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기술용역사업자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FGI에 근거한 건설기술용역사업자 안전관리 수준평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Improvement direction of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on construction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by FGI)

  • 서재신;윤영근;이재윤;오태근;원정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51-358
    • /
    • 2022
  • 건설업의 사망만인률은 더이상 줄어들지 않고 답보상태에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주, 설계, 시공, 건설사업관리 등 다양한 건설참여자 주체의 노력이 있다. 정부에서는 타 산업 대비 높은 건설업의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해 건설참여자들의 안전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공표하여 경각심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관리 수준평가의 항목, 기준, 절차에 있어서 현장 상황에 맞지 않는 점들이 나타나고 있어 이들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관리에 가장 열악한 상황에 있는 건설기술용역사업자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평가의 개선을 위해 기존 안전관리 수준평가 결과분석, 평가자 및 피평가자 심층인터뷰(FGI)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평가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조달청 맞춤형서비스 사업에 대한 '감독 권한대행 등 건설사업관리용역(CM)' 과업내용 개선방향 (Proposal for Improvement on the Task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CM) for the Customized Service Project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 이종태;윤현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11
    • /
    • 2021
  • 건설사업관리용역사업자는 '과업내용서'에 명시된 각 시공 단계의 활동을 명확하게 수행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의 빈도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설계변경'과 '준공처리'를 핵심 업무로 분류하였다. 이어서, 실제 수행된 건설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핵심 업무에 대한 과업내용을 표준화했다. 이를 통해 발주청, 건설사업관리기술인 및 시공자가 건설사업관리의 업무 영역을 명확히 이해하고 각자의 업무에 대해 책임을 다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