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산업재해

Search Result 41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Unsafe Behavior of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대한 연구)

  • Park, Bo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7-218
    • /
    • 2023
  • 최근 건설현장의 사고사망만인율을 줄이기 위해 범 국가적인 차원에서 법,제도 등을 마련하여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편,중대재해처벌법 제정,사업장 위험성평가 개정 등으로 법을 정비하고,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통하여 사업장의 전반적인 안전관리 가이드에 대해 제시하고 26년까지 OECD국가 기준 사망만인율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가설재해예방과 업계 발전을 위한 각계 의견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22
    • /
    • pp.52-61
    • /
    • 1996
  • 다음은 지난해 12월 12일 국제빌딩 회의장에서 노동부 주최, 한국산업안전공단ㆍ한국건설가설협회 주관으로 열린 <가설재해예방과 업계 방전을 위한 세미나> 중 발표된 내용으로서 각계 - 정부측(노동부), 학계, 가설재 제조업계, 가설재 임대업계, 사용자인 건설업계 - 의 의견을 발췌한 것이다.

  • PDF

음양오행체질론의 산업안전 및 재해예방에 대한 응용

  • 장동순;신나일;윤장근;박평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333-338
    • /
    • 1998
  • 건설현장을 비롯한 전산업분야에서 추락, 폭발, 화재, 감전, 독성물질 중독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것은 물질적, 인적, 자원손실 뿐만 아니라 각종 노사분규나 작업효율의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산업재해 예방에 대한 연구로서 건설업을 중심으로 중대 재해 사례연구(1), 안전관리 비용 절감(2), 그리고 건축현장 사고의 Human Factor(3)등에 대한 연구보고가 제시되고 있다. (중략)

  • PDF

안전캠페인(2): 안전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8
    • /
    • pp.78-79
    • /
    • 2011
  • 지난 2009년도 산업재해로 인한 인명 손실은 18,905건이었고 554명이 사망했다. 또한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이 17조 3천억원에 달할 정도로 막대해 큰 주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사업주는 재해를 보험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으나 인명·경제적 손실은 사회 전체적으로 큰 부담이다. 사업주는 작업 전 붕괴위험 및 낙하위험 여부를 꼼꼼히 점검해야 하며 근로자는 사업주가 행한 안전상 보건상의 조치 준수는 물론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사소한 위험요소도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 본지는 산업현장 안전에 도움이 되도록 현장의 사고위험 유형과 위험요인을 연재한다.

  • PDF

FTA 건설작업 적용 결과

  • 김시억;이영순;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85-292
    • /
    • 2002
  • 일선 현장에서 아직도 재해의 주 요인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임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대부분 안전교육 측면에서 찾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재해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더 늘어나는 추세에 있어 새로운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어진다. 또한 지금의 동종재해나 유사재해를 예방하는 측면에서 실시하는 재해분석방법은 일반적이고 형식적인 면에 치우치고 있어, 실제적으로 재해예방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비록 늦었지만 건설업에 현장실정에 맞는 새로운 재해분석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중략)

  • PDF

Preventiv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Expense Estimation Method based on Fatality Statistics and Progress Model (중대재해발생률 및 진도관리모델을 고려한 공사진척도별 적정 안전보건관리비 산정기법)

  • Yi, Kyoo-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7 no.2
    • /
    • pp.191-197
    • /
    • 2017
  • The safety na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differs from that of manufacturing sector. For instance, accident risk level dramatically varies at each phase of construction process. Korean Occupational and Health Safety Act has been regulated OHS expense and it contributed reducing accident risk and enhancing safety culture for many years. However, although current regulation guides to use OHS expense proportionate to construction progress, it still allows late use of the expen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methods of estimating a step-by-step OHS expense rate required at each construction phase. In order to do provide proper OHS expense schedule, it analysed accident risk of each construction phase by sorting out 1439 cases of construction site fatality reports, and proposed a method of generating appropriate OHS expense scheme according to its construction work progress characteristics. Both linear and sigmoidal S-curve model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latter generally requires earlier use of OHS expense. By comparing the estimated OHS expense use schedule with current criteria, more than 27%p early use of OHS expense is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

V+법률 업무상 산업재해 인정범위 - 업무상 산업재해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나?

  • Hwang, Seon-Ik
    • Venture DIGEST
    • /
    • no.2 s.127
    • /
    • pp.58-59
    • /
    • 2009
  • 산업재해라고 하면 으레 육중한 기계장비가 시끄럽게 돌아가는 공장이나 위험이 항상 도사리는 건설공사현장과 같이 육체노동을 주로 요하는 사업장엣 일어나는 사고를 떠올리곤 한다. 그러나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오히려 업무와 관련한 스트레스나 과로, 정신적 노동으로 인한 질병 등에 의한 산업재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법원 역시 근로자인 원고 측에서 인관관계를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입증하지 못하더라도 어느 정보 개연성이 인정된다면 산업재해를 인정해 주는 추세에 있다. 근로자에게 예상치 못한 재해가 발생하면 피해자 개인에게도 매우 불행하고 힘든 일이지만, 회사 입장에서도 금전적 측면에서나 대외적 이미지 면에서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에게 신속하게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업주(기업가)에게는 갑작스러운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산재보험제도가 도입된 것이다.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하다 재해를 입은 직원의 조속한 업무복귀를 도모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다 하기 위해서라도 기업을 경영하는 사업주 역시 산업재해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 PDF

사망재해를 통한 아파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종 재해예방 투자에 관한 연구

  • 김시억;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05-410
    • /
    • 2000
  • 면적 99,268.38$km^2$속에 4,700만명 인구가 살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의 주거 형태는 점점 고층화, 대형화 될 수밖에 없는 실상이다. 여기에 건설공사 역시 위험이 검증되지 않은 신기술 형태가 가미되고,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유형 역시 노령화되어 건설공사 현장 재해는 날로 증가 되고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기도 하다.(중략)

  • PDF

Research of Actual Condition and Mitigation Plan for aging Workers' Health and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 장년 근로자의 안전보건 실태조사 및 재해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Panki;Bang, Seongdeok;Kim, Kyeongseok;Kim, Hyoungkw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1
    • /
    • pp.37-47
    • /
    • 2017
  •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over 50 years old in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increased from 29.2% in 2010 to 34.8% in 2015.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construction workers over 50 years old compared to the total construction workers increased from 20.1% in 2010 to 27.0% in 2015. In this aging societ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faithfully carried out the business objectives and budget execution of measures to prevent disasters against elderly workers, but there was a limit to the fundamental prevention of disasters. Because the counter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construction disaster are considered on all ages rather than elderly work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afety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and suggests the plans to reduce disaster. In particular, to reduce disasters of rapidly growing elderly workers, the authors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 and safety regulations, statistics on the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statistics on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applied to 3,549 workers who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construction activities. The authors surveyed the actual situation of safety and health, presented the comprehensive disaster reduction measure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If the countermeasure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reflected in the actual policy, it is expected that the countermeasures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disaster of the elderly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ccident Type and Age of Construction Workers (건설업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재해 발생형태별 상관관계 분석)

  • Lim, Jonglok;Cho, Sunyoung;Yun, Sungm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3
    • /
    • pp.371-380
    • /
    • 2023
  • Currently, as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the hazard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contrary to other industries. This can be seen as an indication that the safety technology and 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worker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roved construction technology.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manpower, most accidents appear in conventional forms such as fall and trip due to human errors. Therefor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and accidents and establishing detailed safety plans is an essential part of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In this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62,805 cases of construction accident cases over 3 year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 occurrence focusing on the age of work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worker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accidents for each accident type was derived, focusing on the top 10 accident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