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감리제도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감리제도 합리화 방안 및 국제화 방안

  • 한규봉
    • 월간 기계설비
    • /
    • s.55
    • /
    • pp.73-82
    • /
    • 199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이재명)은 최근 발행한 일련의 건설사고등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각종 시설물에 대한 품질관리를 강화함은 물론 건설공사 감리제도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건설 교통부의 후원으로 $\ulcorner$건설공사 감리제도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lrcorner$를 지난 1월 26일 교원단체총연합회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본지는 이날 주제발표를 나선 한규봉 한국건설 감리협회 회장의 $\ulcorner$감리제도 합리화 방안$\lrcorner$ 과 김예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의 $\ulcorner$감리제도의 국제화 방안$\lrcorner$ 의 내용을 게재한다.

  • PDF

Suggestions of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followed by Post-sale System of the Apartment;focussing on Supervision price (주택건설공사 후분양 도입에 따른 감리제도 개선방안;감리대가에 대하여)

  • Jo, Young-Sil;Lee, Hyun-Soo;Park, Moon-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455-458
    • /
    • 2007
  • With the government plan to introduce a post-sale system to the Korean real estate market quickly becoming a reality, reformation of the supervision policy under the current pre-sale system is expected. The current supervision policy, designed to enhance the quality of houses and to prevent improper construction, was reinforced through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promotion act' and has been further revised as the 'residential law'. At this current time, the introduction of a post-sale system is expected to affect all aspects of residential construction, from the planning stages to overall conditions regarding the actual constru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illustrate several changes in the supervision policy that are expected to arise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post-sale system, focusing on areas of the policy that are presumed to be the most affected. The research will highlight problems under the current system, analyze any domestic supervision restrictions that have been regulated for post-sales that are currently effective, and suggestion methods of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through SWOT analysis.

  • PDF

Improvement and Expected Effect of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for Mix-Use Residential Building (주상복합건물의 감리제도 개선방안과 기대효과)

  • Son, Bo-Sik;Bu, Seung-Hyon;Kim, Kyung-Whal;Lee, Hyun-Soo;Ryu, Han-G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2 s.30
    • /
    • pp.62-70
    • /
    • 2006
  • As buildings are changing variously from the side of use, efficiency and size, the construction qualities are more importantly recognized. Supervision system was enacted in the Residential Building Law in 1990 and responsibility supervision system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Law in 1994, respectively. However, recently revised supervision system in 2003 has some limitations: the present problems of appointing supervisor, disposing the supervisors, supervisor's work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sent supervision system for mix-use residential building.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revised supervision system, it will be able to expect quality improvement, confidence of the owner and the user,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supervision company.

부실공사방지를 위한 감리제도 개선방안 -공공공사 감리제도를 중심으로

  • 이태식;이교선
    • 월간 기계설비
    • /
    • s.38
    • /
    • pp.72-96
    • /
    • 1993
  • 올해안에 UR협상 타결 전망이 짙어짐에 따라 국내건설시장에서 우리 업체들이 세계 굴지의 건설사회와 무한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이 시점을 맞아 건설업계는 기술혁신과 완벽시공 및 철저한 감리를 통해 부실공사를 방지, 백년대계의 건설문화를 이룩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자산건설정책연구회(회장 김호일 민자당 의원)가 지난 8월 16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감리제도 개선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내용은 이날 발표된 자료를 발췌$\cdot$게재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pervision Engineer Qualification in China (중국 감리공정사(監理工程師) 자격제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Han, Guang;Shin, Kyoo-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6
    • /
    • pp.585-594
    • /
    • 2018
  • Chinese construction corporations take more market shares in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The performance of Chinese construction corporations need to be reviewed from the capability and qualification system of the engineers including supervision engin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r supervision engineer in China. The research methodology is to investigate the qualification exam system, process and examination subjects for searching the fundamental body of knowledge about supervision engineer qualifica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 qualification system in supervision engineer are classified in detail for the body of knowledge and operated by the government.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requires broad and defied knowledge structure together with practical experiences. The research results may lead further research subjects of Chinese construction related qualifications and education system in the ways of more specificity, expertise, and practicality. The mutual understanding of qualification system becomes major issue to build better collaboration in global market.

Construction Supervision Improvement Methodology of Public Installment Buildings (분양건축물에 대한 감리제도 개선 방안)

  • Bu Seung-Hyon;Ryu Han-Guk;Lee Hy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365-368
    • /
    • 2003
  • The supervision system due to the Building Law was introduced in 1963. As the building came to be more various from the side of use, efficiency and the size, it came to be complicated. Construction Technical Managemen Law started in 1994. and it introduced a responsibility supervision system. And Residential Building Promotion Law improved quality of Buildings. But these facts are limited in part in the supervision objective building, and supervision system is restrict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urrent problem of supervision system, and the improvement program will go far toward solving the problem.

  • PDF

An Analysis of the Conditions for Construction Supervision Fee (책임감리 용역 대가의 실태 분석 연구)

  • Choi, Sun-Hee;Choi, Hye-Mi;Lee, Jae-Young;Kim,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283-288
    • /
    • 2007
  • As constructions are changing variously from the size and efficiency, the role of supervision services tend to reach beyond mere monitoring or supervision to prevent fraudulence, but tend to extend toward a system that manages all the stag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are growing demand to improve government operated corporation systems to secure high quality public facilities, and reviews on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and supervision services roles, function,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have been the topics among advanced researchers. However, the circumstance is that researches on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service compensation and supervision services assignment criteria that serve as basis of such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improvement are insufficient, and for practical development of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researches on construction supervision service compensation and supervision services assignment criteria will need to precede. Hence, this research purports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by deducing problems through condition survey on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services ordered by public organizations.

  • PDF

건설현장의 감리제도에 대하여

  • Lee, Won-Cheol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2 no.3 s.5
    • /
    • pp.92-97
    • /
    • 1992
  • 건설현장에서 대형사고의 발생시 그 원인과 대책, 책임의 소재를 시행사, 감독관, 감리자에게 묻고 있는바, 현장주재 감리자로서 업무의 범위, 수행 과정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등에 대하여 요약 기술하고자 한다. <필자 주>

  • PDF

건설산업경쟁력 강화와 부실방지대책(안)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54 s.71
    • /
    • pp.185-206
    • /
    • 1996
  • 1.건설제도의 국제화와 경쟁기반 구축 $\bullet$건설산업을 기획$\cdot$설계$\cdot$시공$\cdot$감리$\cdot$사후관리 등 전 분야에 걸쳐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기획$\cdot$설계$\cdot$시공$\cdot$감리$\cdot$유지관리 등 건설산업 전반에 관한 기본사항을 법제화-대규모 공사의 경우 발주자를 대신하여 건설공사의 기획$\cdot$설계$\cdot$발주$\cdot$감리$\cdot$시공관리 등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종합적으로 조정$\cdot$관리하는 $\lceil$건설사업관리$\rfloor$제도를 도입 $bullet$건설공사 $\lceil$현장실명제$\rfloor$도입을 통한 하도급제도의 정비-전문건설업자로부터 하도급, 위탁, 고용 등의 형태로 공사에 참여하는 현장근로자를 신고 받아 권익을 보호하고 시공책임도 부과하는 $\lceil$현장실명제$\rfloor$도입 $\bullet$공사완성보증제, 손해배상보증제도를 도입하고, 신용상태 $\cdot$시공능력에 따라 보증 요율 등을 차등화 하여 부실업체를 배제 $\bullet$건설공사관련 각종 계약서와 시방서 등 제기준을 정비하여 발주자$\cdot$시공자 등 건설주체간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화$\bullet$건설분쟁을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조정$\cdot$중재하기 위하여 $\lceil$건설분쟁중재원$\rfloor$으로 확대 개편 2. 건설인력의 육성과 고용안정$\bullet$경쟁력 제고의 관건인 우수인력 확보를 위하여 대학교육 제도의 개선을 포함한 건설 인력 수급대책을 추진 - 대학의 건설관련 학과 정원을 2000년까지 매년 일정규모로 증원하여 고급기술 인력을 배출 현재 50$\%$에 불과한 건설관련 국가기술자격자를 2000년에 70$\%$까지 제고 - 감리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선진외국 감리 회사를 활용하여 국내 업계와의 경쟁을 유도 $\bullet$건설현장의 최일선에서 품질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기능공의 고용안정과 복지향상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 - 건설기능공의 자긍심과 사회적 책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기능공이 여러 현장을 전전하여 근무하더라도 경력관리, 공제금 등의 합산 관리가 가능하도록 $\lceil$건설 근로자 복지카드$\rfloor$제도를 도입 *$\lceil$건실시연구단$\rfloor$을 구성$\cdot$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수립 - 건설 업체 실정에 맞는 현장위주의 기능검정제도 도입 $\cdot$자격증이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수준과 숙련도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검정방법을 현장 실기위주로 개선하고 자격검정업무도 건설협회 등의 자격 검정능력을 향상시켜 위탁$\cdot$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3. 공사시행기관의 전문성과 책임성 제고 $\bullet$시장이 개방되어 건설공사가 국제적인 관행에 따라 이루어질 것에 대비하여 시행기관에 계약$\cdot$공사관리 등 전문직공무원을 집중 교육하여 양성 $\bullet$ 조달청이 대행하여 공사계약을 하는 경우라도 설계변경은 발주기관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 $\bullet$ 기술직 공무원의 기술향상을 위하여 관련 공무원의 확충, 해외연수, 현장교육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 $\bullet$ 충분한 사전조사를 거쳐 사업계획을 수립하도록 $\lceil$건설공사 시행절차$\rfloor$를 규정 $\bullet$ 공사기간 3년 이상의 공사에 대하여는 최대한 계속비사업으로 편성토록 계속비제도의 운영을 활성화 4. 건설현장의 품질관리체제 구축 $\bullet$ 현장배쳐플랜트 설치를 확대하여 레미콘의 품질관리를 일원화하고 현장에서 레이콘을 배합하는 건식공법을 채택 - 현장레미콘생산시설(B/P)설치 확대로 콘크리트 하자에 대한 책임한계 일원화 유도 - 레미콘 재료인 골재$\cdot$시멘트$\cdot$물을 공장에서 혼합하여 공급하는 현행 습식배합 대신에 물만을 현장에서 혼합하는 건식 배합방식을 도입 $\bullet$철강재$\cdot$철구조물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일정기술을 갖춘 공장에서만 제작토록 하는$\lceil$공장인증제$\rfloor$를 도입 - 제작시설과 품질관리 등을 심사하여 제작공장을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철강재 등의 제작업무 범위를 차등화 $\bullet$시설물에 대하여도 시공업체가 제작공장을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철강재 등의 제작업무 범위를 차등화 $\bullet$시설물에 대하여도 시공업체가 사후관리를 일괄 책임질 수 있도록 $\lceil$시공 및 유지관리 일괄계약제도$\rfloor$를 도입 - 대형교량$\cdot$소각로$\cdot$하수처리장 등 유지관리에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부터 시범적으로 도입 $\bullet$건설자재의 표준화$\cdot$정보화사업을 조속히 추진 5. 건설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 $\bullet$일부 공공사업자의 경우 관행화되어 있는 대금일부의 어음 또는 채권지급방법을 단계적으로 축소 $\bullet$매월 감독이나 감리원의 기성확인에 의하여 시공자에게 공사대금을 직접 지급토록 하는 등 대금 지급절차를 간소화 6. 민간 건축물에 대한 안전확보 $\bullet$충실한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제도를 개선 -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제정하고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는 건축심의단계에서 구조검토 등 설계심의를 의무화 $\bullet$대형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감리 강화 - 감리전문회사 수준의 감리체제로 전환하고 감리대가도 공공수준으로 인상하고 적용요율대로 지도$\cdot$감독 강화

  • PDF

건축규제 조치와 감리제도 개선을 위한 좌담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268
    • /
    • pp.18-26
    • /
    • 1991
  • 신도시 부실공사 사태로 정보가 건설경기 진정대책으로 발표한 건축규제 조치와 특별감리단 구성은 건축문화 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축사들의 생존권마저 위협하는 한편, 불합리한 현 감제도하에서는 많은 부작용이 예견되고 있는 실정으로, 회원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본지에서는 이번 조치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범건축인의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모색코자 건축규제 조치와 감리제도 개선에 관한 지상좌담회를 개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