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기술정보시스템

검색결과 650건 처리시간 0.039초

범정부 EA에 기반한 인프라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의 업무참조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usiness Reference Models for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overnment Enterprise Architecture)

  • 나혜숙;최원식;정성윤;오승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73-1374
    • /
    • 2012
  •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기존의 대응적 유지보수 개념의 시설물유지관리체계에서 예방적 유지보수 개념으로 전환한 시설물 유지보수의 새로운 개념이다.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공공시설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산관리 모형이 표준화되어 범정부EA 지원시스템에 목표아키텍처로 등록되고 더 나아가서는 범정부 표준시스템으로 만들어 필요한 기관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시설 자산관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참조모델을 시스템의 상호운영성과 정보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용이하도록 범정부EA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제시한 자산관리 참조모델이 GEAP에 등록 관리 된다면 이것을 바탕으로 타 기관에서 향후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 사전에 파악하고 활용하도록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SWOT분석을 통한 건설사업관리시스템 개발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Using SWOT Analysis)

  • 김성진;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86-93
    • /
    • 2016
  • IoT, 빅데이터, 드론, 클라우드 등 정보기술이 등장하면서 정보화 사회가 지능화, 창조화사회로 변화되고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도 이러한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과거의 노동집약형 산업에서 융합형 첨단기술산업으로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은 1998년부터 5년마다 건설사업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능개선 및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2012년에 수립한 제4차 건설사업정보화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선중에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웹호환성, 공간정보, 빅데이터, BIM, 윈도우10 등이 대두되면서, 시스템 개편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을 기준으로 새로운 건설IT환경을 반영한 시스템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분야의 내 외부 환경요인을 조사 분석하고, 타 정보시스템의 개발현황과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SWOT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의 비전, 목표, 추진방향 및 전략, 중점 세부추진과제와 추진일정을 마련하고 델파이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4개 중점추진과제와 9개 세부추진 과제를 마련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로드맵은 향후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의 운영 지표로 활용되며, 건설분야 유관 정보시스템의 향후 추진전략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국가기반시설 건설정보 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Plans of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National Infrastructur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옥현;김진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26-1035
    • /
    • 2013
  • 최근 정보화는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서 업무 수행의 보조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략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는 국내외 경기침체에 따른 건설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보기술의 접목과 활용을 통해 비용절감 및 업무프로세스 개선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 소속 산하기관은 정보화를 통한 건설사업 관리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창출 및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건설사업관리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구축된 정보시스템이 일부 공공건설사업에 국한되어 활용됨에 따라 국가기반시설 전반의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토부 소속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시스템)을 중심으로 산하기관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주요 건설정보의 수집 및 연계, 가공을 통해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국가기반시설 전반에 대한 건설정보 서비스 방안과 향후 추진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공건설사업에서의 효율적인 사업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향후 정책입안 등 주요 의사결정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국가기반시설의 구축에서 유지관리까지의 건설정보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건설현장 중심의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 개선 연구

  • 장용구;이준우;전흥수;우제윤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6-77
    • /
    • 2011
  • 국토해양부의 국토지반정보 DB구축사업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반조사성과를 전산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DB구축, 시스템 보급, 센터 운영 등을 주요수행사업으로 '00년부터 현재까지 10년 이상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07년부터 "지반조사성과전산화및활용에관한지침"이 국토해양부 훈령으로 제정 시행되면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지반조사성과에 대한 전산화는 건설사가 직접 입력 제출하고 있다. 지침 시행과 함께 국토해양부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심으로 지반정보 유통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지반정보 생산을 위한 지반정보 입력시스템, 검수 등록을 위한 검수등록시스템, 지반정보 유통을 위한 웹유통시스템으로 구성된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보급 활용 중인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에 대하여 지반정보 생산자 및 활용자들의 지속적인 개선요구사항들을 수렴하고 있으며, '11년도 사업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으로 개선 및 추가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선한 국토지반정보 유통시스템의 주요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 PDF

SWOT 분석을 통한 건설사업정보시스템 로드맵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admap Strategies of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 using SWOT Analysis)

  • 김성진;김남곤;김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37-4844
    • /
    • 2012
  •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은 지난 5년동안 3차 건설CALS기본계획에 따라 시스템 개편을 추진하였으나, 최근 급변하는 건설산업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건설사업정보시스템 로드맵 마련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건설분야의 내 외부환경 분석을 바탕으로 SWOT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핵심성공요인(CSF)를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추진방향, 추진전략, 중점 세부추진과제 및 향후 일정계획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건설사업정보시스템 로드맵은 건설정보화 성과 측정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건설분야 정보시스템의 향후 추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건설기술정보 제공물량의 만족도 및 사용 가치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use value of the amou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formation provided)

  • 정성윤;김진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1호
    • /
    • pp.154-164
    • /
    • 2023
  • 건설기술정보시스템에서는 국내 건설기술력을 제고하기 위해 건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건설기준, 건설 실무 및 건설보고서 등 16종의 건설기술 관련 원문 또는 색인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일반 국민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장 효과가 높은 건설기술정보 DB 구축에 예산을 우선 배당한다면 이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건설기술정보 종류별로 제공물량에 대해 모집단이 느꼈던 만족도 수준과 정보의 습득과 활용에 따른 이용 가치를 조사하였다. 모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이용자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건설기술정보의 종류별로 정보의 이용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과정을 통하여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 간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제공물량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낮았으나 건설 경력, 연령 등이 제공물량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의 측정항목 중 건설 경력이 많을수록 하위기술기준의 제공물량 만족도가 높았고, 연령이 나질수록 중소기업지원정보의 제공물량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만건설공사 전자설계·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Service System for Electronic Design·Completion Documents and Drawings on Port Construction)

  • 정성윤;김남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69-1270
    • /
    • 2012
  • 설계 준공도서는 건설공사를 시공하거나 유지 관리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과거에는 전자설계 준공도서가 단순 보관용으로 사용되어 활용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적합성 검사, 시스템 등록 서비스 등의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시키실 수 있는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응용하면 항공, 철도 등 다른 건설분야의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설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프로토타입 기초 연구 (Preliminary System Prototype of Construction Data Warehouse)

  • 이종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66-1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건설 관리자의 전자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활용도구인 건설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건설회사 내에서 별도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관리의 차원, 각 주제영역, 그리고 기술모듈별로 분석함으로써 전자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인 바, 이 기술의 건설산업 활용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술의 기술적 특성을 검토하여 요소기술모듈과 사용주체에 대한 설정을 통한 건설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건설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프로토타입과 각 기술 모듈을 제시하고 이의 활용성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검증함으로써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술의 건설산업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비정산 비용지불 방식에 적용 가능한 건설 프로젝트 정보관리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Cost Reimbursable Construction Projects)

  • 강남희;송호정;김현중;최재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7-247
    • /
    • 2015
  • 최근 국내 건설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관리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IT기술을 활용한 건설 사업관리 정보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PMIS는 국내 건설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기업이 수행하는 일부 해외 프로젝트에도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PMIS를 미국건설IT 시장에 특화된 시스템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 건설 IT시장은 주로 미국 기반의 IT기업에 의해 개발된 제품들이 독과점으로 선점하고 있었으나, 최근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 및 시장전략을 통해 시장을 확보해 나가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 국내와 해외에서 상용화된 시스템을 분석하였고, 미국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계약, 공정, 원가관리의 핵심요소를 분석하여 PMIS의 요구기능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PMIS는 내부 전자결제 시스템을 포함한 문서관리 모듈과 실비정산 기반의 노무비 자동 산정 모듈, 진도관리 모듈을 통해 통합 사업비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을 현지 건설 사업관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PMIS는 미국 건설 산업에 특화된 시스템으로써 미국 건설 IT 시장 뿐 아니라, 해외 타수요처 적용 측면에서 점진적 확대를 기대한다.

건설감리분야의 업무개선 아이디어 평가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System of Business Reform in Construction Administration field)

  • 김성진;김남곤;옥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6-287
    • /
    • 2008
  • 우리나라 공공건설공사에서 불필요한 행정업무·제도·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해 발주기관은 건설현장 담당자를 통해 관련 개선사항들을 보고·취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업무개선 노력들은 발주기관에서 건설현장으로 지시하는 수직구조로 되어 있어 업무개선결과에 대한 정보 공유와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감리원들의 업무개선 아이디어를 온라인으로 평가하고 이를 전체 건설현장에 공유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토해양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관할 건설현장에서 사용중인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 개선 아이디어 평가·공유 기능을 구축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