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청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durability standard of underground structures monitoring sensors (지하구조물 계측센서의 내구연한 기준에 대한 규정 분석 연구)

  • Woo, Jong-Tae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0 no.1
    • /
    • pp.73-8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gulation of durability standard of underground structures monitoring sensors. The durability criteria for construction monitoring sensor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the standard years of contents such as buildings on the income tax implementation regulations, and the standards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construction monito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were analyzed. The durability criterion on products such as the inclination meter and the strain gauge, which are purchased from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prior to installation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8 to 10 year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nitoring sensor installed in the paperboard and the concrete structur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ill have considerably shortened service life rather than the useful life of the product itself due to various adverse factors such as groundwater influence and compaction.

안내-행자부, 지방계약민원 종합상담센타 개관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2 s.199
    • /
    • pp.81-81
    • /
    • 2007
  • 행정자치부(장관 박명재)가 지역예산을 집행하는 계약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해 마포구 공덕동에 소재한 한국지방재정회관에서「지방계약민원 종합상담센타」를 개설, 지난 1월 22일부터 민원상담서비스에 들어갔다. 이 센타는 2006년‘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령’시행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민원상담을 소화하는 한편, 서비스의 질을 높여 체계적·능동적인 민원서비스를 위해 개설 됐으며 △상담신청 → 1차상담서비스 → 진행상황 파악 → 미진한부분에 대한 사후 서비스 → 수범사례 전파의 순으로 서비스가 진행된다.「지방계약민원 종합상담센타」는 앞으로 자치단체, 교육행정기관, 건설업체 등에 대한 신속하고 품질 높은 민원상담서를 제공, 고객만족을 확대하고 제도적 건의사항이나 문제점을 즉시 파악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현판 제막식에는 김경회 대한설비건설협회 상임이사를 비롯한 건설단체 임원 및 지방자치단체 시·도 계약담당 사무관, 시·도 교육청 계약담당 사무관, 행자부 산하기관 임원 등이 참석했다.

  • PDF

Development of Merging Rainfall Forecasts to Provide Flash Flood Forecasting Information (돌발홍수정보 생성을 위한 예측강수 병합 기법 개발)

  • Yoon, Jung Soo;Hwang, Seok Hwan;Kang, Na Rae;Lee, Dong-Ryul;Noh, Hui Seong;Lee, Keon Haeng;Yoo, Se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3-373
    • /
    • 20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돌발홍수연구센터는 전국에서의 돌발홍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9년에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은 동(읍/면) 단위로 1시간 선행 예보를 3단계 위험 정보(주의/경계/심각)로 전국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 예측 선행 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한 것은 최소 대피 시간의 개념도 있지만 예측자료의 정확도가 1시간 이후 현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의 예측 선행 시간을 1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장하기 위한 병합 기법을 검토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초단기 예측 강수 자료와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치예보 자료를 활용하였다.

  • PDF

특별인터뷰-이치범 환경부장관

  • Korea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Association
    • 녹색21
    • /
    • s.10
    • /
    • pp.8-13
    • /
    • 2006
  • 환경전문기자회는 이치범 환경부장관 등 환경부 실무과장들이 참여한 가운데 2007년도 업무보고와 간담회를 가졌다. 주요내용은 환경부와 산자부가 이중으로 REACH제도를 홍보하는 이유, 방치폐기물 처리대책 및 재활용산업 육성방안, 이천 하이닉스 증설 관련, 수변구역 매수토지 관리방안, 친환경상품 구매 촉진을 위해 관련 기관 및 단체가 함께하는 방안, 국장급 인사에 대하여 본부와 지방청을 고루 아우르는 방안, 음식물쓰레기 처리 통계 개선방안, 올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황사대책, 바이오디젤 확대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 PDF

에너지: 특허로 본 청정에너지 '지열' 연구개발 현황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5
    • /
    • pp.36-38
    • /
    • 2010
  • 최근 세계각국에서는 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처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글로벌 리더로서의 역할 강화를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설정하고, 녹색에너지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중장기적인 계획과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열'은 고갈되지 않는 무한 에너지로 각광받으며 세계 각국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특허청이 1988년부터 20년간 출원된 지열 관련 특허 통계를 내놓았다. 본지는 나라별 특성에 따른 지열 특허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 PDF

회원사소식 - 이에스콘트롤스(주), "자동제어시스템(ES-2000)"우수 조달물품으로 선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3
    • /
    • pp.26-27
    • /
    • 2010
  • 조달청은 지난 8월 24일 이에스콘트롤스(주)의 "자동제어시스템(ES-2000)"등 43개의 제품을'우수조달물품'으로 선정했다. 이번에 지정된 우수조달물품은 변리사 대학교수 등 외부 전문가의 기술심사를 통해 지식경제부장관 등이 인증한 신기술제품 4개와 특허제품 39개 품목이다. 이에스콘트롤스가 개발한 ES-2000은 그동안 해외제품에 의지하던 것에서 벗어나 수입대체효과를 거둬 평균에너지의 45% 절감 및 비용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김현회의 자재칼럼 (33): 자재 시장 더듬기

  • Kim, Hyeon-Hoe
    • 월간 기계설비
    • /
    • s.247
    • /
    • pp.82-83
    • /
    • 2011
  • 많은 사람들이 올해처럼 계속 춥고 눈이 많은 때는 없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거의 해마다 같은 이야기를 반복한다고 한다. 실제로 기상청 통계를 보면 올해가 그렇게 눈이 많거나 추운 것도 아니란다. 역대 랭킹에서 기온도 적설량도 많이 떨어진다고 한다. 그런데도 사람들이 지난 일은 쉽게 잊고 지금 닥친 것에 집중하기 때문에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이다. 우리 설비건설 업계도 해마다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다. 아니 앞으로 매해 힘겨운 상황이 반복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지금 대면한 상황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오히려 현명하지 않을까?

  • PDF

법령과 고시 ① - '고무발포단열재'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품목 제외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06
    • /
    • pp.87-93
    • /
    • 2016
  • 중소기업청은 지난 해 12월 30일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내역 및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대상품목'을 개정하고 올해 1월 1일부터 3년(2018.12.31)간 적용에 들어갔다. 개정된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대상품목 중 그동안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회장 이상일)가 지정 제외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던 고무발포단열재가 기존 공사용자재 직접구매 대상품목 중에서 유일하게 제외됐다. 새로 개정된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대상품목은 고무발포단열재, 애자, 공기살균기, 플라스틱포대 등 4개 품목이 빠지고 신규 지정을 신청한 12개 품목 중 8개(커튼, 차양, 볼라드, 잡석, 데이터 포트장치, 디지털영상 정보 안내시스템, 막구조물, 포설형 탄성 포장재)만 채택돼 총 127개 품목으로 확정됐다. 고무발포단열재가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대상품목에서 제외됨으로써 앞으로 기계설비건설업계의 매출 신장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for Statistical Downscaling of Rainfall Data (강우의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공간특성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Chul Gyum;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6-166
    • /
    • 2018
  •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연구에서 유출분석을 위한 장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일단위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일자료의 생성을 위해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 기법 중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유역단위의 합리적 유출분석을 위해서는 기상모의모형을 이용한 일자료 발생시 기상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앞서 기존모형의 강우 발생과 크기와 관련된 주요요소들의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 지점의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모형의 강우발생과 관련된 강우/무강우 발생확률, 강우크기와 관련된 월강우량의 평균값, 월평균 강우량의 표준편차, 왜곡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전국에 걸친 공간특성 분석을 통하여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의 개발 및 적용시 고려해야 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Trend Analysis using Scaling Exponent for Monthly Rainfall Data (월별 스케일 지수를 이용한 경향성 분석)

  • Jung, Younghun;Shin, Ju-Young;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6-306
    • /
    • 2018
  • 일반적으로 경향성 분석은 연최대강우량으로부터 산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 이외의 자료를 이용하여 경향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상청 산하의 강우량으로부터 연최대강우량을 추출하고 월단위인 월별 스케일 지수를 추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경향성 분석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Mann-Kendall (MK) 분석을 사용하였고, 추가적으로 MK 분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the block bootstrap-based MK (BBS-MK)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최대강우량을 이용한 경향성 분석 결과는 홍수기 기간에 해당하는 7월부터 10월까지의 경향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스케일 지수에 대한 경향성 분석 결과에서는 몇몇 지점에서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강우 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향성 분석을 위해서는 연최대강우량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인자를 이용한 경향성 분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