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조기술

Search Result 1,23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식품가공에서 Impingement 기술의 응용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1 no.2
    • /
    • pp.70-78
    • /
    • 1998
  • 공기와 같은 유체를 식품의 표면에 직접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은 그 식품을 가열하거나, 건조, 냉각, 냉동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Impingement-분사(공기, 스팀), 조사(방사선, 레이저), 침투(당액, 냉매) 등의 식품가공기술 기술은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나타는 현상이다. 지표면에 태양빛이 전달되는 것이나 상점에서 물건구입시 포장지에 붙은 바코드(barcode)에 레이저빔을 쏘는 것도 모두 Impingement현상이다. 레이더도 전자파를 발사하는것(Impinging)이며, 배나 잠수함도 음파를 발사하여 장애물을 탐지하면서 운항한다. 세차장에서 차를 세차하는 것도 고압의 물을 분사(Impinging)하는 기술이 동원 되는 것이다. Impingement 방식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그만한 값어치가 있는 유용한 식품가공 기법이다.

  • PDF

Development of a Commercial Process for Micro-Encaps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Using Sodium Alginate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한 유산균 캡슐화의 상업화 공정 개발)

  • Kim, Jiyeon;You, Seong-si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3
    • /
    • pp.313-321
    • /
    • 2017
  • We aimed to develop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encapsulation which is superior in productivity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by using sodium alginate. Also, in the same process, sodium alginate with chitosan was used to encapsulate lactic acid bacteria with the same process and then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two encapsulated lactic acid bacteria were compared. As a test result of the fluidized drying process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it was found that the drying time was shortened by 15 to 20 hours compared to the freeze drying method, but the number of viable lactic acid bacteria was about 75% as compared with freeze drying. However, considering the cost and time of dryi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is possible by the fluidized bed drying method. When the number of viable cells of Ca-alginate capsule and Chitosan-alginate capsule were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bout $1{\times}10^9$ or more bacteria in the former and about $1{\times}10^3$ in the latter. The lactic acid bacterium capsules prepared by the present technique were stable for 96 hours or more at pH 4.65 and 6.01, but disappeared within 1 hour at pH 7.07 and 8.35. This suggests that the disinteg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easily occurred in small and large intestine.

Recent research trends of post-harvest technology for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큰느타리버섯 수확후 관리기술 최근 연구 동향)

  • Choi, Ji-Weon;Yoon, YoeJin;Lee, Ji-Hyun;Kim, Chang-Kug;Hong, Yoon-Pyo;Shin, Il Sheob
    • Journal of Mushroom
    • /
    • v.16 no.3
    • /
    • pp.131-139
    • /
    • 2018
  • The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is widely consumed because of its flavor, texture, and its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antioxidant activity and prebiotic effects. However, long-term product storage and transportation (e.g., export) are difficult because of its limited durability. The shelf-life of king oyster mushroom i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gas composition, and ventilation, which may affect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respiration rate, texture, moisture, flavor, color, and pH. The major problems regarding storage of mushrooms are browning, flavor changes, and softening. To address these problems, novel preservation techniques were developed, and more durable variants were bred. Different drying methods, gamma irradiation, chitosan coating, modified atmosphere (MA) packaging, and controlled atmosphere (CA) storage were evaluated in order to extend the shelf-life of king oyster mushrooms. Freeze drying showed better results for the preservation of mushrooms than other drying methods. Irradiation with 1 kGy was more effective for extending mushroom shelf-life than higher doses. The preservative performance of chitosan-based films was improved by combining the compound with other hydrocolloids, such as oil, protocatechuic acid, and wax. The CA storage conditions recommended for king oyster mushrooms are 5kPa $O_2$ and 10 to 15kPa $CO_2$ at temperatures below $10^{\circ}C$. Active MA packaging with microperforated PP film was also effective for maintaining quality during storage.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Dry Food Waste (음식폐기물의 고형연료화를 위한 연소특성 연구)

  • Sang, Byoungchan;Lee, Seungjeong;Lee, Doyeon;Ohm, Taei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30 no.4
    • /
    • pp.101-108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ry food wast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food waste as a solid refuse fuel (SRF). The characteristics of dry food waste as a fuel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properties with SRF, an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fter conversion into fuel were identified. Ultimate analysis, proximate analysis, calorific value analysis, and TGA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wo types of food waste and two types of SRF,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oisture content and ash content of dry food waste were 1.7~10.0 wt.% and 7.8~11.7 wt.%, respectively, which satisfied the quality standards for SRF. The low calorific value of dry food waste was 4,000 ~ 4,720 kcal/kg, which was higher than the quality standard of 3,500 kcal/kg for SRF. As a result of TGA analysis of dry food waste, the combustion reaction started at about 200 ℃ and the highest burning rate was at about 500 ℃. After moisture evaporation between 100 and 200 ℃, initial volatile matter, carbon and residual volatile matter were released and burned between 200 and 500 ℃. Based on the high calorific value and low moisture and ash content of dry food wast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t dry food waste into SRF through the application of efficient drying technology and strict quality standard inspection in the futur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herbs cultivated in Korea after microwave drying (국내생산 허브의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후 이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

  • Ryu, Jae-Jin;Choi, Hyunwook;Kum, Jun-Seok;Park, Jong-Dae;Sung, Jung-Min;Seo, Dong-Ho;Lee, Byung-H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3 no.1
    • /
    • pp.99-10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icrowave drying, a method to minimize the scent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the final products, affect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herbs according to treatment intensity (pulse and continuous waves) and time. In the current study, different physicochemical qualities, such as weight change,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olor, and microbial growth, of five different Korean herbs were analyzed after microwave drying.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pulse wave method was a more effective approach than the continuous wave method for maintain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erbs. Furthermore, pulse wave drying lead to efficient microbial death in various herbs after a short time. Thus, microwave drying with a pulse wave can be applied to herb processing and packaging technology while minimizing the quality changes of herbs.

Heat Treatment of Dimension Lumber and Roundwood Used for Hanok Above $170^{\circ}C$

  • Kang, Ho-Yang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21 no.6
    • /
    • pp.499-504
    • /
    • 2010
  •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Hanok, are mostly constructed with dimension lumbers and roundwoods. They are hardly kiln-dried without severe defects, thus usually air-dried from some months to an year. Dimension lumbers and roundwoods were heat-treated above $170^{\circ}C$ and drying defects were examined. Temperature rising curves of all dimension timbers used for this study show one or two deflection points.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at 37.5mm depth reached at $100^{\circ}C$ for spruce dimension heat-treated at $170^{\circ}C$ was twice longer than that heat-treated at $190^{\circ}C$. There were many internal checks in roundwoods of $148mm{\Phi}$, while surface checks were apparently closed at the end of heat treatment. The drying time of $300{\times}300mm$ dimensions with 65mm hole was shorter than that without hole by half.

  • PDF

생강 엑기스의 국산화 및 산업화를 위한 연구

  • 신애자
    • Food Industry
    • /
    • s.99
    • /
    • pp.32-37
    • /
    • 1989
  • 양질의 국산 생강엑기스 제조기술 개발을 위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시료로 사용한 생강은 전라북도 봉동산과 충청남도 서산산이며, 이들 건강은 수분이 약$10\%$, 회분 $8\~9\%$, 조지방 $4\~5\%$이다. 2) 생강엑기스의 유효성분들은 건강입자에 내포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출 속도는 반응층을 통한 확산모델로 설명된다. 침출 효율을 개선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수적이다. 3) 건강의 입자는 $10\~20{\mu}m$정도의 전분입자가 될수록 많이 노출되도록 160목을 통과하는 작은 입자로 분쇄하면 추출효율은 최대화 할 수 있다. - 추출온도는 엑기스의 주요성분의 손실이 무시되는 최대온도, $40^{\circ}C$가 최적이다. - 160목, $40^{\circ}C$에서 추출시간 3-4시간이 최적이다. - 이같은 조건에서의 엑기스 회수율은 약 $8\%$이다. 4) 엑기스내의 비자극성 성분은 회분 $0.5\~0.8\%$, 조지방 $1.2\~1.8\%$, 조단백 $2.8\~3.5\%$이고, 유리당은 거의 침출되지 않는다. 엑기스내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5) 기계건조보다 일광건조에 의한 건강에서 추출된 엑기스의 품질이 양호하며, 외국산 고급 엑기스와 품질면에서 대등한 것이다. 6) 위와 같은 결과는 TLC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Spot를 HPLS로 분석, IR, NMR, LC/MS를 사용하여 주요성분을 확인 및 정량화하였다. 이로부터 엑기스내의 주요성분은 gingerol이 약 0.38, Shogaol이 약 0.027, 그리고 Paradol이 0.03의 농도분율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7) 기계건조 건강으로부터 얻은 엑기스는 상온 $\~100^{\circ}C$ 범위에서 휘발 및 열분해에 의한 무게감량이 양건강에 비해 약 2.7배나 높다. 그러므로 생강엑기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생강차 제조시 열풍건조($60^{\circ}C$, 30분)는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8) 생강엑기스 제조는 건강 재배방법 저장기간과 방법, 건조방법이 건강특성을 좌우한다. 9)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열분석(DSC와 TGA)방법을 도입한다면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생강 엑기스 품질을 평가하는 데에 큰 기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0) 양호한 생강차를 만들 수 있다고 선정된 엑기스는 수입 엑기스와 함께 양건강의 제품이다.

  • PDF

Research of Electrical Safety Test Construction about Structure under 765kV Transmission Lines (765kV 송전선로 선하 건조물 전기안전 실증시험 구축 연구)

  • Mun, Seong-duk;Maeng, Jong-ho;An, Ho-sung;Ahn, Heesung;Lee, Ho-gue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10-411
    • /
    • 2015
  • 765kV 송전선로와 선하 건조물은 최하단 도체의 높이 28m를 적용하고 대지저항률은 $100{\Omega}m$, IEEE 변전소 설계지침인 Std-80에 따라 건조물에 접촉하는 사람의 인체저항은 $1000{\Omega}m$, 대지를 딛고 있는 사람의 한쪽 발 접지저항은 직경 8cm의 원판 접지저항을 적용한다. 이렇게 구성된 모델에서 선로중심에서 건조물까지 이격거리 변동에 따라 인체 유도전류를 측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안전 실증시험을 위해 765kV 가공송전선로 직하에 목조 및 샌드위치 판넬 2가지 시험용 가옥을 설치하였다.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의거하여 선하직하 이격거리가 28m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전자계 특성과 재질에 따른 전자계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장기 유도장해 실측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그림 1과 같이 구축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송전선로에 의해 선로중심으로부터 구축된 모의가옥까지 이격거리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고 그 크기가 인체에 미치는 유도전류 한계치 초과 여부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안전성 여부에 대해 측정 및 검토하고자 시험게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선로 고장 시 대지전위상승에 의한 선하 건조물 안정성 검토 및 낙뢰서지 유입에 의한 전기안전 시험 구성을 하였다.

  • PDF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배 페놀성물질의 추출

  • Jang, Sun;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8-139
    • /
    • 2003
  •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배의 생산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2010년까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한편 재배기술에 의한 미숙, 태풍에 의한 낙과, 수확 후 저장중 손상으로 약 15%의 배가 유실된다. 이러한 상품성이 낮은 배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배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배의 페놀성물질 추출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추출율을 비교하였다. 신고배 과피를 신선시료, 열풍건조시료와 동결건조시료 3가지 상태로 하여 methanol, ethanol, acetone과 물 추출물을 Folin-Denis법으로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료의 상태에 따라 추출효율에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신선시료에서 모든 농도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 3용매에서 모두 60∼80% 농도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그리하여 3가지 용매에서의 최적추출농도를 알아보고자 60∼80% 범위내에서 5%농도 간격으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메탄올에서는 70%와 75%에서, 에탄올에서는 70%에서, 아세톤에서는 65%, 70%, 7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선시료에서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페놀성물질 추출 시 약 70% 농도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물 추출은 가장 낮은 효율을 보였다. 열풍건조시료에 대한 각용매의 농도별 추출효율은 아세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효율이 떨어졌고 특히 무수 아세톤에서는 그 효율이 물 추출효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20∼80% 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에탄올, 메탄을 순이었다. 아세톤은 40∼60% 범위에서, 에탄올은 60∼80% 범위에서, 메탄올은 60∼99%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여 각각 이 농도범위에서 다시 총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각농도에 따른 추출함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결건조시료에서 아세톤에 의한 추출효율은 열풍건조시료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20∼80% 농도범위에서 메탄올의 추출효율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에탄올, 아세톤의 순으로 높았다. 물 추출효율은 20% 메탄을 추출효율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메탄올에서는 60∼80%, 에탄올과 아세톤에서는 40∼60%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이 농도범위에서 최적의 추출농도를 확인하고자 각 용매와 농도별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에서는 5% 농도차이가 그 추출효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에서는 4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고 아세톤에서는 50%에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시료의 상태와 상관없이 배 과피의 페놀성물질 추출용매로는 40∼70%의 함수 아세톤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Optimization of Emulsification and Spray Drying Process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Flavor Compounds (향기성분 미세캡슐화를 위한 유화 및 분무건조 공정 최적화)

  • Cho, Young-Hee;Shin, Dong-Suck;Park, Ji-Y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1
    • /
    • pp.132-139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emulsion process and the spray drying process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flavor compounds. Using the wall system selected, emulsion process for microencapsulation was optimized on the change of the pressure of piston-type homogenizer. Emulsification pressure of 34.5 MPa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preparing flavor emulsion.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and atomizer speed of the spray drier on total oil, surface oil, and flavor release of the flavor powder were investigat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um spray drying conditions for minimal surface oil and flavor release and maximum total oil were $170{\circ}C$ inlet temperature and 15,000 rpm atomizer speed. The spray-dried powder processed with the highest drying temperature showed spherically-shaped particles with smooth su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