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조 상태

Search Result 94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hanges in Days to Drying and Some Chemical Components by Different Drying Methods in Paeoniae radix (건조방법에 따른 작약근 건조 소요일수 및 성분 변화)

  • ;Kwang-He Ka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1 no.3
    • /
    • pp.362-369
    • /
    • 1996
  • Seven different drying methods were tested in peony roots of Euisung cultivar, harvested in February, in three year's old plant. The roots were selected in length and diameter and half of the samples were removed cork-layers to compare the effects of cork-layer in processing of drying. The 3$0^{\circ}C$ heat drying without cork-layer reduced in days to drying by five days compared to those of the with cork-layers at the same temperature. The 5$0^{\circ}C$ heat drying after cork-layers removed was the most effective in days to drying. In quality of skin color of the 5$0^{\circ}C$ heating was worse to compare with the lower dry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at room temperature and the heat drying at lower temperature, the paeoniflorin content in drying after cork-layers removed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drying with cork-layers. However, in the boiling water treatment, the paeoniflorin contents in drying after cork-layers removed were lower than those of with cork-layers. In heat drying, paeoniflorin content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o increase of drying temperature. Total sugars in the peony root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increasing, but starch concentration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at the same condition. Concentrations of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crude ash were showed no differences in various drying methods and the materials with or without cork-layers. Relationships between the paeoniflorin and total sugars, and the paeoniflorin and starch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y the materials of cork-layers removed or not. The 30~4$0^{\circ}C$ heat drying without cork-layers was the most advisable condition for drying in paeoniflorin concentration, days to drying and skin color after drying.

  • PDF

Estimations of Moisture Profiles During Wood Drying Using an Unsteady-State Diffusion Model (II) -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Red Oak - (비정상(非正常) 상태(狀態)의 확산(擴散)모델을 이용한 수분(水分) 경사(傾斜)의 예측(豫測) (II) - 실험적(實驗的) 검증(檢證) -)

  • Park, Jung-Hwan;Smith, William B.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7-44
    • /
    • 1996
  • 포수상태(包水狀態)의 루부라참나무(Quercus rubra) 시험편을 3가지 등온조건(等溫條件)에서 건조한 결과를 비정상상태(非正常狀態)의 확산(擴散)모델로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표면이 충분히 젖은 상태인 건조초기에는 불안정(不安定)한 확산현상(擴散現象)이 관찰되었으나, 함수율(含水率)별 건조속도의 변이를 Fick's의 확산법칙과 비교할 때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실험에서 얻은 건조조건별 건조곡선은 확산모델의 수치해석(數値解析)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같은 평위함수율(平衛含水率) 조건에서 건조온도의 증가는 목재표면 보다 내부의 함수율 변화에 더 크게 영향하여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조건이 목재 내의 수분경사(水分傾斜)를 급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목재 건조 중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경사를 추정하는데 비정상상태의 확산모델이 모든 함수율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Effects of Strain Rate and Water Saturation on the Tensile Strength of Rocks (변형률 속도 및 수분포화가 암석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 Jung, Woo-Ji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0 no.2
    • /
    • pp.119-124
    • /
    • 2010
  • Hopkinson's effect tests were carried out for various strain rates on three different types of rock in both saturated and dry stat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ain rate and water saturation on tensile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strain rate not only in dry state but also in saturated state. It was also especially recognizable that the dynamic tensile strength of rock in the dry state was proportional to approximately a one-third multiple of strain rate no matter what the type of rock. It was found that water saturation decreased tensile strength in the dry state of sandstone and tuff, both with high porosit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recognized between the dry and the saturated states of granite, which has a low porosity of 0.49%.

Development of a Circular-Type Dryer for Automatized Red Ginseng Manufacturing (자동화 홍삼제조용 회전식 건조기 개발)

  • 방승훈;장동일;강호양;송영호;한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69-374
    • /
    • 2002
  • 최고급 품질의 홍삼제조를 위한 공정을 개발하고자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건조기는 온도, 습도의 계측이 가능하고 이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습도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열다. 건조기의 작업용량은 1회에 원료수삼 30지가 처리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한 건조챔버의 크기는 6년근 1등급 수삼의 크기를 고려하여 700$\times$700$\times$1500mm로 결정하였고 건조과정중의 수삼의 상태변화를 알기 위하여 건조챔버 전면에 유리를 설치하여 육안 관찰 및 영상처리장치에 의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수삼의 균일한 건조를 도모하기 위하여 대나무 채반을 속도조절이 가능한 모터와 체인을 이용하여 챔버 내에 서 0~10rpm의 속도로 회전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건조시 챔버 내의 공기상태 계측 및 제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작된 홍삼제조용 건조기의 성능 평가결과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정밀하게 계측제어 할수 있었으며, 원하는 건조수준을 유지는데 성공했다. 건조기 내부에서의 온도 분포와 풍속분포를 SAS통계 package GLM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5%의 범위에서 Student T~test를 한결과, 계측지점간의 유의 차가 없어 온도와 풍속의 분포가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ossibility of Drought Expression by Late March Dryness in Rice Paddy Areas Using Terra MODIS NDVI (Terra MODIS NDVI를 활용한 3월말 논지역 건조상태에 따른 가뭄표현 가능성 연구)

  • LEE, Ji-Wan;LEE, Yong-Gwa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3
    • /
    • pp.27-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future drought expression by late March dryness in rice paddy areas using Terra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e tested the degree of dryness by comparing the 2000-2015 average NDVI with yearly NDVI, which we name DCI (Dry Condition Index). The 16-day interval DCIs from March 6 to May 25 were evaluated with spatio-temporal expression of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find that the DCI for April 7 (March 23 to April 7) offered reasonable prediction of paddy dryness during drought years. The April 7 DCI value for dry conditions ranged from 0.04 to 0.08 while the DCI for normal conditions ranged from -0.04 to 0.01. The DCI can be one of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the dryness of rice paddy areas at the beginning of the spring season.

분무진공동결건조기 개발

  • Ryu, Gyeong-Ha;Ban, Byeong-Min;Kim, Jae-Hyeong;S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58-258
    • /
    • 2013
  • 최근 건조 제품의 양질화, 고급화 및 편의화가 요구되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건조방법이 계속 개발 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저온과 진공하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진공 동결 건조는 가장 완벽한 건조 방법으로 최근 실용화 되고 있다. 진공동결건조란 건조의 한 종류로 수분을 함유한 시료를 동결시킨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수증기압을 3중점 이하로 낮추어 얼음을 직접 증기로 만드는 승화의 원리에 의해서 얻어진다. 분무진공동결건조의 특징은 (1) 물리적구조의 보존성, (2) 화학적인 안정성, (3) 생물학적인 활동의 보존성, (4) 제품의 높은 복원성 및 재생성이다. 따라서 분무진공동결건조 기술은 크게 진공, 분무, 동결, 건조, 멸균 등과 같은 요소기술의 복합기술이라 할 수 있다.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 진공동결건조 후 분쇄하는 방법을 사용하나 본 방법에서는 정밀화학품 제조를 위해서 분무진공동결건조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적당한 크기인 5~10 um의 입경 제조가 가능하고, 공기동력학적인 입경이 기존 방식에 비해 작아서 허파까지의 운반효율이 1.5~2배 우수하다. 화학, 의학 분야에서의 분무동결 건조는 주로 민감한 제품, 즉 생물학적 고유성의 손상 없이 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 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물의 첨가로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서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의약용 냉동건조 제품은 항생물질, 박테리아, 혈청, 백신, 검사 약물, 단백질을 포함하는 생물공학 제품들, 세포, 섬유, 화학제품 등이 있으며 주로 vial 또는 ampule 상태로 건조가 이루어진다.본 연구에서는 원료를 $-194^{\circ}C$의 액체질소에 분무시켜 동결된 미립자를 형성한 후 진공 및 저온상태에서얼음의 승화(sublimation)에 기반한 1차 건조와 수증기 탈착(desorption)에 기초한 2차 건조 과정으로 구성된 분무진공동결건조기를 개발하였다. 분무동결 과정의 해석을 통해 2유체식 노즐을 통해 분무된 미세 입경의 액적이 액체 질소 표면까지 도달하는 회수률, 분무 노즐의 위치, 운전 조건 및 용기의 설계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초기 액적속도, 분무노즐의 높이, 흡입구 추가에 따른 액적 유동 및 회수의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분사시스템 고도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형의 미세 입자가 적층된 제품의 동결건조 공정의 해석은 흡착승화 모델(sorption sublimat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열전달, 물질전달, 상변화 모델을 고려하여 유도되었다. 분무노즐 및 냉동/진공 배기계 시작품을 개발하여, 표면의 고다공도를 갖춘 입경 3~20 m 정도의 시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역학적 입경 5 m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 PDF

Turfgrass Responses to Water Deficit: A Review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한 잔디의 생리학적 반응: 리뷰)

  • Lee, Joon-Hee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5 no.2
    • /
    • pp.125-132
    • /
    • 2011
  • Drought is a major limiting factor in turfgrass management. Turfgrass responses to water deficit depend on the amount and the rate of water loss as well as the duration of the stress condition. This review paper was designed to understand responses such as photosynthesis, canopy spectral reflectance, plant cell, root, hormone and protein alteration when turfgrass got drought stress. Furthermore, mechanisms to recover from drought conditions were reviewed in detail.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questions regarding plant adaptation to water deficit. It is not clear that the mechanism by which plants detect water deficit and transfer that signal into adaptive responses. Turfgrass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how to enhance the ability of self-defense mechanism through understanding plant responses by environmental stress.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Powder Depending on Temperature Changes and Drying Methods (건조방법과 온도변화에 따른 감 분말의 흡습특성)

  • 이원영;김종국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1 no.6
    • /
    • pp.479-484
    • /
    • 2001
  •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powder rela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and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rsimmon powder by different drying methods displayed the largest amount of porosity in the freeze-dried sample, and the smallest in hot air dried sample. Equilibrium moisture was reached in 6 days. Monolayer moisture contents were predicted to 0.09687~0.19712(freeze drying), 0.07820~0.18617(vacuum drying) and 0.07715~0.18056(hot air drying) g H2O/g solid respectively using the BET equation. BET equation for isothermal absorption curve showed over 0.95 R-square for all dried methods. Monolayer moisture contents were increased as storage temperature was incremented because water molecular movement was more active and there was a greater chance to clash with the absorption surface area.

  • PDF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by Material of Soft Contact Lens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료에 따른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Son, Byeong-Ho;Jeong, Ju-Hy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4 no.2
    • /
    • pp.27-30
    • /
    • 2009
  • Purpose: Transmittance at UV-visible spectra range was measured to confirm the effect of wet/dry state of commercially available SCL on human eyes. Method: Commercially available five SCLs fabricated by different materials were selected to measure optical properties according to humidity. Results: A relatively high transmittance above about 80% in the visible spectra range of the SCLs were observed. In the UV spectra range, the wet samples showed higher transmittance than those dried except an unusual case. Conclusions: All the samples having a high optical properties in the visible spectra range exhibit a high transmittance in the UV region.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velop new materials having a sharp absorption edge in the UV spectra range.

  • PDF

Assessing the future extreme dry and wet conditions in East Asia using CMIP6-BGC (CMIP6-BGC 기반 동아시아 지역 극한 건조 및 습윤 상태 평가)

  • Jaehyeong Lee;Yeonj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1-411
    • /
    • 2023
  • 미래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수 등 기후의 변화하고, 이는 유출량을 포함한 수문 순환 뿐 아니라 지면 식생 생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CO2 증가에 따른 식생의 변화와 이로 인한 지표 유출량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6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한 표준 온실가스 경로 중 탄소 모듈이 포함된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biogeochemistry (CMIP6-BGC) 모델과 탄소 모듈이 포함안된 CMIP6 모델 결과를 활용하였다. 공통 사회경제경로 시나리오(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중 고탄소 시나리오인 SSP585에 따른 모델 결과물을 활용하였다. 표면 유출량 자료에 과거 기간 임계수준 방법을 (Threshold Level Method) 적용하여 동아시아 지역 극한 건조 및 습윤 상태의 빈도와 강도를 CMIP6-BGC와 CMIP6에 대해 평가하였다. CMIP6-BGC 경우, 건조 및 습윤 상태의 빈도는 각각 6.17%, 5.03% , CMIP6 경우 각각 9.29%, 6.70% 으로 예측되어, CMIP6-BGC가 CMIP6 보다 극한 상태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잎 면적 지수(Leaf Area Index; LAI), 증산량 등의 변수를 분석하여, 기 도출된 CMIP6-BGC와 CMIP6 간의 극한 건조 및 습윤 상태 예측의 차이가 발생한 메카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