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 리프트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1초

큐잉이론을 이용한 고층건물 가설리프트 계획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Model Using Queueing Theory for Lifting Planning in Tall Buildings)

  • 이학주;김대원;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28-633
    • /
    • 2008
  • 건축물에 있어서 고층화 대형화의 변화는 인력과 자재의 양중부하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직양중작업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고층으로의 운반정체는 물론 대기상태증가로 인한 생산성 감소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고층 건물 공사초기의 양중계획은 건설현장의 특성을 면밀히 고려하고 효과적으로 계획수립에 반영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건설현장에서 가설리프트 계획수립은 사이클 주기(Cycle Time)를 바탕으로 한 단순계산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쉽고 간단하지만, 복잡하고 유기적인 현장의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확률적 대기행렬의 큐잉이론(Queueing Theory)을 이용한 시뮬레이션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회생에너지 재생시스템을 적용한 건설용 리프트의 요구성능 도출 (A study of Performance Requirement for Energy-Regenerative Lift)

  • 원명균;임현수;이명도;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1부
    • /
    • pp.205-206
    • /
    • 2011
  • Various studies on energy saving for construction sites have been carried out and some construction machines using motors have installed regenerative systems such as elevators and excavators. The construction lift also uses motors and generates more regenerative energy when the lifts descend because lifts convey many construction materials and workers.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generative system to the construction lift. However, if the system is a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lift's characteristics, the new development would fail; we therefore need to propose a performance require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erformance requirement for the energy-regenerative lift prior to developing the energy-regenerative lift.

  • PDF

초고층 건축공사의 리프트 수직 환승운영 최적화 방안 연구 (Study on Optimization for Construction Vertical Lifting with Transfer Operation for Super High-rise Buildings)

  • 문주용;박문서;이현수;정민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53-62
    • /
    • 2014
  • 최근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로부터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초고층 건축공사 프로젝트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수직 리프트 양중은 리프트 양중 장비 대수의 제약으로 인해 초고층 건축공사 프로젝트에 있어서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건물 높이가 400m 이상 되는 초고층 건축공사에서는, 리프트의 최대 운행높이로 인해 환승운영방식의 리프트 양중이 필수적이다. 환승운영방식 리프트 양중에서의 환승층 지정은 자원들의 양중 시간 단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AnyLogic 프로그램을 통한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 및 OptQuest 최적화 프로그램을 통한 메타휴리스틱 방식의 최적해 탐색으로 오전 출근시간대의 작업원 양중 시 환승층 최적화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중간층을 환승층으로 지정했을 때와 비교한 결과, 최적 환승층을 지정했을 때 작업자들의 전체 양중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도구를 사용 시 초고층 건축공사 프로젝트에서 작업원들의 가용 작업시간 증가를 통한 비용 절감 및 프로젝트 공기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층 건설용 리프트의 최적 호출 응답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Call-response Algorithm of Construction Lift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안희재;이동민;김태훈;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7
    • /
    • 2018
  •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lift is increasing, no improvements are being made to its operating system. This study proposed an optimal call-response algorithm of the construction lift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by using image sensing technology, height measuring sensor, and load cell. This algorithm makes turn-around decision of the construction lift by considering th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user. It occurs when the call comes from a floor where the construction lift already have pa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total latency of the construction lift user.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lay in construction duration by carrying out a priority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lift for the critical workforce.

  • PDF

Double-Cage 건설용 리프트의 양중시간 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Calculating Hoisting Time of Double-Cage Construction Lift in Supertall Building Construction)

  • 김완섭;이동민;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4-65
    • /
    • 2016
  • According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height of supertall buildings, construction lift became one of most important equipment for vertical transportation of resources. However, increase in lifting load during peak time in which the resources are concentrated often causes a risk of construction delay.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 of Double-Cage construction lift, which is a lift with two cages attached together allowing transportation of resources on two consecutive work floors simultaneous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imulation model suitable for calculating hoisting time of Double-Cage construction lift.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when applying Double-cage construction lift for its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 PDF

모형실험에 의한 트러스형 리프트 게이트의 진동 특성 (Dynamic Characteristic of Truss Type Lift Gate by Model Tests)

  • 이성행;신동욱;김경남;정경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A호
    • /
    • pp.337-34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중인 트러스형 리프트의 진동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이 수행된다. 경간 40 m, 높이 9 m의 트러스형 리프트게이트를 축척 1/25로 모형이론에 따라 아크릴과 납으로 모형을 제작하고, 폭 1.6 m, 길이 25 m, 높이 0.8 m의 수로에서 실험된다. 먼저 모형의 고유진동수가 측정되고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 해석결과와 비교된다. 검증된 모형에서 상하류 수위와 문비 개방고에 따른 진동가속도 진폭이 측정된다. 또한 문비의 진동을 줄 일수 있는 하부형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문비 최하부의 각도가 $20^{\circ}$, $35^{\circ}$, $50^{\circ}$인 모형을 제작하고 실험결과를 서로 비교한다. 실험 결과는 수문 조작 시 유지관리지침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수문의 진동특성과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수문의 하부형상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