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 작업자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4초

OWAS 기법을 활용한 건설업 근로자의 작업 자세 분석 (Analysis of Working Posture for Construction Workers Using OWAS Method)

  • 엄란이;이예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04-712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working postures using the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to improve work clothes for construction workers. A video taken at a construction work site was stopp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ostures of relevant body parts proposed by OWAS was recorded. Additionally, based on analysis of the working postures code, the level of work action for each postures was classified from stage I to IV. General workers frequently straightened or bent forward at the waist, and used their legs to stand, bend, or walk. Wood workers moved extensively from the waist, keeping their legs relatively straight and their arms held below their shoulders, repeatedly tapping with a hammer weighing less than 10.0kg. Rebar bending workers mainly bent forward at the waist, with both legs bent or standing with one leg bent. Rebar transport and fixing workers walked with the waist straight, and occasionally one or both hands held above the shoulders. Their work also involved holding a hook, which weigh less than 10.0kg, in their hands, and the difficult task of lifting and placing long rebars, which weigh from 10.0 to 20.0kg or more. Concrete pouring workers bent or twisted their back to the sid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design goals should be different when developing workwear for each type of worker.

사례분석을 통한 이동식 크레인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 김병석;양용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년 추계학술대회
    • /
    • pp.21-30
    • /
    • 2012
  • 이동식 크레인과 관련한 안전사고가 다발하고 있음에도 국내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아직도 관리감독자와 크레인 운전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장비를 선정하고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이동식 크레인 전도사고사례와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한 안전한 자재 양중작업을 위하여 중량물의 무게 형상, 인양장비 제원, 정격하중, 작업반경 등을 고려한 중량물 취급작업계획을 작성 준수하고 이동식 크레인의 제작 설계기준 준수를 위하여 이동식 크레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사용(취급)설명서를 준수하며 위험성 평가 결과가 실제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한 양중작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관리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건설현장 위험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 이현수;김현수;박문서;이광표;이사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17-126
    • /
    • 2009
  •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체 타산업과 유사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위험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빈도와 강도 기반의 공종별 위험도를 구하였다. 위험 영향 요소와 공종별 위험도를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위험도 산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건설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를 구할 수 있으며, 위험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해외건설공사 수행절차(6) - 시공단계(施工段階)

  • 해외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제11호통권220호
    • /
    • pp.44-47
    • /
    • 2008
  • 많은 난관을 극복하고 조기착공에 성공한 후에,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주공정(Crtical Path) 을 관리하는 것이다. 주공정(critical Path)의 초기 작업에 필요한 자재, 장비, 인원의 준비를 재점검하고 하도급추진을 하는 한편, 계약서상의 요구조건, 승인사항에 미흡한 점이 없는지를 검토하고 보완한다. 계약서상의 요구사항을 미비하거나 무시했을 경우,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경제적 대가를 치루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시공을 하기 위해서는 자재승인 후 작업도면(Working Drawing/ Construction Drawing/ Shop Drawing)의 승인을 받고, 작업방법(Method Statement)을 제출하고, 설명화 Presentation) 및 시험시공(Demonstration 또는 Mockup)을 거쳐 감리자의 시공허락을 받아야 하며 각종 Test를 통해 품질관리를 실행해야 한다. 시공지는 시방서에서 요구하는 품질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공사초기부터 노력을 해야 하며, 공사의 모든 과정에서 항상 claim 여부, 공기내 준공, 하자 Zero, 최단 시일 내에 최대의 기성취하에 역점을 두고, 이에 장애요인을 해결하는 것으로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

  • PDF

건설업규모별 안전관리 활성화 방안

  • 김종욱;고성식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67-472
    • /
    • 2002
  • 우리나라의 건설업은 IMF이후 건설공사의 양적 증가, 고층화와 지하공간 활용증대에 따른 굴착심도의 증가, 건설입지의 확장, 도시기반 시설의 고밀도화와 기존 지하매설물과 인접한 굴착작업의 증가 등으로 건설현장 내에서의 사고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재해로 이어져 근로자의 인명피해는 물론 기업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국가산업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중략)

  • PDF

건설작업자 스트레스로 인한 사고유발성 연구

  • 갈원모;곽수찬;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9-334
    • /
    • 2002
  • 복잡해진 생활과 작업 중에 받는 스트레스는 직종과 지역에 관계없이 모두의 문제가 되고 있다. 현대인의 고민거리인 스트레스는 우리 신체에 무조건 있어서 안 되는 것이 아니라 과로할 때 질병을 가져오고 각종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의학전문가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서 그 영향을 보고하고 있다.(중략)

  • PDF

NOSACQ-50을 활용한 건설현장 작업자들의 안전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Safety Perception Level of Workers in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NOSACQ-50)

  • 하승용;김선국;손승현;하선근;손기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67-57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의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NOSACQ-50을 활용하여 안전인지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여 안전 분위기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한다. 둘째, 근로자의 안전분위기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NOSACQ-50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 분위기 수준을 평가한다. 그 결과, 한국의 안전분위기 수준은 NOSACQ-50에서 제시한 표준값에 비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안전분위기 수준의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NOSACQ-50과 같은 국내 건설현장에 맞는 안전인식 수준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액티브 러닝을 활용한 영상기반 건설현장 물체 자동 인식 프레임워크 (Automated Vision-based Construction Object Detection Using Active Learning)

  • 김진우;지석호;서준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631-636
    • /
    • 2019
  •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대규모 현장에 투입된 건설자원의 유형과 위치를 자동 파악하는 영상분석기술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인식하고자 하는 건설 물체(작업자, 중장비, 자재 등)를 학습용 이미지 데이터에 표시하는 Labeling 작업을 요구하고 이에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낭비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액티브 러닝을 활용한 영상기반 건설현장 물체 자동 인식 프레임 워크를 제안함을 목표로 한다. 개발 프레임워크 검증을 목적으로 건설분야 Benchmark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실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액티브 러닝을 통해 학습한 모델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건설물체를 성공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고, 기존의 학습 DB 구축 방식과 비교할 때 더 적은 데이터 수와 반복학습 횟수로도 높은 성능을 가지는 영상분석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요구되던 학습 DB 구축을 위한 Labeling 작업을 줄일 뿐만 아니라 총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 형성한;장원준;이문배;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대 사용자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Exploring Different Users' Perception of Smart Harness on Construction Sites)

  • 김현태;안창범;박문서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22-29
    • /
    • 2021
  •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근로자의 단순 실수와 부주의까지 포용할 수 있도록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장비 사용 의무화 등의 정책 및 법령이 시행됨에 따라, 스마트 안전장비 기술 개발 및 현장 도입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안전장비의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채택되거나 사용되지 않으면 건설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안전장비의 성능과 특징에 따른 사용자별 인식과 기대의 차이를 통해 스마트 안전장비 채택에 관한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안전장비 중 최근 국내/외에서 기술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스마트 안전대에 대한 안전관리자 및 근로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안전장비에 대한 사용자별 인식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건설현장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 활성화에 관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