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청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Water Quality Forecast in the Mulgeum Using WASP 7.2 and Forecasted Zooplankton (WASP 7.2와 예측된 동물성플랑크톤을 이용한 물금의 수질예측)

  • Choi, Jung-M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79-1683
    • /
    • 2008
  • 낙동강 하류지점인 물금은 2003년${\sim}$2005년의 대부분이 부영양화의 기준을 넘고 있다. 하구둑 건설이후, 담수화 된 하구둑 상부에서는 부영양화가 가속화되었다. 수질의 악화는 물론 강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까지 초래되었다. 지난 $7{\sim}8$년 간 낙동강 하류 지역은 갈수기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의 대거 번성으로 인한 부영양화로 연중 심각한 수질 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WASP 7.2 모형과 예측된 동물성플랑크톤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하류 지역인 물금의 부영양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2005년의 관측값을 초기조건으로 고정하고 DO, $NO_3$-N, $PO_4$-P, 기상청에서 예보되는 기온을 사용하여 동물성 플랑크톤을 신경망 모형으로 예측한 뒤, 수온 대신 기상청의 기온을 입력하여 $1{\sim}3$일 후의 단기 수질을 예측하였다. 부영양화 예측결과와 2005년의 월별 수질 관측값을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sim}3$일 후의 예측결과 수질항목 중 부영양화의 기준이 되는 클로로필-a, 총 질소, 총 인의 경우는 예측기간 모두 관측값에 적합하게 모의되었다. WASP 7.2 모형의 수질항목 관측자료를 초기값으로 입력하고, 예측된 동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와 기상청에서 예보되는 기온을 사용한 수질모의는 낙동강의 단기 수질예측에 유의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국연구소 소개-일본식물바이러스 연구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1 no.1 s.104
    • /
    • pp.38-40
    • /
    • 1978
  • 일본은 1979년에 완공을 목표로 차성현에 자성현에 축파연구학원도시를 건설중에 있다. 이미 과학기술청 산하의 무기재질연구소 국립방재과학기술센터 환경청 산하의 국립공해연구소(본지1977년 6월호에 소개) 문부성 산하 고에너지 연구소 축파대학등이 이전신설을 완료하여 새로운 연구원도시로서 활기를 대기 시작하고 있는데 시년에는 농림성 관계 연구기관의 이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즉 열대농업기술연구센터,식물바이러스연구소의 개소에 이어 과수실험장,농업토목연구소,임업실험장이 가까운 시일내에 전시설의 정비를 끝내고 개소할 예정이며 금년도에는 식품종합연구소, 가축위생실험소가 그리고 내년도에는 농업기술연구소,축산기술연구소,단사실험장, 농사실험장의 일부가 이전할 예정이다. 이 이외에도 농림성의 과수화목과 축파분실(가칭)과 농림수산기술회의 사무국의 일부도 입주할 것이라 한다. 용지 총면적은 474.5핵터, 건물용지는 227.4핵터에 이르고 있다. 이들 농림성 산하 연구기관이 집중된 지역을 흔히 농림단지라고 부르고 있다. 이번에는 최근 식물 바이러스 연구소를 중심으로 농업단지를 소개한다.

  • PDF

The Regional Construction & Management Office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Web (웹을 기반으로 한 지방청 공사현황 정보시스템 구축)

  • 서명배;강의석;김남곤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3.09a
    • /
    • pp.84-89
    • /
    • 2003
  • For running various construction processing information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it is supplied by Construction CALS/EC systems properly during whole facilities life cycle. So it is urgently necessary to change Regional Construction 8t Management Office (RCMO) equipment construction administration business to electron processing system (CALS/EC). From construction work plan to completion, a present storage documents system is unsystematic. Therefore, it needs management system to store documents and to read in turn documents properly. This research suggest that it is to connect with various information systems and Construction CALS/EC for RCMO which is running public construction field. So it can be driven systematic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system about public construction business by Web-based present construction situation information system.

  • PDF

Appropriate Sample Size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Event using Peaks Over Threshold (POT) (강우사상 이변량 빈도해석을 위한 Peaks Over Threshold (POT) 방법을 이용한 적정 확률표본 선택 연구)

  • Joo, Kyungwon;Kim, Hanbeen;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4-304
    • /
    • 2018
  • 이변량 빈도해석은 일반적으로 고정지속기간 강우량에 대해 빈도해석하는 단변량 빈도해석에 비해 지속기간을 확률변수로 이용하여 강우량과 동시에 확률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확률분포형의 차원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 단변량 빈도해석에서 요구되던 표본크기보다 더 많은 표본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강우관측소의 경우 오래된 관측소의 경우에도 기록년수가 60년을 넘지 않아 연최대계열로 확률표본을 작성할 경우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aks Over Threshold (POT) 방법을 이용하여 적정 확률표본을 선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 기상청 지점의 강우자료로부터 최소무강우시간을 이용하여 모든 강우사상을 추출하였으며 각 강우사상의 강우량과 지속기간이 확률변수로 사용되었다. 기존에 알려진 POT 방법들과 Anderson-Darling 적합도 검정을 이용한 절단값 산정방법등을 적용하여 확률표본 개수의 변화에 따른 주변분포형의 적합도 검정과 이변량 확률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 PDF

Change of Extreme Rainfall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of CORDEX-EA data in South Korea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극한 강우량 변화: CORDEX-EA 자료를 대상으로)

  • Kim, Sunghun;Kim, Sooyoung;Seo, jungh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4-314
    • /
    • 2018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곳곳의 기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는 더욱 뚜렷하고 빈번하게 나타나 막대한 재산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많은 투자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생산된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 현상을 분석하는 것은 미래에 기후변화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시키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매우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RDEX-EA(Coordinated Regional Climate Downscaling Experiment in East Asia)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상청 강우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미래 극한 강우량 산정하고, 각 모델별 변화량을 계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 중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실현되지 않는 RCP 8.5 시나리오와 상당히 실현되는 RCP 4.5 시나리오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극한 강우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적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ong-term rainfall prediction of Geum river basin using teleconnected climate indices (원격상관 기후지수를 이용한 금강유역 장기 강우량 예측)

  • Lee, Jeongwoo;Kim, Nam Won;Kim, ChuI-Gyum;Lee, Jeo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1-211
    • /
    • 2018
  • 미해양대기청 기후예측센터(Climate Prediction Center, NOAA)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후지수(climate indices)를 예측인자로 하고 금강유역의 5~6월의 강우량을 예측대상으로 하는 원격상관기반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1988년부터 2017년까지의 30년 자료에 대해 예측인자와 예측대상간의 시간지연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NAO(North Atlantic Oscillation), EP/NP(East Pacific/North Pacific Oscillation), EA(East Atlantic Pattern), WP(Western Pacific Index) 등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시간지연 기후지수를 이용하여 4개월전에 5,6월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관측 강우량 아노말리가 큰 경우에는 다소 과소 예측되고, 아노말리가 작은 경우에는 다소 과다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관측 강우량과 예측 강우량간의 상관계수가 0.75로서 비교적 우수한 예측 결과를 나타내었다. 5~6월 강우량 아노말리의 3분위 예측성을 평가한 결과 평년이상 적중률은 77.8%, 평년수준은 81.8%로서 예측 성공률이 높았으며, 5, 6월 누적강우량이 매우 작았던 92년과 95년을 제외하고는 강우량이 적은 해에도 예측성이 우수하여 평년이하 적중률이 70.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개발모형은 최소 4개월 이전 선행시간을 가지고 늦봄, 초여름강우량을 예측할 수 있는 저비용의 가뭄 예측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gitive Dust Measurement System using Optical Method (광학기법을 이용한 비산 먼지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Chae-Hoon, Ban;Hyun-Gun, S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6
    • /
    • pp.1237-1242
    • /
    • 2022
  • Fugitive dust, which accounts more than 50% of fine dust, is an air pollutant, that is generated by a lot in construction work(29.5%) and the law provides standards for facility installation and measures to control this. Howeve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re not subject to management standards, and the law to measure and manage fugitive dust generated from construction sites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method to easily measure and monitor fugitive dust using the digital optical method for turbidity of dust. We presented the method to measure the turbidity of fugitive dust using the digital optical method and measured the actual turbidity of fugitive dust at the construction sites after implementing the fugitive dust measurement system.

Assessment of Applicability and Goodness-of-Fit test of Gumbel Copula for Extreme Rainfall Events of South Korea (국내 극치 강우사상에 대한 Gumbel copula 모형의 적합도 검정 및 적용성 검토)

  • Joo, Kyungwon;Jung, Younghun;Seo, Miru;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9-279
    • /
    • 2020
  • 최근 copula 모형은 여러 확률변수를 갖는 수문현상에 대해 빈도해석을 수행할 경우 결합확률분포형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자료를 확률변수로 사용하는 단변량 빈도해석에 비해 여러 수문자료를 동시에 각각 확률변수로 취하여 결합확률분포형을 추정할 수 있는 다변량 빈도해석은 수문자료의 상관성을 고려하면서 확률분포형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opula 모형 중 Gumbel copula는 extreme-value 확률분포형으로 극치사상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Gumbel copula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상청 64개 종관기상관측소의 강우자료로부터 극치 강우사상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극치 강우사상은 전체 강우사상 중 각 년도별로 최대강우량을 갖는 연최대강우량사상(annual maximum volume event)을 사용하였다. 각 확률변수의 주변분포형으로는 gamma, Gumbel, generalized extreme value, generalized logistic, Weibull 등 5개 확률분포형을 검토하였으며 각각 적합한 주변분포형을 적용하고 copula 모형의 매개변수는 의사최우도법(maximum pseudo-likelihood method)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copula 모형은 Cramer-von Mises 함수와 경험적 copula를 이용하여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극치강우사상에 대하여 Gumbel copula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추정된 결합확률분포형을 이용하여 빈도별 확률강우사상을 2차원 등치선(contour line)형태로 제시하였다.

  • PDF

Future precipitation changes in Jeju island based on CMIP6 models (CMIP6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제주도 강수량의 미래 변화)

  • Kim, Sunghun;Seo, Miru;Lee, Tae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6-1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평가보고서(6th Assessment Report, AR6)에서 제시한 새로운 온실가스 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에 따라 산출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제주도의 미래 강수량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기후정보포털(http://www.climate.go.kr/)에서는 6가지 기상요소(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풍속 등)에 대하여 SSP 시나리오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SSP 시나리오는 SSP1-2.6 저탄소 시나리오(사회 불균형의 감소와 친환경 기술의 빠른 발달로 기후변화 완화, 적응능력이 좋은 지속성장가능 사회경제 구조)와 SSP5-8.5 고탄소 시나리오(기후정책 부재, 화석연료 기반 성장과 높은 인적 투자로 기후변화 적응능력은 좋지만 완화능력이 낮은 사회경제 구조)로 구분되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기후 상태를 모의하는 historical period (1850-2014) 자료와 미래의 기후상태를 모의한 future period (2015-2100) 자료가 있으며, 월별(momthly), 연간(yearly) 자료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SSP 시나리오를 이용한 제주도 강수량의 미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Construction Company's Bidding Practice under the Lowest Bidding System (최저가낙찰제하에서의 건설업체의 투찰 형태 분석)

  • Lee, Hyungwoo;Chang, Chul-Ki;Kim, Yong-S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6D
    • /
    • pp.975-983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bidding data for construction projects ordered by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under the lowest bidding system since 2001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 in terms of construction types, company sizes, bidding prices. This study brings out construction company's bidding practic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current lowest bidding system and suggests the way to mitigate the problems and to improve the lowest bidding system. The analysis shows the problem of winning a bid in abnormally low price under the lowest bidding system, feared at the start, was realized. As bidding practice has polarized with low and high pric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owest bid system's market has a high possibility to be distorted by construction companies' bid strategies. To complement the lowest bidding system's problem, the analysis shows that introduction of the bidding system using particulars where bidders estimate construction quantities and unit prices by themselves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