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이미지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5초

건설산업 이미지 향상 전략 개발을 위한 해외 벤치마킹 연구 (A Benchmarking Study of International Cases on Construction Image Improvement)

  • 김상범;이정대;조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D호
    • /
    • pp.93-106
    • /
    • 2008
  • 건설산업은 GDP 17.5%를 차지하는 국내 경제의 중심을 담당하고 있는 기간산업이다. 하지만, 건설산업에 대한 이미지는 3D 업종, 비리와 부실 공사,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가의 건설산업 이미지 제고 방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국내에 적용시키기 위한 전략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건설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해 건설산업 전반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 창설된 NCCER과 건설산업의 홍보와 참여를 목적으로 개발된 Build Your Future, Construction My Future, 등을 통하여 건설산업 이미지를 향상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또한, 영국은 건설산업의 전반적 사항을 지원하는 CITB와 건설산업의 이미지 향상에 목적을 둔 Positive Image 2004 캠페인 프로그램, 등 선진국가들의 이미지 제고 사례를 포함한다. 국내에서도 관 산 학 연 상호협력에 기반을 둔 이미지 제고 노력의 필요성과 지속적인 홍보, 등을 통해 우수한 잠재 인재들을 확보하고, 전략적 분석을 통한 건설 이미지 제고운동에 지속적 노력을 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의 해외벤치마킹 결과가 그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건설기술자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의 인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General Public's and Construction Engineers' Perception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 김동빈;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62-70
    • /
    • 2016
  • 건설기술자는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자원이며, 건설기술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유능한 인재의 유입과 보유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비록 기존 연구를 통해 건설산업의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진단된 경향이 있지만, 현재까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한 현 주소는 정확하게 진단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를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고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일반국민 보다 건설기술자 스스로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 증진과 도덕성 제고가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나타났으며, 건설기술자의 자기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건설산업의 생태계를 회복하는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이미지 변화 비교 분석 및 개선 전략 (Trend Study on Image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Its Improving Strategy)

  • 안성훈;권제중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71-477
    • /
    • 2016
  • 국내 건설업은 국민 생활과 국가 산업의 기반 시설을 제공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이다. 하지만 건설업의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건설업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모두 당시의 이미지를 토대로 수행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일반 국민들이 건설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국가경제 기여도, 장래성에 관한 이미지는 긍정적인 면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덕성 측면에 관한 이미지는 부정적인 면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건설업 이미지 향상을 위한 개선 전략을 제시하였다.

건설 산업 이미지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ag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 김상범;이정대;박민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75-85
    • /
    • 2008
  • 건설 산업은 국민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고 산업의 기반시설을 구축하며 GDP의 약 17.5%를 차지할 정도로 국민 생활과 경제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 기반 산업이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긍정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환경파괴, 저임금, 편향된 언론 보도 등으로 인하여 3D 업종, 비리, 부실, 비효율, 불신 등 부정적 이미지로 언론이나 일반 대중에게 투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대학에서 건설관련 전공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건설 산업으로 우수 인력 유입이 억제되고 있어 산업의 미래기반이 취약해 지고 있다. 또한, 건설 산업에 대한 R&D(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비 저조, 건설종사자들의 사기저하, 등 산업전반에 걸쳐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이 21세기에 첨단산업의 하나로서 거듭나기 위해 건설 산업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 우수인력과 연구개발을 위한 활발한 투자를 유치해 나가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건설 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체계적으로 찾아내어 구체적인 이미지 향상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 이미지 영향요인 후보군을 도출하였고, 다양한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건설 산업 이미지 주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건설 산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건설업체 및 종사자의 도덕성, 건설업의 장래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설 산업 이미지 주요 영향 요인으로는 임금, 경제성장 기여도, 타 산업의 파급효과, 환경파괴성, 부동산투기 여부, 건설 종사자의 신뢰성, 건설업체의 장래 성장성, 건설업의 장래 부가가치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슈&이슈(2) -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 출범 -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 공생발전 정착에 앞장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56호
    • /
    • pp.60-65
    • /
    • 2011
  • 건설산업의 선진화와 이미지 제고, 공생발전을 이끌어낼 핵심 허브로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가 출범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10월 18 권도엽 장관 주재로 제1차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를 열고 발주자의 우월적 지위 개선, 하도급대금 미지급 행위 근절, 건설근로자 고용여건 개선 등 다양한 과제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 PDF

공정의 선후행관계를 이용한 공종 이미지 분류 성능 향상 (Enhancing Work Trade Image Classification Performance Using a Work Dependency Graph)

  • 정상원;정기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06-115
    • /
    • 2021
  • 이미지를 이용해 공종을 분류하는 작업은 건설 관리와 공정 관리와 같은 더욱 복잡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공사 현장에서 수집한 이미지들은 항상 깨끗하지 않을 수 있고, 이와 같이 문제가 있는 이미지들은 이미지 분류기의 성능에 부정적인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공종을 판별하는 시스템을 보조할 수 있는 데이터나 방법의 필요성을 부각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공종의 선·후행 관계를 이용해 이미지 분류기를 보조하여 공종을 판별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시하는 방법이 공종 판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특히, 이미지 판별기의 성능이 좋지 않을때 더욱 드라마틱한 성능의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Unet-VGG16 모델을 활용한 순환골재 마이크로-CT 미세구조의 천연골재 분할 (Segmentation of Natural Fine Aggregates in Micro-CT Microstructures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Unet-VGG16)

  • 홍성욱;문덕기;김세윤;한동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43-149
    • /
    • 2024
  • 이미지 분석을 통한 재료의 상 구분은 재료의 미세구조 분석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미지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CT 이미지는 대체로 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상에 따라 회색조 값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미지의 회색조 값 비교를 통해 상을 구분한다. 순환골재의 고체상은 수화된 시멘트풀과 천연골재로 구분되는데, 시멘트풀과 천연골재는 CT이미지 상에서 유사한 회색조 분포를 보여 상을 구분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Unet-VGG16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순환골재 CT 이미지로부터 천연골재를 분할하는 자동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딥러닝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2차원 순환골재 CT 이미지로부터 천연골재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과 이를 3차원으로 적층하여 3차원 천연골재 이미지를 얻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별된 3차원 천연골재 이미지에서 각각의 골재 입자를 분할하기 위해 이미지 필터링을 사용하였다. 골재 영역 분할 성능을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 스코어를 통해 검증하였다.

건설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에러 제거 모델링 (Error Correc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Image Processing)

  • ;김창윤;김형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34-237
    • /
    • 2009
  • 많은 건설 현장에서 카메라와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장비를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작업이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토목 건축공사의 특성상 적절한 수준의 영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이미지 프로세싱기법을 사용 하여 자동화된 건설 관리의 수행 시, 영상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여 건설 관리자가 잘못된 정보를 얻게 될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케니엣지(Canny Edge) 인식기법과 워터쉐드(Watershed) 변환, 그리고 3D CAD Mask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기둥의 시공 상황 분석 기법에 근거하여, 영상 데이터 분석 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러 제거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실제 데이터와 비교를 통하여 그 활용 가능성 또한 검증한다.

  • PDF

건설 현장지식 수집을 위한 인터넷기반의 이미지관리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Image Management System for Collection of Construction Knowledge)

  • 진상윤;신태홍;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129-136
    • /
    • 2001
  • 정보화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으로 건설현장에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를 이용하여 현장상황 및 각종 공사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많은 관공서나 발주자들 역시 디지털이미지(digital image) 형태의 현장정보관리 및 제출을 수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수집되는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프로젝트 참여자사이에 효과적으로·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현장사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현장이미지정보를 공종, 위치, 날짜, 업체, 용도 등의 다양한 속성을 이용하여 저장/검색/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수정보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현장이미지의 효과적인 관리와 공유뿐만 아니라 정보축적과 재활용을 통한 기업의 지식기반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