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신기술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특집 -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 에너지 사용량 실시간 모니터링!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8
    • /
    • pp.47-56
    • /
    • 2010
  • 이제 가정에서도 에너지 사용량과 예상 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이 전지구적 과제로 등장한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그린에너지 산업 혁신이 국내외적으로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및 탄소저감기술을 이용한 많은 신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에너지 소비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게 해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EMS기술도 그 중 하나이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삼성건설 등은 올해부터 신축중인 아파트를 중심으로 각 세대에 EMS(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를 설치하겠다고 밝혀, 앞으로 아파트뿐 아니라 일반 단독주택에도 이와 같은 시스템이 확대 보급될 전망이다.

  • PDF

건설안전리포트-신일종합건설(주) 경주승마리조트 신축공사 현장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23
    • /
    • pp.11-13
    • /
    • 2008
  • 찬란한 신라문화가 꽃핀 곳, 경주에서 새로운 관광 트랜로 떠들썩한 곳이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시절부터 계획된 "경주승마리조트"가 바로 그 장본인이다. 경주 보문단지 내에 위치한 이곳은 관광객의 오감을 즐길 수 있는 각종 체험 관광문화로 급부상하며, 관광객에서부터 공연을 하기 위한 단체에 이르기까지 이곳에 대한 관심으로 문의전화가 끊이지 않는다. 이러한 세간의 관심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중소현장이지만 더 안전해야 한다"는 조정길 현장소장이 총 지휘하며 무재해 준공을 향해 한발 한발 다가서는 현장, 바로 신일종합건설주식회사에서 시공이 한창인 경주승마리조트 신축공사 현장을 찾았다.

  • PDF

한국최초의 초고압변전소 설계

  • 송성현
    • 전기의세계
    • /
    • v.25 no.6
    • /
    • pp.14-18
    • /
    • 1976
  • 한국에 있어서의 초고압송전기술의 개발은 지난 6년동안 중요한 전진을 성취하였다. 한전은 초고압송변전설비의 건설을 추진하여 최초의 345kV 송변전설비의 건설공사를 완료하고 지난 10월 20일 역사적인 운전개시를 함으로써 한국에 초고압송전시대를 도래케 하였다. 이제 345kV 변전소의 설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소개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본고에서는 345kV 신옥천변전소의 설계를 중심으로하여 연결되는 송전계통, 변전소설계기준 및 변전소배치 등을 간추려보고자 한다. 사진1은 제1단계건설이 완료되어 운전을 개시한 345kV 신옥천 변전소의 전경이다.

  • PDF

전력기술.정보 -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구성요소와 신재생에너지원의 연계운전 알고리즘 체계

  • Hwang, U-Hyeon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37
    • /
    • pp.21-24
    • /
    • 2010
  • 경제발달로 산업화가 가속화 되면서 대규모 공업단지나 빌딩의 증가로 전력수요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하게 되었다. 화력발전은 건설기간이 원자력이나 수력에 비해 짧고 운영이 용이한 반면 이산화탄소 배출이 훨씬 많아 지구온난화와 환경문제의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발전은 입지조건상 바닷가부근에서 생산하여 송전선로를 통해 공급하므로 송배전 전력손실이 높아진다. 따라서 화력발전의 비율을 줄이고 전력망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원과의 연계운전이 중요하다. 이렇게 다양한 전력공급원과 소비의 최적 운전을 위해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구성과 운영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구성요소와 신재생에너지원과의 연계운전에 필요한 알고리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Field Utiliza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 (건설신기술의 현장활용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 Park, Hwan-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81-182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sit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83.6% of the new technologies developed by SMEs(joint development by large enterprises) account for the majority. Second, new construction technology is mainly applied to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but it is mainly applied to four major types of work(waterproofing, soil and foundation, reinforced concrete, bridge). Third, the number of on-site applications with a construction value of less than 500 million accounted for 89.5% of the total, which indicates that new construction techniques are main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 PDF

A study on the change and cause of the channel in the midstream of singwang river and naeng river in pohang - Comparing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yphoon hinnamnor with the past - (포항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 - 과거 및 태풍 힌남노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 Seonggi An;Chanjoo Lee;Woo-Chul Kang;Jongmin Kim;Gyeonghyeon Min;Byungsu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1-61
    • /
    • 2023
  •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호우 시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중소하천의 확폭(Widening) 및 하안침식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홍수 피해 관점으로만 분석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수리학적, 지형학적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82-2022년의 지도 및 항공사진, 정사영상 등을 분석하여 포항시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를 살펴보고,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의 내습 시 발생한 홍수로 인해 초래된 하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광천 항사리 지점의 경우, 하천 우안에 제방이 축조되지 않았던 1982년에는 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었으나, 1992년 제방 축조 이후 우안 충적지가 하도에서 분리되며 하폭이 감소하였다. 2011년의 하도는 대부분의 면적이 식생으로 덮여 하천의 흐름이 잘 관찰되지 않으나, 2021년에 식생 제거로 하도가 식별되지만 하폭은 과거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태풍 힌남노 내습 시 포항시의 6시간 누적 강우량은 315.3 mm 로 1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확폭이 발생하였다. 단면에서 보면 좌안 활주사면은 5 m 가량의 퇴적고를 보였고, 우안 공격사면은 평균 23.3 m 측방으로 침식되었다. 그 결과 1982년 하폭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문덕리 지점(공장지대)과 냉천 용산리(아파트)의 경우에도 각각 평균 14 m, 18 m 의 하안침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30여 년 전 축조된 기존 제방이 유실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홍수로 인해 과거의 하폭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22년 홍수에 의한 하도 변화와 같은 지형학적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안정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설계 시 과거 지도상의 하도 범위 및 기왕홍수로 인한 하안선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초대석 김선배 ICA 원장

  • Gwon, Gyeong-Hui
    • Digital Contents
    • /
    • no.7 s.146
    • /
    • pp.14-15
    • /
    • 2005
  • 김선배 전 현대정보기술 대표이사가 지난달 1일자로 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ICA) 제2대 원장에 취임했다. 김 신임 원장은“앞으로 ICA가 정보통신분야의 국제협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신임 원장은 금융ㆍ건설ㆍ정보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왔고 현대정보기술 대표이사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등을 역임했다.

  • PDF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Recycled Aggregate Concrete Using Multiple Rotation Roller and a Complex Trituration System with Convex Liner(New Excellent Technology No. 366, Environmental Technology Verification No. 153) (다중회전체와 요철형라이너가 장착된 복합마쇄장치를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기술(환경신기술 인증 366, 검증15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