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통합관리

Search Result 63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Framework of Integrated Database for Construction CALS (건설CALS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 Kwon Sung-Hyun;Moon Sung-Woo;Lee Cheol-Kyu;Baik Jong-Keo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446-449
    • /
    • 2002
  • To establish integrated Database, this paper (1) grasped key success factors of integrated data environment, (2) selected linking information through investigating information-oriented projects and database necessary to perform construction project in public section, (3) divided selected information into project-based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and then (4) presented plan of sharing knowledge through using the linking method of knowledge database and meta-database.

  • PDF

A Study on Integration of Schedule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공정관리와 리스크관리의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 Jang, Myung-Houn;Youn, You-Sang;Suh,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105-110
    • /
    • 2006
  • It is more effective and more efficient to manage schedule and risk at a same time because many risks occur in construction phase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tool that manages risks in a project management software. The tool is implemented by VBA in Microsoft Project, and enables field managers of a construction project to make schedules and to help to predict risks.

  • PDF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A study on Unification Pla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s in Social Overhead Capital fields -the subject for Business Process of the first stage of Project Management- (SOC분야의 건설정보시스템 통합 방안 연구 -건설사업관리 초기단계 업무 대상-)

  • Kim, SeongJi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89-1690
    • /
    • 2012
  •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의 도로 하천 항만건설분야에 적용중인 건설정보시스템(건설사업관리시스템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 간에 차이점을 파악하고, 공사계약이 체결된 이후인 사업관리 초기단계에서 건설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등록, 사업 공사등록 및 공사 대장 작성 보고 업무를 대상으로 시스템간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An advanced nation's case study considering integrated control for construction work quality.safety.environment (건설공사 품질.안전.환경 통합관리를 고려한 해외 사례 고찰)

  • Kim, Dong-Hee;Kim, Woon-Soo;Jeong, Han-Gyo;Noh, Jo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819-823
    • /
    • 2008
  • Currently, the quality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and environment manage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work does not form a infrastructure for integrated control which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respective the law. In other words, the quality manager and safety manager of human resources is set to a legal arrangement personnel, but environment manager of human resources is not. In addition, quality management standard is to perform the work to PDCA(Plan-Do-Check-Action) system which is reflected in all of the requirements of KS A ISO 9001 standard, but safety management plan and hazard harmfulness prevention plan are not properly reflected P(Plan), C(Check) and A(Action) system and focusing on only 4 section Do(D) in KOSHA 18001 standard requirement. Moreov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is not even established requirement. Through examining the operation practices of an advanced nation prior to building the integrated control standard for construction work qualify safety.environmen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domestic is reviewed, and then this study is going to research the operation practices of Singapore.

  • PDF

Autom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Construction Site (교량 건설현장의 시공관리 자동화 기술 연구)

  • Lee, Kee Sei;Choi, Jun Ho;Jiang, Meiling;Kang, Young J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4-164
    • /
    • 2011
  • 최근들어 교량 건설 프로젝트는 그 규모가 방대해 졌을 뿐만아니라, 건설에 사용되는 장비 및 자재, 인력의 종류 또한 다양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구조적 안전만을 추구하던 건설현장은 이러한 제반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경제성뿐만 아니라 시공의 효율성 까지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따라서 건설 현장의 진도 및 자재, 인력관리는 현대 건설 산업의 주요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시공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 및 RFID를 이용하여 종래에 시행되던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이를 통하여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시공관리 시스템에 대한 모듈을 제안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3D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진도 및 공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정을 3차원 모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사용된 비용 및 공정률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3D모델은 공사 시작 전 공정에 맞추어 분절된 형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송신한 위치정보가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수신되면 해당 새그가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3D모델은 공정시각화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각 새그에는 사용된 자재의 종류나 수량등이 DB화 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공사에 사용된 물량을 산출 할수 있도록 한다. 시공정보의 수신은 각 자재에 부착한 RFID태그를 직접 읽어서 송신하거나, 작업자가 시공상황을 단말기를 통하여 직점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수집된 시공정보는 3D모델과 연계됨과 동시에 통합관리 시스템에 내장된 DB와 연결되어 사용 자재 및 물량에 대한 비용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량 시공 현장에서는 기성청구시 내역서를 기준으로 비용을 산정하게 되는데, 시공관리 통합 프로그램에서는 각 공정이 DB화된 내역서와 연계되어 3D모델에서 얻어진 물량으로 공비를 산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단일 현장뿐만 아니라, 공구 내의 여러 교량 현장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방대한 현장의 공사관리에 소요되던 시간과 노력을 절감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공사관리 작업에 대해 IT기술을 접목하여 자동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이는 모바일 오피스 및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 공정까지 사용된 물량, 인력, 장비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현재까지 진행된 공사 내용을 3D모델을 통하여 한눈에 알아볼수 있는 교량 건설현장 통합관리 시스템의 모듈을 제공한다. 이에따라 공무 작업에 소모되는 인력 및 시간을 크게 절약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the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 (통합 건설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계-공정 정보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 Yun Seok-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107-114
    • /
    • 2002
  • As many software tools are use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integration of their data and information is gradually becoming critical.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design and scheduling data, a generic scheduling information model is designed through this research, with appropriate consideration for past research results on construction information model and also object oriented CAD technology. In order to test the practical usage of this model, a small prototype system which can derive schedule information from the design information is implem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