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가

Search Result 85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해외건축인모국방문좌담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1 s.71
    • /
    • pp.18-22
    • /
    • 1974
  • 금번 문화공보부 초청으로 내한한 '해외교포모국방문단'일행 중 해외건축계에서 활약하고 계신 건축가 두 분이 함께 내한 하였다. 이번'해외교포모국방문단'은 한국과 외교관계를 가지고 있는 세계 각국에서 한분씩 대표로 추천되어 되어서 내한케 된 것 입니다. 그 중 건축가 강석원씨는 불란서 파리 '한국교민회'회장으로서 '건축설계사무소'를 경영하고 계시며, 한국을 떠난 지 팔년이나 된다. 또 건축가 김성문씨는 '덴마크' '코펜하겐' 에서 '설계 사무소'를 개설하고 있으며 주로 공원, 도로, 어린이 놀이터 등의 조경계획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을 떠난 지 15년이나 된다. 그리고 최근에 이리노이주 공대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고, 일시 귀국한 건축가 김종성씨 세 분을 모시고 건축에 관한 좌담회를 가져 보았다.

  • PDF

한국의 건축가(9) - 김중업(1), 김중업의 일생

  • Jo, In-Cheol
    • Korean Architects
    • /
    • no.3 s.335
    • /
    • pp.82-87
    • /
    • 1997
  •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중업편에서는 출생후 평양과 일본동경에서의 생활(1922~1945)을 시작으로 해방후 남한에서의 생활(1946~1951), 유네스코주최 제1회 세계예술가회의에 한국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면서부터 르꼬르뷔제의 문하에서의 생활, 귀국후의 활발한 건축활동 시기(1952~1971) 그리고 또다시 9년간의 외국생활이후 남은 건축인생기(1972~1988)등으로 구분하여 먼저 김중업의 일생(1회:부인 김병례여사와의 대담내용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다음 2회와 3회에서는 필자가 김중업 선생 생전에 대담한 내용을 정리ㆍ소개하고 그의 건축가로서의 역정과 작품에 대한 필자의 해석을 싣고자 한다.

  • PDF

한국의 건축가 - 정인국(1), 모더니즘의 시대인

  • Park, Gil-Ryong
    • Korean Architects
    • /
    • no.1 s.321
    • /
    • pp.72-75
    • /
    • 1996
  • 본지는 한국건축사속에서 선각자로 활동했던 건축가를 재조명, 그들의 작품세계를 분석,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 이희태, 김정수, 김수근에 이어 그 네번째로 정인국의 작품세계를 5회에 걸쳐 알아본다.

  • PDF

전통적인 건축 형태에서 이탈을 시도하는 건축가 - Frank Owen Gehry

  • Kim, Su-Jin
    • 주택과사람들
    • /
    • s.196
    • /
    • pp.98-99
    • /
    • 2006
  • 최근 국내 CF에 여러 차례 등장하면서 더욱 익숙해진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 같은 이 역동적인 건축물은 캐나다 출신의 건축가 프랑크 오웬 게리의 작품이다. 해체주의 건축가이자 하나의 예술 조각 작품처럼 정밀한 설계로 주목받는 그를 만나본다.

  • PDF

전통을 거부한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

  • Baek, Ji-Hyeon
    • 주택과사람들
    • /
    • s.199
    • /
    • pp.62-63
    • /
    • 2006
  • 20세기 건축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 요즘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리로 만든 외벽을 처음 활용해 투명성과 반사 효과를 제시한 그의 건축 세계를 살펴본다.

  • PDF

한국의 건축가(12) - 김인호(1)

  • Park, Jeong-U
    • Korean Architects
    • /
    • no.4 s.348
    • /
    • pp.68-72
    • /
    • 1998
  • 새로운 세계로의 끝없는 도전을 꿈꾸던 건축가 김인호, 그의 삶의 족적을 따라가다 보면, 먼저 그의 인간됨에 매력을 느끼게 될 것이다. 본지는 그를 끔찍이도 존경하는 제자들을 통하여 대구건축을 이끌고 이는 김인호사단의 활동상을 소개하므로서, 대구건축의 성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김인호 교수 기념사업회가 제정한 후당건축상이 지니는 의미를 짚어보고, 마지막으로 김인호가 남긴 주요건축작품들을 전통과 현대의 접목, 형태의 상징성 부여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한국의 건축가(10) - 배기형(3)

  • Won, Je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12 s.344
    • /
    • pp.44-48
    • /
    • 1997
  • 고 배기형 선생에 관한 역사자료를 정리하는 작업에 있어 본론의 내용이 부실한 듯해 안타까움을 느끼곤 한다. 고인에 관한 자료가 말소되다시피해 기록이 전무한 상태여서 건축가의 인생이 허무함을 느끼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구조사를 중심으로 고인의 업적이 보존되어 한국건축역사를 보다 투명하게 평가할 수 있는 풍토가 정착되지 못한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구조사를 이어가는 윤홍갑 소장에게서 배기형 선생에 관한 증언을 기대하던 중 윤소장이 갑작스런 건강악화로 서울대 병원에 입원하게 돼 필자가 기대하던 보다 알찬 자료지원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윤소장의 빠른 쾌유를 기원하면서 배기형 선생의 전기를 짜맞추어 원고를 이어가는데 전화, 메모 등으로 협력하여 주신 증인(특히 공장설계에 관한 증언은 김창서 소장, 최영규 교수, 주경재 교수 협조 내용임) 여러분에게 지면을 빌어 감사드린다.

  • PDF

몽골건축을 찾아서(1)

  • Park, Seo-Hong
    • Korean Architects
    • /
    • no.9 s.317
    • /
    • pp.64-69
    • /
    • 1995
  • 본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한국의 건축가' 기획연재는 그동안 게재 되었던 이희태(95년 3월호 ~ 5월호), 김정수(95년 6월호 ~ 8월호)에 이어 건축가 김수근(1931~1986)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수근편 에서는 그가 태어난 1931년부터 1960년까지의 유년시절과 건축의 수련기(성장배경과 서울의 북촌, 일본에서의 건축교육)를 시작으로 1960년부터 1972년까지의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을 찾아서(김수근 건축연구소,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인간환경 계획연구소), 공간시대(1972년~1986년)등으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지난해 12월 15일 개최됐던 제6차 아시아건축사대회 기간 중 우리 협회와 몽골건축사협회가 상호 협력을 위한 협정체결을 합의, 서명함으로써 이루어진 이번 여행은 몽골건축사협회 공식 초청으로 지난 7월 22일 시작됐다. 6박 7일의 일정으로 한몽 건축기술 정보교류 및 우호증진과 상호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위해 김규태 우리협회 회장을 단장으로 한 방문단은 협회이사와 국제위원 7인을 단원으로 구성, 찬란한 역사를 지닌 몽골을 찾았다. 이글은 초원의 나라 몽골을 다녀와서 방문단의 일원으로 참여한 박서홍(희산건축)씨가 몽골건축을 중심으로 그 문화를 소개, 연재한다.

  • PDF

A Study about Gaya Architecture with House-Shaped Earthenware (집모양토기를 통한 가야 건축 연구)

  • Han, Woo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1
    • /
    • pp.32-51
    • /
    • 2021
  • Architectural evidence of Gaya is insignificant than any other area. In this situation, house-shaped earthenware is particularly helpful in the study of Gaya architecture. However, house-shaped earthenware is not a building, it has just the shape of buildings. So, we have to find out architectural evidence from that. In this paper, I tried to estimat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Gaya through house-shaped earthenware in detail. I also consulted historical records, archeological results, and other scholars' pap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use-shaped earthenwar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its shape, and each type has distinct architectur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Second, house-shaped earthenware generally has a gambrel roof, and the characteristic of architectural design with the gable side of the gambrel roof as a front is the biggest feature of Gaya architecture. Third, various types of buildings exist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n Gaya architecture, and house-shaped earthenware was showed buildings of ancient storage, pens, and residences, which are symbols of the richness among various types of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