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정보 모델링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teroperable Model Generation for Steel Structures with Structural BIM(S-BIM)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Data Exchange System (S-BIM 기반 철골구조물에서의 정보호환체계 개선에 따른 상호운용 모델 구축)

  • Han, Sang-Woo;Cho,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56-659
    • /
    • 2011
  •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고층건물의 규모가 점점 커짐에 따라 고층 건물은 초기단계에서부터 막대한 자원과 비용이 발생하고 도중에 설계변경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졌다. 때문에 초기구조설계과정과 실시설계, 시공과정에서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사업의 경제성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정보를 제대로 관리할 초고층 BIM 정보환경이 구축된다면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가 얻게 될 이익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다. S-BIM 프로세스 상에서 철골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세 단계의 프로세스를 거치는데 구조 해석 및 설계 단계, 구조 해석 및 설계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철골구조설계 및 형상화 모듈에 의한 부재 생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해석 및 설계(Analysis and Design, A&D) 데이터베이스를 C#코딩을 통해 형상, 길이 및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모듈 상에 불러오고, 이를 이용한 부재의 치수, 길이, 좌표 값을 산정하였다. 모듈 결과 생성된 정보를 BIM 플랫폼 상에 모델링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값을 최소로 하여 기존 BIM 플랫폼의 모델링 방법 대비, 생산성이 향상된 철골구조설계의 자동화를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 PDF

A Web-based Virtual Space Modeling Using 2D CAD Data (2차원 캐드자료를 이용한 웹기반 가상공간 모델링)

  • Lee, Jang-Kyung;Lee,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43-446
    • /
    • 2002
  • 인터넷과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상공간에 대한 관심은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가상공간 모델링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CAD 데이터로부터 가상공간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AD 파일에서 2차원 지형정보를 추출하여 웹에서 볼 수 있는 3차원 가상공간을 생성한다. 가상공간생성 과정은 전처리, 데이터 추출, 모델생성, 렌더링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는 CAD 파일에서 도로경계선을 분리하며 데이터 추출은 등고선, 도로경계선, 건물 정보를 CAD 파일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이다. 모델 생성은 추출한 지형정보들을 이용해서 3차원 공간모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실세계에 근접한 가상공간을 생성하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 PDF

3D BIM-based Building Energy Efficiency Solution for Carbon Emission Reduction (탄소저감을 위한 3D BIM 기반 건물 에너지 효율화 방안)

  • Lee, Dong Hwan;Kwon, Kee Jung;Shin, Ju Ho;Park, Seung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1235-1242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energy performance analysis implemented in EnergyPlus. The BIM model constructed at Revit is updated at Design Builder, adding HVAC models and converted compatibly with the EnergyPlus. We can obtain the input values about HVAC system and building environment such as HVAC system efficient, the number of air changes and energy consumption of equipment on applying GAs (Genetic algorithms). After modification about HVAC system, Optimization about HVAC system energy consumption can be analyzed. In order to maximize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 genetic algorithm (GA)-based optimiz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the modified HVAC models. Throughout the proposed building energy simulation, finally, the best optimized HVAC control schedule for the target building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supply air temperature schedule". Throughout the supply air temperature schedule is applied to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we obtained energy saving effect result on simulation.

Development of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Extracting System using HSI Color Model (HSI 컬러모델을 활용한 건물의 3차원 공간정보 추출시스템 개발)

  • Choi, Yun Woong;Yook, Wan Man;Cho, Gi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4
    • /
    • pp.151-159
    • /
    • 2013
  • The building information should be up-to-date information and propagated rapidly for urban modeling, terrain analysis, life information, navigational system, and location-based services(LBS), hence the most recent and updated data of the building information have been required of researchers.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ed system to extract the 3-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from aerial orthoimage and LiDAR data of HSI color model. In particular, this paper presents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 to extract the outline of specific buildings and generate the building polygon from the image using HIS color model, recursive backtracking algorithm and the search maze algorithm. Also, this paper shows the effectivity of the HIS color model in the image segmentation.

Automatic Boundary Detection from 3D Cloud Points Using Color Image (칼라영상을 이용한 3차원 점군데이터 윤곽선 자동 검출)

  • Kim, Nam-Woon;Roh, Yi-Ju;Jeong, Hee-Seok;Jeong, Joong-Yeon;Jung, Kyeong-Hoon;Kang, Dong-Wook;Kim, Ki-D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141-142
    • /
    • 2008
  • 본 논문은 텍스처된 3차원 점군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상라이다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점군데이터는 많은 노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적인 모델링이 어렵다. 3차원 모델링에 있어서 메쉬를 생성해야 3차원 랜더링이 가능하지만 3차원 메쉬 생성은 노이즈에 취약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들이 수작업으로 노이즈를 제거해야만 한다. 하지만 노이즈 자제가 지상 라이다로부터 들어온 데이터이기 때문에 자동적인 노이즈 제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처된 지상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칼라 영상의 정보를 이용한 윤곽선 정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건물과 같은 구조물에서 최 외곽은 같은 색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최 외곽 칼라의 정보를 이용하여 칼라 정보의 변화를 제한하고, 유사 칼라 정보를 가지고 있는 픽셀만 얻어냄으로써 최외각 정보를 얻어낸다. 칼라 이미지를 이용만 필터링 된 점군데이터는 xy, xz, yz 각각의 평면에서 윤곽선 데이터를 가지며 이는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의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 PDF

Realistic Enhancement of 3D Expressions for Building Expressions with Hologram (건축물 홀로그램 표현에서 3D 실체감 표현 향상방안)

  • Shin, Seong-Yoon;Lee, Hyun-Cha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9
    • /
    • pp.1104-1109
    • /
    • 2019
  • Business utilization of holograms is widely used as a similar hologram. The use of holograms has been proposed in many c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utline of similar holograms using up to 3 or 4 facets, and express the similar holograms using the results produced by 3D modeling for a building from dealing with the representation of buildings from hololens to pseudo-hologram by using 3D modeling results. In addition, to reflect the real image of the disadvantage of modeling, we propose a method to enhance the 3D expression of the object by reflecting the actual building surface on the 3D model through photographing. Virtual building seen by the human eye can be virtually shown in space through a hologram among various methods shown in a virtual space such as AR / VR / MR.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ress hologram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buildings or cultural properties with enhanced realism.

Detecting and Restoring Occlusion Area for Generating Digital Orthoimage (수치정사투영영상 제작을 위한 폐색영역의 탐지와 복원)

  • 권오형;김용일;김형태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3-148
    • /
    • 2000
  • 레이저 프로파일링 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에는 얻을 수 없었던 도시 지역에 대한 DTM 취득이 가능해졌고, 더욱 정확한 정사투영영상 또한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높이 변화를 보이는 자연지물과 인공구조물이 있는 지역에 대해 기존의 정사투영사진 제작기법이 적용될 때, 폐색이나 이중매핑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서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져 정사투영영상의 품질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의 외부표정요소와 DTM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하고, 폐색이 안된 다른 영상의 정보를 통해 폐색영역을 복원하여 더욱 완전한 정사투영을 제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 자연지물이나 인공고조물에 의한 폐색영역을 탐지할 수 있었고 폐색영역의 많은 부분을 부가영상을 이용하여 복원하였다. 건물에 대한 사전지식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하는 국내 연구가 있지만, 본 연구는 건물에 대한 부가정보나 모델링을 사용하지 않고 DTM과 카메라 외부표정요소만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 PDF

Evaluation of Clustered Building Solid Model Automatic Generation Technique and Model Editing Function Based on Point Cloud Data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기반 군집형 건물 솔리드 모델 자동 생성 기법과 모델 편집 기능 평가)

  • Kim, Han-gyeol;Lim, Pyung-Chae;Hwang, Yunhyuk;Kim, Dong Ha;Kim, Taejung;Rhee, Sooah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1
    • /
    • pp.1527-1543
    • /
    • 2021
  •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a technology that generating clustered solid building models based on point cloud automatically by applying it to various data.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odel of insufficient quality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utomatic building modeling technology, we develop the building shape modification and texture correction technology and confirmed the resultsthrough experiments.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automatic building model generation technology, we experimented using point cloud and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generated based on UAV, and applied building shape modification and texture correction technology to the automatically generated building model. The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odel. Through this, the applicability of the point cloud data-based automatic clustered solid building model generation technolog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quality improvement technology were confirmed. Compared to the existing building modeling technology, our technology greatly reduces costs such as manpower and time and is expected to have strengths in the management of modeling results.

Generation of 3D City Models Multi-Sensors (다중센서를 이용한 3차원 도시모델의 구축)

  • Choi Kyoung-Ah;Kang Moon-Kwon;Kim Sung-Joon;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6-111
    • /
    • 2006
  • 텔레메틱스, 위치정보서비스, 유비쿼터스 등의 발전과 더불어 3차원 GIS의 활용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도시모델은 이러한 3D GIS의 근간을 이루며, 이에 도시모델의 획득과 지속적인 수정에 대한 수요 증가도 필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시모델 구축방법과 달리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도시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항공사진과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모델을 생성하고, 지상사진을 이용하여 건물의 정교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서울시립대학교를 실험대상지역으로 선택하여 전체 23개의 건물을 포함하는 27만 $600m^2$면적의 영역에 대한 도시모델을 구축하였다. 생성된 모델에 대한 검사를 통해 건물과 지표면의 기하학적 구조가 정확하게 재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건물의 외벽 texture는 영상 촬영 시 나무 등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 주변 지물들에 의한 그림자 영향 등으로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차원 모델 구축에 있어 texture 추출에 대한 알고리즘 개선이 요구되었고, 건물 내부도 모델링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활용방안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