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신기술 개발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초

신재생에너지/(4)바이오에너지 - 기후변화 문제로 바이오에너지 중요성 부각

  • 이종수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24호
    • /
    • pp.64-72
    • /
    • 2009
  • 바이오에너지는 여러 가지 신재생에너지 자원 중에서도 자원의 잠재량이 많고 비교적 경제적이며 선진국에서는 활발희 개발 보급되고 있음에 비해 국내에서는 개발이용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그러나 최근의 고유가 문제, 기후변화 협약 의무이행 문제, 심각한 농 임산, 축산, 음식물쓰레기,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 처리 문제 등으로 국내에서도 바이오에너지 보급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기술은 유기성폐자원 분야, 목질계 바이오매스 분야, 수송용 분야로 구분되는 데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플랜트 건설이 필요하다. 설비건설업계가 앞으로 이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집단에너지 보급에 있어 바이오에너지 사용의 가능성에 대해 적극 검토하고 있는 등 앞으로 바이오 에너지의 활용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유기성페자원을 중심으로 바이오에너지의 기술 및 적용사례를 알아본다.

  • PDF

한국의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 해양매립기술

  • 김수삼
    • 과학과기술
    • /
    • 제33권3호통권370호
    • /
    • pp.15-17
    • /
    • 2000
  • 해양을 무대로 한 육지공간의 창출은 21세기 들어 더욱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이미 신오사카 국제공항이 완전한 인공섬에 건설되었고 우리나라도 인천국제공항이 기존 영종도 인근을 매립한 인공섬에 건설중이다.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해양매립 공간 창출은 시급한 과제이지만 국내 기술수준은 아직 열악한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기술도 해양연구소, 각 대학 연구소 및 현대ㆍ대우ㆍ삼성중공업 등 민간기업 연구소에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머지않아 국제수준의 기술확보에 기대를 걸고 있다.

  • PDF

154KV 6회선 교차철탑의 건설

  • 이오영;김기택
    • 전기의세계
    • /
    • 제20권1호
    • /
    • pp.36-40
    • /
    • 1971
  •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민간자본의 전원개발사업에의 참여를 적극권장하는 정부시책에 호응하여 동해전력에서는 경남 울산시 근교에 시설용량 220MW*3=660MW의 신설 기력발전소를 건설하였고 본 발전소에서의 출력을 전력 계통에 병입시키기 위하여 동해 p/p와 한전의 신울산 s/s간 장장 8.7km에 달하는 송전선을 건설하게 된 것이다. 본문에서는 설계도서의 승인과정에서 논의되었던 기술상의 문제점과 서독 Siemens 및 국내최고기술진간에 협조로 이루어진 설게면경사유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erro Deck를 사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균열의 원인 및 대책

  • 김광일;은충기;채원규;이명구;손영현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42-45
    • /
    • 2001
  • 최근 기능 및 기술인력의 부족과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에 능동적인 대처, 건설공사의 품질향상, 공기단축 등을 위하여 각종 건설공사 부분에서 합리화, 기계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신기술 혹은 신공법에 대한 건설기술자의 미숙지, 부적절한 시공, 무리한 적용 등의 다양한 원인이 결부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서 균열발생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중략)

  • PDF

풍력발전이 SMP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Wind Power Generation on SMP)

  • 류승현;엄신영;김수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8-211
    • /
    • 2009
  •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08-2022)과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계획에 의거하여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해 우선 구매되는 풍력발전이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08-2022)에서 향후의 전원설비건설계획과 전력수요를 참고하고,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계획에 의거, 풍력발전보급계획을 반영하였다. 발전변동비의 변화는 미래의 화석연료변동에 따를 것으로 보아 명목상승률 3%, 6%, 그리고 8%의 경우를 검토하였다. 현재는 풍력발전용량이 전체발전용량에 비해 미미해서 SMP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지 못하고 있지만 2014년에는 SMP가 결정되는 구간이 LNG발전기에서 유연탄발전기로 옮겨감에 따라 SMP차이가 최대 20.02[\/KWh](발전 비용 명목 상승률8%)에 달하다가 2020년에는 다시 0[\/KWh](발전비용 명목상승률8%)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지열발전을 위한 지열정 굴착기법과 환경영향 (Drilling Techniques for Geothermal Well and Environmental Impacts)

  • 정재형
    • 신재생에너지
    • /
    • 제3권4호
    • /
    • pp.16-21
    • /
    • 2007
  • 국토가 좁고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전기생산의 대부분을 원자력 발전에 의존하고, 화력발전을 많이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각종 신기술의 개발과 함께 신에너지원에 대한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투자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신에너지원으로 거론되는 여러 가지 대안 가운데 비교적 국내기술로 접근하기 쉬운 부분이 지열을 활용한 분야이다.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와 같은 화산국은 물론이고 우리나라와 같이 활화산이 없는 나라에서도 대심도에서는 지열자원이 고르게 분포해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개발된 지열활용기술은 그 수요처가 상당히 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열활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지열정 굴착기법과 건설에 따라 우려되는 환경영향을 정리하였다. 지열활용에 사용되는 지열정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굴착기술을 소개하였으며, 저비용 고효율 굴착을 위한 요소기술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국외의 자료를 통하여 지열발전 프로젝트에서 우려되는 환경영향을 조사하여 국내의 상황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 PDF

지열정 굴착기법과 환경영향 (Drilling Techniques for Geothermal Well and Environmental Impacts)

  • 정재형;장용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3-537
    • /
    • 2007
  • 국토가 좁고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라나라에서 전기생산의 대부분을 원자력 발전에 의존하고, 화력발전을 많이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각종 신기술의 개발과 함께 신에너지원에 대한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투자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신에너지원으로 거론되는 여러 가지 대안 가운데 비교적 국내기술로 접근하기 쉬운 부분이 지열을 활용한 분야이다.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와 같은 화산국은 물론이고 우리나라와 같이 활화산이 없는 나라에서도 대심도에서는 지열자원이 고르게 분포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개발된 지열활용기술은 그 수요처가 상당히 넓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열활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지열정 굴착기법과 건설에 따라 우려되는 환경영향을 정리하였다. 지열활용에 사용되는 지열정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굴착기술을 소개하였으며, 저비용 고효율 굴착을 위한 요소기술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국외의 자료를 통하여 지열발전 프로젝트에서 우려되는 환경영향을 조사하여 국내의 상황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 PDF

풍력자원 정밀조사 및 풍력단지 개발 기술 증진연구 (Precise Investigation on Domestic Wind Resources and Research on the Enhancement for the Windfarm Development Technology in KOREA)

  • 김건훈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505-518
    • /
    • 2005
  • 풍력발전기술은 전적으로 바람의 세기에 의존하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바람의 강도가 발전전력의 양과 풍력시스템의 효용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사업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풍력자원의 조사는 풍력발전기술의 적용에 앞서 최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본 연구사업의 중요성이라 할 수 있다. 풍력자원에 대한 실측자료로서 풍력자원 특성의 분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용량 및 수량과 적용방안 및 최종적으로 정량적인 의미에서의 경제성 분석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의 본격적인 풍력발전기술의 적용에 앞서 기존 기상청의 풍력자료와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선정된 후보지점을 중심으로 도상검토 및 실사를 통해 1차년도에 9군데, 2차년도에 6군데 총 15개 지점에 대한 실측지점을 선정하여 실측기기의 설치와 풍력자료의 분석으로서 정밀한 풍력자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본격적인 풍력발전 단지 건설 사업추진에 대비하고자 수행된 연구사업이며, 아울러 개괄적인 국내 풍력자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광역 풍력자원 분포도를 개발하였다.

  • PDF

건설자동화 연구개발을 위한 웹기반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Web-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Automation)

  • 원영호;김현철;오세욱;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545-550
    • /
    • 2001
  • 국내 건설산업은 경기 침체로 인한 수주 경쟁의 심화, 열악한 작업환경과 숙련공의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저하, 다양한 고객의 요구 등의 문제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신기술· 신공법 개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공기단축, 원가절감, 품질 향상 등과 관련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선진 외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80년대 초반부터 건설자동화에 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최근 건설 자동화에 대한 관심은 증대하고 있으나 자동화 기술개발을 위한 관련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연구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접근방법을 수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 건설자동화 연구개발의 기반 조성을 위해 기존의 건설자동화 연구개발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 분석하여 웹 기반 검색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건설자동화 관련 연구를 수행하거나 기술개발에 관심이 있는 연구개발 주체들은 건설자동화 연구대상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의 신기술 인증제도 비교 (Comparison on the Korea New Technology Certification System)

  • 송학현;최세하;김하식;김윤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1363-1368
    • /
    • 2003
  • 정부의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 중에는 신기술 인증에 관한 제도가 있다. 우리나라 기업이 개발한 신기술을 조기에 발굴하여 우수성을 인정해 줌으로써 국산신기술의 기업화를 촉진하고, 그 기술을 이용한 제품의 신뢰성제고와 초기시장진출의 기반조성을 목적으로 각종 신기술 인증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신기술 인증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정부 부처는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환경부 등 5개 부처로 동 정부부처들의 인증사업은 인증목적이나 인증신청자격이 유사한데 비해서 지정기준, 권리의 양도 양수 등에서 차이가 있고 기술의 특성에 따라 심의위원회의 운영 둥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부처별 신기술 인증사업을 비교 분석하고 바람직한 개선내용을 제안함으로서 국가신기술 인증제도의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