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안전사고

Search Result 72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건설현장 안전교육 효율화 문제점 도출

  • 문종호;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35-441
    • /
    • 2000
  • 건설산업은 국가발전의 초기 단계에서 유통망의 확보 및 제조시설의 확보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 도로망의 정비가 일정수준이상 진행된 상태이며, 제조시설 역시 IMF이후 시설 투자가 감소하면서 건설경기가 침체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대규모의 건설현장은 감소하고 소규모의 도로망 확장공사 및 공동주택 재개발등이 건설경기의 맥을 겨우 잇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건설경기의 침체와 더불어 안전시설 투자와 안전관리의 공동화현상이 빚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시설투자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안전교육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고자 한다.(중략)

  • PDF

Construction Environment Safety System (건설 환경 안전시스템)

  • 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570-571
    • /
    • 2019
  • 우리나라의 건설연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율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며,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재해에 대한 예비연구가 필요하며, 건설현장의 다양한 사고유형 중 무너짐(붕괴/도괴)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사고원인에 대한 분석과 무너짐에 대한 사전 조짐을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비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은 현장의 특성상 사고가 발생하면 큰 사고로 이어지고, 2차사고까지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상태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관리 플랫폼 및 상태계측모듈을 연구개발하며, 건설현장 상태정보로부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예측할 수 있는 분석 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afety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Accidents (재해사례에 의한 건설현장 안전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Go Seong-Seok;Lee Han-min;S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201-207
    • /
    • 2001
  • Construction accidents are very serious comparing to its workers. These kind of accidents consist in the particularity of construction. The accident prevention task in construction requires both into immediate approach and longer range approach of instruction, training and education. Information concerning each individual accident, if the information of investigation has been done well, it provides information of prevention accident. At this point, this paper by examining 800 cases of serious accident research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rom Jan. 1992 to Dec. 2000 specifically targeting apartment and building construction develops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 to suggest the proper information of construction safety.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Insensitivity in Construction Workers (건설근로자가 갖는 안전불감증의 특성분석)

  • Kim, Seyeob;Cha, Suhyeon;Cha, Yongwoon;Han, Sangw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2
    • /
    • pp.88-96
    • /
    • 2021
  •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identify and eliminate the direct causes of the construction accident, but many accidents are still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main reason for the construction accident is not because of ignorance of the causes, but because of safety insensitivity. This paper analyzes why construction workers feel safety insensitivity and how safety insensitivity varies depending on their age and work experience. A survey of 103 construction workers confirmed that systematic safety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inimizing safety insensitivity of construction workers. On the other hand, economic reasons such as cost reduction were identified as the most tempting factor to increase safety insensitivity.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ose in their 40s and 50s, the largest proportion of construction worker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afety insensitivity than those in their 20s and 60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source that can be used to prevent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강수특성과 건설 산업 재해와의 연관성 분석)

  • Jeon, Ha-Cheol;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59-4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발생 특성과 강수특성 변화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기간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별 건설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발생 건수(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와 같은 시기 지역별 강수량 자료(기상청 지상관측지점)를 사용하여 강수량의 거동과 건설현장 사고발생 건수의 거동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사고사례의 사고형태 중 부상자와 사망자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구분은 특별시, 광역시 및 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의 증가 추세와 유사하게 전체 건설현장 안전사고의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지역별로 강수량의 증감 거동과 유사한 사고발생의 빈도의 증감거동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평균 월강수량과 월별 건설 안전사고 발생건수는 0.8의 선형상관성을 가지며 지역별 분석에서는 섬지역인 제주도가 가장 높은 상관계수 0.9를 나타냈고, 서울특별시 0.7, 대구광역시 0.7, 광주광역시 0.7, 부산광역시 0.5, 인천광역시 0.5, 대전광역시 0.4의 상관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강수변화에 따른 지역, 계절, 월별 강수-건설재해 상관성을 분석 제시하였다. 장마철인 7~8월에는 봄철인 3월~5월에 비해 강수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21.16%의 사고 발생건수 증가가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강수특성 중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의 영향이 많았던 시기의 사고발생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 발생 시 산업현장의 재해 발생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그 이유로는 산업현장에 태풍의 영향으로 감전사고 발생률이 2배가량 증가하며, 구조물과 사면이 무너져 내리는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재해발생률이 더 증가하였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특성 변화로 건설 산업현장은 사고의 위험에 더욱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역적 특성 분석과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 PDF

가스 시공자의 안전수칙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60-63
    • /
    • 2009
  • 안전, 또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때 우리나라는 '안전불감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안전에 대한 의식이 저조해서 사고가 많았다. 이에 따라 각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시키고 행동강령 주지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가스와 관련한 사고는 대형사고로 번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작업 시 더욱 주의를 필요로 한다. 본지는 가스시공 시의 일반적인 안전수칙과 탱크, 용기, 기계실, 고소작업, 용접작업 천공 분기작업, 도시가스 공급시설물 작업 시의 안전수칙에 대하여 게재한다.

  • PDF

New! 안전시설 & 보호구 - 추락시 생명을 지켜주는 생명줄 전용 철골 난간대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59
    • /
    • pp.24-25
    • /
    • 2011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10년 건설재해 발생현황'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건설업종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2009년(20,998명)보다 1,504명이 증가한 22,502명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수는 2009년(606명)과 비교해 32영 감소한 574명으로 조사됐다. 종합해보면 작년 한 해 동안 건설현장에서 매일 61명이 다치고, 이틀에 3명씩 사망한 셈이다. 이처럼 사고 발생률이 매우 높은 건설현장의 재해문제는 그동안 꾸준히 화두가 되어왔다 특히 건설현장의 사고 대부분은 대형사고로 직결 된다는데에서 볼 때 건설현장의 사고는 언제나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받아왔다. 그렇다면 건설현장에서의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할까. 단연 추락사고에 대한 예방이 가장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팔당대교 붕괴재해 원인분석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1 no.2
    • /
    • pp.61-93
    • /
    • 1991
  • 본 붕괴재해 원인진단 조사보고서는 유원건설(주)에서 본 협회에 의뢰한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에서 남양주군 와부읍 팔당리를 연결하는 팔당대교의 사장교구간 붕괴사고에 대한 것으로써, 사고원인 및 차후 공법에 대한 안전대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안전소식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16
    • /
    • pp.74-79
    • /
    • 1995
  • PDF

Development of Risk Assesment Index for Construction Safety Using Statistical Data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개발)

  • Park, Hwan-Pyo;Han, Jae-G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4
    • /
    • pp.361-371
    • /
    • 2019
  • In 2017, the ratio of the number of victims and death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the highest with 25.2% and 29.6%, respectively. Especially, as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continue to increase, the economic loss is greatly increased too.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work, the safety risk assessment index by type of construction was developed,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7 factors related to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were derived through survey and interview survey, and this study suggested 9 items(process, type of construction, progress rate, contract amount, number of floors, safety education, working days and weather) throughout the expert advisory meeting. Second, the risk assessment index for safety acci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atio and intensity of safety accidents. Third, to verify the risk assessment model, the construction safety risk assessment index by type of construction was derived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statistics of the construction accident. In addition, the risk strength was calculated by dividing human damage caused by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into those killed and injured. The risk assessment index based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afety accidents by type of construction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when assessing the risk of similar projec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