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 에너지 부하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9초

건물의 창호종류에 따른 에너지 변화량 및 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Applying the Energy Variation and Temperature by Window type of Building)

  • 정환교;김영일;조진환;정광섭
    • 에너지공학
    • /
    • 제21권3호
    • /
    • pp.211-22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창문을 통한 건물의 에너지손실을 알아보기 위해서 창호시스템의 구조체를 모델링하여 구조체 재질에 따른 열적 손실부분을 분석하였고, 건물에서 창문을 통한 난방부하변화량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건물을 모델링하여 창문의 종류와 구조체의 재질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 변화량과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통합 채광시스템의 건물 냉난방 에너지 성능평가 (Building Energy Savings due to Incorporated Daylight-Glazing Systems)

  • 김정태;안현태;김곤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8
    • /
    • 2005
  • 건물 내에 존재하는 자연광은 조명원으로 국한되지 않고 시각적, 심리적 자극을 통한 실내 환경의 질적 향상에 이르기까지 에너지절약 및 공간의 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입되는 자연광량에 비례적으로 연동되는 건물에너지는 전기조명에너지를 절감시키고 난방 기간동안 일사열의 유입에 따른 난방에너지를 절감시킨다. 여름철에는 전기조명의 소등으로 인한 조명원의 발열량이 감소됨으로써 냉방부하의 감소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명개발분야의 선진국에서는 에너지 절약형 광원의 대체와 아울러 자연채광과 통합된 최적 조명제어 기술의 운용만이 건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 절약의 잠재력을 현실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인 사무소 모델 공간의 에너지 절약형 인공조명을 대상으로 자연광 유입에 따른 연동적 조명제어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인공조명의 소등량에 따른 조명에너지의 절감량과 이에 수반되는 냉방에너지의 점감량 및 일사열 취즉에 따른 겨울철 난방 부하 절감량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채광의 건물에너지에 대한 연간 기여도를 통합 분석하였다. 특히 자연채광의 성능은 실험을 통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고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실질적인 절감량을 도출하도록 시도하였다.

초고층 건물의 층고저감을 위한 공조시스템

  • 신현준;김보철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1호
    • /
    • pp.9-14
    • /
    • 2002
  • 산업의 발전에 따른 도시화의 영향으로 대도시에서는 가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물의 고층화와 지하공간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초고층주상복합건물, 초고층아파트는 건물의 높이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건축공사비의 증가는 물론 설비적인 측면에서는 저층부의 수압이 상승 하여 높은 수압과 수격작용(water hammer)에 대한 배관 및 기기의 내압강도와 안전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건물의 초고층화로 인하여 열원에서 공조기까지, 공조기에서 실내기기까지의 수직거리 (vertical distance)가 길어지게 되어 연장된 공조덕트 및 배관 의 길이로 인해 반송동력비의 상승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기 및 재료의 선정시 내압을 고려하거나 기기의 적정배치와 조닝(zoning)을 통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적극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 건물의 층고저감에 의한 건축공사비 및 연 간운전비의 절감을 통한 건물에서의 소비에너지량 감소로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에너지수급정책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건축물의 층고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조시스템에 대해 전반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에너지시뮬레이션에서의 부하요소가 건물에너지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Impact of Load Factors in Building Energy Simulation Affect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 윤갑천;전종욱;김강수
    • KIEAE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71-78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load factors o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by using EnergyPlus program. We selected a campus building and monitored energy consumption from January 2009 to November 2010. First, we simulated energy consumption basically with weather data, building heat gain and EHP performance data. And then we simulated energy consumption with three additional parameter(infiltration, OA control and schedule). Simulation results are verified by MBE and Cv(RMSE) proposed by M&V guideline 3.0. Simulated total energy consumption was 104.3% of measurements, 4.33% of MBE, and 13.62% of Cv(RMSE). Results show infiltration and schedule were revealed as the most dominant factor of heating energy consumption and of cooling energy consumption, respectively.

지열 히트펌프 전기부하 예측을 위한 신경망 적용 방법 (Neural Network Application for Geothermal Heat Pump Electrical Load Prediction)

  • 사트리오 아닌디토;강은철;이의준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42-49
    • /
    • 2012
  • 신경망방법은 공학, 경영 그리고 정보기술과 같이 다양한 분양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신경망방법은 기본적으로 예측, 제어, 식별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방법을 이용하여 C사의 모델 T의 히트펌프 전기부하를 예측하였다. 부하예측은 시스템을 더욱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히트펌프는 지열원 히트 펌프 시스템이다. 이 지열 히트 펌프의 부하는 사전에 미리 예측되어진 외기온도 및 건물 열부하에 따라 측정 학습된 전력 소비량으로 겨울에는 난방, 여름에는 냉방에 대한 전력 부하를 예측할 수 있다. 이 신경망방법은 신경망 학습 순서를 통해 부하 예측을 위해 히트펌프의 성능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 부하 예측 인공지능망 방법으로 외기 온도별 건물 통합형 지열 히트 펌프 부하가 예측되어질 수 있다.

ZEB 인증제 고도화를 위한 기존 건축물 부하별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building load for the advance ZEB certification system)

  • 이항주;맹선영;김인수;안종욱
    • 에너지공학
    • /
    • 제27권3호
    • /
    • pp.21-27
    • /
    • 2018
  •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시행에 따라 민간부문 활성화 및 보급 확대를 위한 제도의 지속적인 고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는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민간부문에 확대 될 때까지 단계별 의무화 로드맵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제의 기반이 되는 건물에너지효율인증 기준에 따른 2016~2017년 기존 건축물들의 에너지소요량을 분석하여 주요 인자 변화에 따른 부하별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존 건축물중 아파트, 오피스텔 등 주거용을 제외한 중부 및 남부지역 714개 건물을 분류하여 1차 에너지소요량을 분석하였다. 새로운 설계기법들이 적용됨에 따라 패시브측면에서의 에너지요구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와 연계되어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제로에너지빌딩 인증 기준을 고도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해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건물 에너지 수요관리를 위한 BEMS 연계형 수요반응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EMS linked Demand Response System for Building Energy Demand Management)

  • 이상학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6-41
    • /
    • 2016
  • 건물을 에너지 수요관리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요 반응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에너지 수요관리 사업자의 출현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수요반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자동화된 실시간 수요 반응 시스템 도입은 미흡하고 비용도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건물을 대상으로 수요 반응 시스템 구축을 위한 OpenADR 프로토콜과 수요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환경에 적용하여 실증을 수행하였다. OpenADR은 표준 프로토콜로 사업자와 수요자원간의 이벤트 발생과 리포팅을 통해 자동화된 시스템이다. 또한 다양한 제어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는 건물을 대상으로 단일화된 제어 시스템 구축을 위해 웹 기반 건물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수요 반응 이벤트 발생 시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개발된 결과물을 건물에 적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검증하고 감축량을 측정하여 수요반응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업용 건물에 있어서 외벽의 축열용량이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SHRAE Standard 90. 1안에서 사용된 Delta Load 개념의 평가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RMAL MASS EXTERIOR WALLS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IN COMMERCIAL BUILDINGS - Evaluation of Delta Load Concept Used in The Draft Standard ASHRAE 90. 1 -)

  • 박상동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15권4호
    • /
    • pp.372-379
    • /
    • 1986
  • 본고는 상업용 건물에 있어서의 냉난방부하에 대한 외벽의 축열(열용량)효과를 비교$\cdot$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인 DOE-2.1C를 이용하여 Berkeley Solar Group (BSG) 이 제안한 축열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고에서의 축열효과는 "delta load"로서 표현되어 있으며 "delta load"는 전형적인 나무구조 건물과 벽돌조 건물의 연간 냉난방부하의 차이로서 표시된다. BSG 보고서에 의하면 delta load는 (1)구조물의 위치와 관련한 단열방법 (2)벽의 열용량 (3)벽의 열관류을 (4)기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고 되어 있다. 본 고에서의 delta load 계산은 중규모 사무소 건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Lake Charles, LA와 Madison, WI 기후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DOE-2.1C 사용에 의한 delta load는 BSG의 결과와 일반적으로 잘 조화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주부의 방향에 따른 dalta load와 난방에 있어서는 다소 큰 차이를 보여 주고 있으며, 외단열과 중간열의 효과는 BSG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