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공사 정보관리

Search Result 50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Types for the Management of River Project (하천사업 공사관리를 위한 공종 표준화 방안 연구)

  • Jang, Chorok;Jang, Moon Yup;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6-486
    • /
    • 2021
  • 국가에서는 수해예방 및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하천사업을 수행한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하천정비 및 재해복구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으나, 체계적인 공사관리와 산출물의 전산화를 위한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현재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을 통해 하천공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총 공사비, 참여업체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정관리 및 예산정보에 관한 상세한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부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하천사업 공종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을 통해 건설공사의 공종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제2장 하천공사' 내에는 사석, 돌망태, 하천호안공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다. 하천공사 공종 표준화를 진행하게 될 경우 공종별 공사 세부정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지며, 현재 하천을 관리 중인 국토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지자체 등 하천사업을 수행 중인 기관의 시스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하천사업 공종표준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 도로대장 전산화 입력지침 등기 수립된 지침 및 기준을 통해 건설토목공사 시의 공종을 조사·분석한 후, 하천공사 준공보고서 및 감리보고서 등 공사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공사에 주로 수행되는 공사들에 관한 종류를 도출하였다. 이후 건설토목공사 공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하천공사에서 주로 수행되는 공종을 도출·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천사업 공종의 경우 향후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하천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Design modification function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 Cost management (도로분야 공사비정보 관리를 위한 설계변경 기능 개발)

  • Moon, Jin-Seok;Yoon, Hoi-Su;Kim, Sung-Jin;Han, Cho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6-17
    • /
    • 2012
  • 국토해양부는 지방국토관리청의 도로공사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공사비 정보의 교환 및 공유를 목적으로 작업분류체계 기반의 공사비 관리 항목을 추가하여 전자설계도서 작성 납품 지침을 개정하였다. 이를 반영하고 문제점 개선 및 활성화를 위하여 5개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중인 10개 도로건설공사를 시범적용 사업으로 지정하여 발생하는 공사비 정보를 디지털 수량산출정보로 관리하고 있다.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건설공사에 발생하는 설계변경 업무를 전자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추가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사에서 생성한 설계변경 정보를 건설사와 발주처가 동일한 형태로 공사비 정보를 공유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하였다.

A Case on the Applying QDB based Schedule·Cost Data Management for Road Construction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기반 도로분야 공정·공사비 정보 관리 시범적용 사례)

  • Moon, Jin Seok;Yoon, Hoi Soo;Han, Choong Han;Kim, Seo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428-1429
    • /
    • 2012
  • 건설분야 수량산출정보의 연계 및 교환을 위한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과 지방국토관리청의 도로관리관점에 따라 구성된 작업분류체계를 바탕으로 도로분야 수량산출정보를 지원도구를 통해 생성한다. 건설사는 지원도구에서 작성한 도로공사 수량산출정보를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공정 공사비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정 공사비의 통합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사업관리가 가능하도록 10개 도로건설공사 시범사업을 선정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의 실무적용 효율화 방안)

  • Lee Woo-Sik;Kang Lee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00-503
    • /
    • 2003
  • Considering that our construction market i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and that the EVMS will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projects with large scale. the suggested methodologies to link WBS(Work Breakdown Structure) with EVMS results and the developed web-based EVMS can be a tentative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

  • PDF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 for WBS-based cost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

  • Yoon, Hoi-Su;Moon, Jin-Suk;Kim, Seong-Jin;Han, Ch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430-1432
    • /
    • 2011
  • 공사비정보와 일정정보는 사업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이들이 연계활용되어야 공정공사비 관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실정은 공사비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관리됨에 따라 설계사에서 작성되어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갖고 있던 수량정보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정보들을 상실하고 시공사에서는 다시 물량분개라는 작업을 통해 다시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사업을 대상으로 작업분류체계(WBS)를 그 연계방안으로 제시하고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통해 설계사에서 작성된 정보를 시공사에서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는 이러한 작업분류체계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검토, 지원도구 활용 공사비 작성, 시험적용을 통한 지원도구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역정보와 공정정보의 연계가 실현되고,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Post-evaluation Syste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Ok, Hyun;Kim, Jin-Uk;Yang,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05-308
    • /
    • 2015
  •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공공건설사업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이다. 국토교통부에서는 발주청별로 실시하고 있는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결과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을 기초로 한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사후평가 시행지침의 개정에 따라 입력양식 및 관리항목이 변경되고, 축적된 사후평가 결과정보의 분석기능 등의 부족으로 유사 건설사업 수행시 활용 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의 개정과 분석 및 통계기능 강화를 위해 따라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후평가시스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유사 공공건설사업 수행시 시행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Construction present state managerial system specificatio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 WBIS (WBIS를 이용한 건설공사현황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남곤;강의석;서명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97-399
    • /
    • 2003
  • 각 관공서나 공공기관에서 발생되는 각종 공사현황정보와 기술정보를 시설물 전체 수명주기동안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설공사관리 업무를 전자처리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며, 사업계획에서 준공까지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서들의 보관이 비체계적이므로 이를 잘 보관하고 재 사용하기 위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건설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을 대상으로 사업단위별로 업무를 7가지로 세분화하고. 그 중에서도 핵심부분인 공공건설사업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공사현황 정보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Construction work and Safety Management (건설공사의 안전관리방안)

  • Kim, Kyo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7-178
    • /
    • 2022
  • 건설 안전관리는 건설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나 재해의 발생 원인과 예방을 위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근로자에게는 육체적 8정신적 고통과 노동력의 상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며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력의 저하와 비용의 증가=국가로서도 사회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으로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관리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건설공사가 대형화=복잡화=고층화 및 대규모 지하 굴착과 같은 고난도의 작업이 많아짐에 따라 작업 환경의 특수성과 작업 환경상 높은 위험을 갖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Project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Measures Using Life Cycle Information in Road Construction Projects (도로건설사업의 생애주기별 정보를 이용한 건설사업정보 통합관리방안 연구)

  • Kim, Seong-Jin;Kim, Bum-Soo;Kim, Tae-Hak;Kim, Nam-G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1
    • /
    • pp.208-216
    • /
    • 2019
  • Construction projects generate a massive amount of diverse information. It takes at least five years to more than 10 years to complete, so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information on a project's history, including processes and cos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if 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lanned goals, and to convert a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LS) into a virtuous cycle. It is easy to ensur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in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because constructors can take care of the whole process (from planning to completion), whereas it is difficult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because various agencies are involved in the projects. A CALS manages the project information of public road construction, but that information is managed according to CALS subsystems, resulting in disconnected information among the subsystems, and making it impossible to monitor integrated information. Thu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measures to ensur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life cycle. To that end, a CALS is improved by standardizing and integrating the system database, integrating the individually managed user information, and connecting the system with the Dbrain tool, which collectively builds artificial intelligence, to ensure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the project budget.

Project Informations Classification System for Civil Works (토목공사용 정보분류 코드체계의 개발)

  • Lee, Bae Ho;Kang, Leen 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4
    • /
    • pp.897-905
    • /
    • 1994
  • Project Informations Classification System (PICS) can be utilized as a springboard for 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ques because it marries informations to networks and maintains a disciplined cost control.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develop a PICS which can be applied in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ques. The frame work largely consists of the three parts such as: (i) development of the tentative Work Breakdown Structure with three divisions, facility calssifications, functional classifications and work classifications, covering the whole areas of civil works, (ii)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s system including the other informations in cost estimating and network scheduling, (iii) construction of relational database system for computer application. The system suggested in the study is found useful for the systematic and uniform management of construction works in the various st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