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신기술 개발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numerical study on feasibility of the circled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panel for a tunnel lining structure (터널 라이닝 구조체로서 곡면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 Lee, Gyu-Phil;Shin, Hyu-So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2 no.6
    • /
    • pp.451-461
    • /
    • 2010
  • Utilization of the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material has been enlarged as a substitution material to the general construction materials having certain long-term problems such as corrosion, etc. However, it could be difficult to apply the FRP material, which has a linear shape generally, to an arch-shaped tunnel structure. Therefore,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study to develop a device to form a designed cross section of FRP material by pulling out with a curvature. A sample of the circled FRP product was successfully produced and then the sample has been tested to identify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Then, intensive feasibility studies on the circled FRP panel to be used for a tunnel lining structure have been carried out by numerical analyses.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 new circled FRP-concrete composite panel has a high capability to be used for a tunnel lining material without any structural problem.

Variations of Building Methods and Costs of Modernized Hanok Test-bed Projects (실증구축을 통한 신한옥의 신공법 및 공사비 변화 요인 도출)

  • Seo, Nuri;Kang, Seunghee;Lee, Yunsub;Jin, Zhenhui;Jeong, Yeheun;Jung, Young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3
    • /
    • pp.86-96
    • /
    • 2019
  • The research efforts to modernize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ing) have been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cost-effectiveness through application of modern building methods and materials, and to disseminate it in various forms of sizes and facilit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tions of modernized Hanok, data from seven test-bed projects are analyzed based on the building work-section, element, method, and material. The data were standardized and managed through the modernized Hanok classification system (Hanclass) to facilitate systematic comparisons of the test-bed projects by the variation of building method and it's cost impact. Identified factors of the variation in terms of building methods were then itemized and quantified in terms of building cost.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imber structure is the most critical area for future vari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cost-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lso used to systemize the Hanok database for further studies.

농어촌연구원 국제융합수리시험센터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HIGH Center ACE+) 체험후기

  • 천재연
    • Water for future
    • /
    • v.56 no.9
    • /
    • pp.47-51
    • /
    • 2023
  • 2023년 1학기(2023년 3월 2일~2023년 6월 20일) 동안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국제융합수리시험센터(안산)에서 현장실습을 한것을 바탕으로 후기를 작성하였다. 현재 농어촌연구원은 농어촌 지역개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 농업 신기술 교육, 스마트팜 기술 보급, 친환경 농업, 남북협력 사업 등 농어업인의 환경 개선과 올바른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공공기관이다. 이번 현장실습을 경험한 국제융합수리시험센터는 1959년에 국내 최초로 수리모형실험을 시작하였으며, 2018년 대형 실험시설이 추가 증축되어 규모나 시설(장비) 측면에서 국내는 물론 세계 최상위 수준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댐, 하천, 해양, 신재생에너지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실험 실적 보유하고 있어 수 공학 분야의 국가경쟁력 강화에 견인하고 있다. 이번 현장실습은 수리실험 이론 교육, 실험장비 교육, 실험실습, 안전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프로그램(HIGH Center ACE+)에 따른 학교에서 배운 전공 이론을 수리실험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직접 실습하면서 배울 수 있었다. 4개월간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수리실험 등 수공학 분야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이는 향후 전공과 관련된 직장을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rategy for Developing New Road Projects (경관도로 등 신개념의 도로사업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Eung-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2 s.32
    • /
    • pp.115-127
    • /
    • 2007
  • Developed countries, especially in roa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ields, introduce new road porjects such as National Scenic Byways Program(NSBP program) in USA and the Eco-road project in Japan. This study develops a conceptual model for deploying new road projects in Korea. The four step approach is suggested to create new road projects, including foundation of an act based on the existing Road Act, creation of new road project ideas, development of evaluation process and guidelines, and enhancement of an administrative scheme. To create new road projects, three different ways are devised; (1) designation of national roads having uniqueness in overall spectrum, (2) designation of roads having intrinsic values in a different aspect, (3) designation of single structures of engineering outcomes such as bridges, tunnels, new design techniques, considerable Value Engineering output, and well analyzed Life Cycle Cost Analysis practices. For the evaluation process, NSBP program of USA and/or Sustainable City Award program of Korea would be recommended. An administrative scheme and integrated funding process for the new road projects are also suggested based on evaluation of tasks of each team or division of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 PDF

Evaluation of Standard Uncertainty for Velocity Coefficient in Discharge Measurement using Floats (부자를 이용한 유량측정법의 유속계수 표준 불확도 평가)

  • Ahn, Myeong Hui;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2-72
    • /
    • 2017
  • 하천의 유량 측정 자료는 수자원 개발 및 하천 방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며 정확한 유량 측정자료를 얻기 위해 많은 수자원 전문가들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하천 유량측정 기술들이 선진화되고 있으며 유량 측정 성과의 양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유량 측정 결과에 대한 질적 평가 즉, 측정 불확도 평가에 대한 기준이 미흡하기 때문에 유량 측정 성과의 신뢰도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홍수 시 하천 유량측정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자법의 경우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방법이 ISO 748:2007 지침에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ISO 748:2007 지침에서는 측선 수에 대한 불확도, 하폭 측정의 불확도, 수심 측정의 불확도 그리고 부자 유속계수, 유하경로 이탈, 유하시간 측정 등으로 발생하는 평균유속 측정 불확도를 고려하여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불확도를 평가한다. 하지만, 부자유속계수의 불확도, 유하경로 이탈에 따른 불확도, 유하시간 측정의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정량적인 불확도에 대한 기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는 이와 같은 불확도 인자들의 표준불확도를 무시하고 유량 측정 불확도를 제시하고 있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유량 측정 불확도 보다 작게 제시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시 평균유속 불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기여도가 크다고 판단되는 부자 유속계수에 대한 표준불확도를 실규모 실험을 통해 산정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를 위한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Work Process Analysis of the High-performed Precast Concrete Columns using Simulation Technology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고성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작업프로세스 분석)

  • Shin, Young-Su;Cho, Kyuman;Cho, Chang-Ge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4
    • /
    • pp.49-57
    • /
    • 2014
  • Since the structure systems of 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forced to be large, high-rised, and complex, many researchers have been put their efforts to develop high strength concrete incorporating diverse advanced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ncrete, the fibers leading high ductility to concrete have been used, consequently concrete columns adopting High-Performance Fiber Cement(HPFC) have been developed. This paper analyzed not only the construction work process of HPFC column installed to the real construction project, but also construction productivity of the columns by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technique. As a result, several considerations on installing such a column have identified, compared with the works for typical concrete columns. In particular, there was specific characteristic to install the columns in terms of labor resource productivity, which is not shown with the work for the typical concrete column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Low-noise and Safe Dismantling Method for Full-Span Aluminum Slab Formwork Supported by Filler Supports (필러겸용 스포터로 지지되는 전구간 알루미늄 슬래브 거푸집의 저소음 안전낙하 공법개발 및 적용연구)

  • 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4 no.2
    • /
    • pp.261-271
    • /
    • 2024
  • The widespread adoption of aluminum slab formwork in modern construction, evident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jects, offers numerous advantages. However, a critical challenge persists regarding the dismantling process for these slabs. The current industry standard involves dropping the slabs to the ground floor upon removal. This practice raises several concerns, notably the generation of significant noise pollution that disrupts nearby communities. More importantly, the risk of worker injuries due to falls from height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is a serious safety hazard. Additionally, the impact from dropping the slabs can damage the aluminum itself, leading to increased replacement costs. These drawbacks necessitate the exploration of alternative dismantling techniques that prioritize worker safety, material sustainability, and overall process efficiency. Accordingly, in this study, when the entire first-generation slab formwork of an apartment house is simultaneously lowered to a reachable position for workers, it is then disassembled and lifted for transport to the next floor. This approach has the potential to demonstrate improvements in safety, quality, economy, and process efficiency.

Solar Remodeling Techniques for building renovation market (기존 건물 리모델링 시장을 위한 태양에너지 응용 기술; 솔라 리모델링)

  • Yoon, Jong-Ho
    • Korean Architects
    • /
    • s.476
    • /
    • pp.71-82
    • /
    • 2008
  • 1970년 초에 배럴당 1불하던 원유가가 지금은 120불을 상회하고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3년 전만 하더라도 40불 이하 수준이던 것이 불과 몇 년 사이에 3배 이상 급등해 버린 것이다. 우리는 아직 유가 100불 이상의 고유가 시대에 대한 고통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빠른 시일 안에 대항한 형태로 우리를 불편하게 하고, 더가서는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우리의 활동패턴에 근본적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데는 어느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할 것이다. 한편 90년대만 하더라도 친환경 건축기술은 선택적 사양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일부 고급건물 또는 데모성격의 건물에만 반영되던 미래의 기술 분야로 간주되어왔다. 하지만 10년 남짓 지난 지금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용어 중의 하나가 친환경, 지속가능, 그린, 에코 등 이며, 최근 많은 건설사가 고민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슈가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이 되어버렸다. 최근 유가의 급등세 보다는 더디다 할 지라도 몇 년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제도적, 사회 경제적 변화 동향을 돌이켜 볼 때 건축계 또한 매우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으며, 부지불시간에 유가등급과 같이 변화된 환경에 놀라는 시기가 곧 도래할 것이다. 오랜 기간 에너지 및 친환경 관련 요소기술의 개발, 정부의 지원제도 확대, 보급 강화 등 각종 노력을 통해 이제는 건축 설계분야에서도 친환경건축물에 대한 저변이 크게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상 우리주변에서 제대로된 친환경 건축물을 실제로 보고자 한다면 두손으로 꼽기도 힘들 정도인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번 연재에서는 그동안 오랜기간 떠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대로된 친환경 건축물을 우리 주변에서 찾기 힘든 이유를 건축실무자 측면에서 재고해 보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 특히 많은 친환경 건축기술 중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장 큰 이슈가 되어 있고, 또한 건축사 입장에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기술분야인 신재생에너지 건축응용 측면에서 다양한 최신 기술 및 실질적 접근방법과 사례를 주제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olar Remodeling Techniques for building renovation market (기존건물 리모델링 시장을 위한 태양에너지 응용 기술; 솔라 리모델링)

  • Yoon, Jong-Ho
    • Korean Architects
    • /
    • s.477
    • /
    • pp.71-78
    • /
    • 2009
  • 1970년 초에 배럴당 1불하던 원유가가 지금은 120불을 상회하고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3년 전만 하더라도 40불 이하 수준이던 것이 불과 몇 년 사이에 3배 이상 급등해 버린 것이다. 우리는 아직 유가 100불 이상의 고유가 시대에 대한 고통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빠른 시일 안에 대항한 형태로 우리를 불편하게 하고, 더가서는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우리의 활동패턴에 근본적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데는 어느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할 것이다. 한편 90년대만 하더라도 친환경 건축기술은 선택적 사양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일부 고급건물 또는 데모성격의 건물에만 반영되던 미래의 기술 분야로 간주되어왔다. 하지만 10년 남짓 지난 지금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용어 중의 하나가 친환경, 지속가능, 그린, 에코 등 이며, 최근 많은 건설사가 고민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슈가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이 되어버렸다. 최근 유가의 급등세 보다는 더디다 할 지라도 몇 년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제도적, 사회 경제적 변화 동향을 돌이켜 볼 때 건축계 또한 매우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으며, 부지불시간에 유가등급과 같이 변화된 환경에 놀라는 시기가 곧 도래할 것이다. 오랜 기간 에너지 및 친환경 관련 요소기술의 개발, 정부의 지원제도 확대, 보급 강화 등 각종 노력을 통해 이제는 건축 설계분야에서도 친환경건축물에 대한 저변이 크게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상 우리주변에서 제대로된 친환경 건축물을 실제로 보고자 한다면 두손으로 꼽기도 힘들 정도인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번 연재에서는 그동안 오랜기간 떠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대로된 친환경 건축물을 우리 주변에서 찾기 힘든 이유를 건축실무자 측면에서 재고해 보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 특히 많은 친환경 건축기술 중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가장 큰 이슈가 되어 있고, 또한 건축사 입장에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기술분야인 신재생에너지 건축응용 측면에서 다양한 최신 기술 및 실질적 접근방법과 사례를 주제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eservoir Type Infiltration System to Disaster Reduction (재해저감을 위한 저류형 침투시스템 개발)

  • Koh, Byoung Ryoun;Oh, Young Hoon;Kim, Seung Bum;Hyun, Ah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1-91
    • /
    • 2019
  • 아열대 해양성 기후로 변화하고 있는 다우지역인 제주도는 각종개발 등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층 증가가 급증하고 있으며 기후 변동에 의한 강우량은 더욱 늘어 홍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 Low Impact Development)을 통한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지하수 보호 및 확보와 동시에 재해 저감을 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설치된 재해저감방식 중 침투트렌치에 의한 침투방식은 제주도의 보전자원인 화산석인 현무암을 주 재료로 하고 있어 2차환경 파괴를 야기 시키고 있지만 암을 보전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신재료와 신기술 관련 침투방식의 성능 극대화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며, 지하수를 주 수원으로 하고 있는 제주도에서 초기 강우 배제 없이 침투시킬 경우 지하수 오염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수의 제주형 인공함양정과 재해영향평가 지침에서 제시한 암을 충진하는 정형화된 침투식 방법을 개선하여 초기 강우의 수질오염을 억제하면서 지하수 인공함양과 재해저감을 위해 침투와 저류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신기술을 상용화와 침투형 저류지의 설치 초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부지확보에 따른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 할 수 있는 침투트렌치 형식의 침투저류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용화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인 경우 일시적 높은 첨두유량으로 인해 지표유실 및 침수범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도시화에 따른 포장면적 증가로 지표수 유실이 증대 되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저감하기 위한 첨두유량의 해결방안으로 저류용 침투저류조 내 유입수의 신속한 침투기능과 지하수 함양 증대에 기여 등 제주형 집중호우 대비 침투저류조 설치에 따른 효과 및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