prevent the downfall of the eaves by increasing the power which pressing the top section of Hayeon. Second, it gives the autonomy to the inside structure of ceiling by comprising it. By using Deokdori, the limit of top section's longitude was eliminated while also simplify the upper section by blocking the inside structures with ceiling. In addition, the complements occasionally seen in several buildings increase the power which pressing Hayeon. Third, the ceiling's slope has been changed to be concerned with Sangyeon, instead of Hayeon which was highly related with it before. The last factor is the thickness of rafters which used in Deokkeori. The diameter is thiner in Sangyeon than Hayeon.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Spatial Data for Heat Mapping with Remote Sensing and Simulation (원격탐사 및 시뮬레이션의 열지도 구축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 효율화 연구)

  • Cho, Young-Il;Yoon, Donghyeon;Lim, Youngshin;Lee, Moung-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1
    • /
    • pp.1421-1434
    • /
    • 2020
  •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twave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Since urban areas are more severely damaged by heatwaves as they act in combination with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every possible preparation for such heat threats is required. Many overseas local governments build heat maps using a variety of spatial information to prepare for and counteract heatwaves, and prepare heatwave measures suitable for each region with different spatial characteristics within a relevant city. Building a heat map is a first and important step to prepare for heatwaves. The cases of heat map construction and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involve various area distributions from urban units with a large area to local units with a small area.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heat map varies from a method utilizing remote sensing to a method using simulation, but there is no standard for using differentiated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spatial scale, so each researcher constructs a heat map and analyzes the thermal environment based on different methods. For the above reason, spatial information standards required for building a heat map according to the analysis scale should be established.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methodology, and final findings related to Korean and oversea analysis studies of heatwaves and urban thermal environment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spatial information used to build urban heat ma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patial, temporal, and spectral resolutions, as basic resolutions, are necessary to construct a heat map using remote sensing in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use of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weather data and spatial resolution, which are input condition information for simulation implementation, differ according to the size of analysis target areas. Therefore, when constructing a heat map using remote sensing, spatial, spectral, and temporal resolu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in the case of using simulations, the spatial resolution, which is an input condition for simulation implementation, and the conditions of weather information to be inputted,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types of monitoring elements for heatwave analysis, 19 types of elements were identified such as land cover,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buildings, topography, vegetation, and shadow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the elements by spatial scal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give direction to relevant studies in terms of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size of target areas, and setting monitoring elements, when analyzing heatwaves.

Reading the Landscape through the Perception of Residents of Banwol and Bakji Island - Based on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urple Island - (반월·박지도 주민의 인식과 태도를 통해 경관 읽기 - 퍼플섬(Purple Islands) 사업 전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 Hamm, Yeonsu;Seo, Hwahyun;Cui, Yuna;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4
    • /
    • pp.56-75
    • /
    • 2023
  • As of 2019, for the 'Island I Want to Visit' project, Banwol and Bakji Islands, located in Shinan-gun, started color marketing to create a tourist attraction by painting roofs, buildings, and facilities purple. As this landscape change was evaluated as a 'dangerous but beautiful attempt,' it was recognized as the 'World's Best Tourism Village' in 2021, drawing attention from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However,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who created and enjoy the benefits of the landscape, were alienated from the planning s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symbols of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purple landscape. The cultural landscape frame of new cultural geography, which interprets the landscape's symbolic meaning and ideological signs, was utilized. In addition, a holistic approach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multi-layered environment. Therefore, the perception of purple, the main color of the islands, the overall landscape and individual places, an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Purple Island project were investigated. After the Purple Islands Project, the main senses for recognizing the villages focused on sight, and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urple landscape as it improved the underdeveloped village environment. This satisfaction was based on lessening the negative memories experienced as an island rather than a value judgment on the purple color.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symbolic landscape, which has a social and universal system, has been subdivided and reorganized, including for tourism functions. It can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the spectacle landscape that appears in cosmopolitanism.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 tourist attrac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idents recognize the value of local resources and create a new cultural landscap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anwol and Bakji has also changed around tourism.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