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재해

검색결과 1,161건 처리시간 0.028초

건설 재해 예방효과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 최승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21-431
    • /
    • 2023
  • 연구목적: 건설기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마트 안전 시스템의 안전성과 재해 예방효과를 분석하여 그 안전성을 실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건설기계 중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의 유무에 따른 근로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설기계에 스마트 안전 시스템을 설치하였을 때 건설기계와 협착 및 충돌 등에 의한 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결론:건설기계에 설치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은 건설기계 관련 재해 감소와 중대 재해예방에 실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건설 중대 재해요인 간 연관성 분석 (Affinity Analysis Between Factors of Fatal Occupational Accidents in Construction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 임지선;한상욱;강영철;강상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9-38
    • /
    • 2021
  • 정부와 기업이 건설업의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재해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산업안전공단에서 공개한 중대재해 사례 1,197건을 대상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연관성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업안전공단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외부 변수를 포함하여 재해 발생 형태, 건설업종, 작업내용, 기인물, 체감온도, 사고 시간대, 추락높이의 변수로 아이템을 구성하여 분석하였으며, 떨어짐 재해와 그 외의 재해로 구분하여 연관규칙을 도출하였다. 떨어짐 재해의 경우 향상도가 1.38 이상인 64개의 연관규칙을 도출하였으며, 떨어짐을 제외한 재해의 경우 향상도가 1.54 이상인 59개의 연관규칙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관규칙을 재해요인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고 해석한 후, 고찰에서 연구의 한계와 건설재해 요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때 연관성 분석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정량적인 수치로 제시하여 추후 근로자들과 현장관리자가 건설현장에서 적절한 안전대책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건설업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재해 발생형태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ccident Type and Age of Construction Workers)

  • 임종록;조선영;윤성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71-380
    • /
    • 2023
  • 현재 우리나라 건설 프로젝트들이 점점 대형화·복잡화됨에 따라 건설업의 재해율은 타 산업들과 반대로 꾸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향상된 건설 기술력에 비해 건설업 종사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에 관한 기술력은 미흡하다는 증표로 볼 수 있다. 또한, 인력을 중심기반으로 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대다수의 재해는 인적오류에 의한 떨어짐, 넘어짐 등의 재래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인적자원의 특성과 재해와의 관계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안전계획 수립에 반영하는 것은 건설업의 인적오류 재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재해발생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3년간의 건설업 재해사례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위 10종의 재해 발생형태를 대상으로 연령과 재해 발생형태별 빈도 및 강도의 관계성을 도출하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건설재해와 정리정돈

  • 홍종민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14호
    • /
    • pp.44-48
    • /
    • 1994
  • 건설현장의 정리정돈이 재해 예방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항을 근거를 들어 증명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정리정돈에 소요되는 비용이 결코 헛된 투자가 아닌 사실을 인식하여 정리정돈을 유도하고 재해예방 효과와 생산성 향상 효과를 동시에 얻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건설공사 추락 중대재해 발생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Fatal Accidents Relative to Fall at Construction Job Site)

  • 권진석;최승모;손창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10-713
    • /
    • 2007
  • 2002${\sim}$2006년까지 총 5년 동안 한국산업안전공단에 접수된 중대재해건수 총 2546건 중 추락사고로 인한 중대재해건수는 1444건으로 전체 재해발생률의 56.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2${\sim}$2006년 한국산업안전공단의 중대재해 조사목록을 대상으로 추락중대재해의 발생형태별 재해율, 규모별, 공사종류별, 기인물별, 동업종경력별, 발생시점별 현황분석과 추락중대재해에 대한 직종-공사종류별, 직종-기인물별 현황을 교차분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설 중대재해 발생형태 중 추락중대재해를 중심으로 발생인자별 현황을 분석하고, 인자별 교차분석하여 건설공사의 추락중대재해 발생특성을 도출함으로써 건설공사 시공현장에서 추락중대재해의 안전계획 수립 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건설공사 재해의 시간대별 발생빈도 (The Distribution of Injuries by Hours of the Day in Construction)

  • 이규진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47-350
    • /
    • 2002
  • 수년간 건설업은 제조업을 비롯한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재해율을 보이고 있다. 건설투자의 증가는 2001년과 2002년 각각 7.4%와 12%씩 증가하였으나, 재해발생건수는 2001년(16771건)은 2000년(13500건)에 비해 24% 증가하였고 2002년 상반기(8853건)는 2001년 상반기(6636건)보다 33%나 증가하여 건설투자의 증가율보다 높았다. 더욱이 건설취업자수가 2001년(1581천명)의 경우 전년(1575천명)에 비해 0.4%가 감소되었음을 감안할 때 건설물량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리에는 소홀한 면이 많았으며 재해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중략)

  • PDF

건설업 재해처리에 대한 환경 및 인식변화 고찰 (A Study about Circumstances and Perception of Construction Accident Compensation)

  • 홍성호;최진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9-74
    • /
    • 2010
  •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보상되는 것이 정상적인 방법이나 일부 재해는 발생사실을 은폐하여 건설업체나 현장에서 직접 보상하는 음성적인 방법인 ‘공상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음성적인 방법은 공공 공사 입찰에 반영되는 PQ점수에서 가점을 받기위한 목적도 있으며, 향후 수주활동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으려는 협력업체의 입장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부는 재해율에 대한 건설업체의 약점을 알고 이를 이용하여 부당한 산재보상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재해가 미치는 영향과 환경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건설공사 참여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 파악 및 대안 도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소규모 건설현장 중점 안전관리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Safety Management Items in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 장윤라;고성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8-49
    • /
    • 2020
  • 건설재해는 건설업 특성상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시 가변적인 공정 과 인력투입의 다양성, 취약계층의 증가, 건설기계 장비의 위험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로 인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건설재해 중 120억 미만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는 전체 건설 재해의 88.9%(사망 73.4%)를 차지하고 있는 바, 이는 관리감독자의 부재로 인한 관리소홀과 사전 안전조치 미흡 등이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관리 인력 및 기술체계가 부족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조직 부재에 따라,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및 안전시설물 설치 등 기본적인 안전관리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재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예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 재해사례와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분석하고 재해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을 제시하여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