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적용

Search Result 1,88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3D building modeling from airborne Lidar data by building model regularization (건물모델 정규화를 적용한 항공라이다의 3차원 건물 모델링)

  • Lee, Jeong Ho;Ga, Chill Ol;Kim, Yong Il;Lee, Byung 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4
    • /
    • pp.353-362
    • /
    • 2012
  • 3D building modeling from airborne Lidar without model regularization may cause positional errors or topological inconsistency in building models. Regularization of 3D building models, on the other hand, restricts the types of models which can be reconstructed.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paper modelled 3D buildings from airborne Lidar by building model regularization which considers more various types of buildings. Building points are first segmented into roof planes by clustering in feature space and segmentation in object space. Then, 3D building models are reconstructed by consecutive adjustment of planes, lines, and points to satisfy parallelism, symmetry, and consistency between model compon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thod could make more various types of 3d building models with regularity. The effects of regularization on the positional accuracies of models were also analyzed quantitatively.

Application of New Connecting System of Wood Structures Using Bamboo Connector (대나무 접합물을 이용한 목조건물의 새로운 접합 시스템의 적용예)

  • Inoue, Masafumi;Park, Kang-Geu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6 no.2 s.20
    • /
    • pp.7-12
    • /
    • 2006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목조건물의 해체 및 목재의 재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목조건물을 접합철물에 의해서 접합할 경우에는 건물의 해체시에 철재를 사용하지 않아 목부재의 절단이 매우 용이하고 목재의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대나무의 높은 인성은 목재 접합부의 강도와 안정성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대나무 접합물은 2005년 일본 Aichi 세계박람회에서 Japan pavilion Nagakute 전시관 건물이 대나무 접합부를 사용한 목조건물이다.

  • PDF

Image based Environmental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technology for building energy data collection (건물에너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영상 기반 환경 정보 측정 시스템 기술)

  • Kang, JeongHoon;Chae, Chulseoung;Kim, HyeongGoo;Gwon, DaeGil;Choi, HyoSeob;Lee, KeonHee;Park, Eun 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605-608
    • /
    • 2019
  •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적용하면, 기존 아날로그 측정기의 수치를 자동으로 인식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재실 여부 등의 건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관련 현상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건물의 에너지 운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내용은 기계 학습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기술이 건물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장점에 대해 소개하고 적용에 따른 예상 효과를 기술한다.

Evaluation of Flood Impact Variable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Function for Residential Buildings and Contents (주거건물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및 손상함수 개발)

  • Choi, Cheon kyu;Kim, Gil Ho;Kim, Kyung Tak;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4-44
    • /
    • 2017
  • 홍수 피해 특성을 파악하고 영향 인자를 평가하여 홍수 피해로 인한 손실을 추정하는 것은 홍수 예방과 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 및 정책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 중 홍수로 인한 주거건물의 피해는 일반 주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홍수피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주거건물 및 내용물의 피해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건물 및 내용물에 대해 홍수피해 정보의 체계적인 수집을 위해 주거건물 설문조사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홍수피해 정보는 주거건물과 건물내용물의 홍수피해율과 영향인자간의 관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적합한 홍수피해 손상함수를 개발하고 적용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홍수로 인한 주거건물의 피해에 영향을 주는 대표 인자는 건물내 침수심과 출입구 높이로 평가되었으며, 건물내용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건물내 침수심, 이송잡물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건물과 내용물에 대한 손상함수를 건물내 침수심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손상함수는 국내 홍수피해 평가 모델인 다차원법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주거건물 피해액은 다차원법이 크게 산정되었으며, 건물내용물 피해액은 손상함수가 크게 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주거건물과 건물내용물의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결과는 홍수피해 저감 대책 수립 및 향후 홍수피해를 추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uilding Boundary Extraction of Airborne LIDAR data by Image-Based and Point-Based Data Analysis (영상 및 점기반 자료처리에 의한 항공 라이다 자료의 건물경계추출)

  • Kim, Eui-M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43-52
    • /
    • 2009
  • LIDAR data, as the source of the 3D information of buildings, are used many modeling fields such as three-dimensional city models in urban planning and the visibility analysis of building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hat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image-based and point-based process, for minimizing the user's intervention and automatically extracting building boundary only using the LIDAR data. Image processing methodology is firstly used to separate building and non-building regions from LIDAR data. Moreover, building regions are then classified main roof into remaining parts b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height values, and the remaining parts are processed separately.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tudy areas which exist many types of buildings, for example, apartment-type, stair-type, complex-type, etc. Approximately 90% building boundaries are automatically extracted by the proposed methodology.

  • PDF

Optimal Compensation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in Tall Buildings for Multi Column Groups (고층건물의 멀티 기둥그룹에 대한 부등기둥축소량의 최적보정기법)

  • Kim, Yeong-Mi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1 no.2
    • /
    • pp.189-197
    • /
    • 2008
  • This study presents optimal compensation algorithm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for more than two column groups. The proposed algorithm produces the minimum story groups and their compensation thicknesses which satisfy constraint conditions on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and enables not only the relative compensation but also the mixed compensation considering absolute shortening. The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is used as the main optimization techniqu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the 61-storey building where compensation of differential column shortening had already been performed.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compensation was performed easily and the number of compensation was less than the field method.

Study on Method for Measuring Partial Hausdorff Distance between Spatial Objects for Updating GIS OB (GIS DB 갱신을 위한 공간 객체간 Partial Hausdorff Distance 측정 방법 연구)

  • Bang, Yoon-Sik;Huh, Yong;Choi, Jae-Wan;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19-42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건설도면의 건물 경계선을 이용하여 기존 지형도의 건물 레이어를 자동 갱신하는 과정에서 건물 객체간 유사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Hausdorff 거리 측정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서로 다른 축척에 의하여 발생하는 형상의 세일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partial Hausdorff 거리를 적용하였다. 이 때 partial fraction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으로 폴리곤 절점, 경계선 길이, 폴리곤 면적을 이용한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기준을 실제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경계선 기준과 폴리곤 면적 기준 방법이 절점 기준에 비하여 안정적이라는 것과, 적용 기준에 따라 적절한 partial fraction 값을 사용하면 잡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ase Study of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using Photovoltaic Power and Geothermal Heat Pumps (태양광 및 지열히트펌프를 적용한 건물냉난방 사례)

  • Kim, Jin-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693-1695
    • /
    • 2005
  • 최근 공공건물에 신재생에너지 적용이 의무화되었고, 기후변화협약의 발효로 이산화탄소배출 절감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가장 효율이 높은 냉난방 시스템인 지열히트펌프를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구동하여 건물을 냉난방을 수행하도록 적용되었다. 야간 또는 태양에너지 밀도가 낮은 날을 위하여 축열과 축냉을 할 수 있는 수축열시스템과 연계하여 적용되었다. 지열히트펌프는 도심지역의 열섬현상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외기 온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향후에 그린 빌딩인증등을 위해 에너지 절약과 신재생에너지 사용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이를 적용한 설치 사례에 대한 사양과 운전 조건이 제시된다.

  • PDF

Establishment of 2-Dimensional Flood Inundatio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Building Effects (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제내지에서의 2차원 침수해석 기법 확립)

  • Cho, Wan-Hee;Han, Kun-Yeun;Ha, Chang-Yong;Kim,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39-7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확산파 기반의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울산광역시 태화강 유역에 대하여 침수시 건물 안으로의 흐름은 없다는 가정 하에서 건물로 인한 흐름의 양상, 침수심, 침수위등을 분석하였다. 지형자료는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는 1m 간격으로 수집된 LiDAR 자료를 바탕으로 10m간격의 정형격자를 통하여 지형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수치지도로부터 추출된 건물을 ArcView 등의 GIS Tool을 활용하여 LiDAR 자료와 합성하여 2차원 침수해석에 적용되는 지형자료를 구성하였다. 200년 빈도의 확률강우에 대한 유출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FLDWAV 모형을 적용한 태화강에 대한 1차원 하천해석을 실시하였고, 제방파제에 대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파제에 따른 외수범람에 대한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침수해석 결과를 각 시간별로 가시화함으로써 효율적이며 정확한 침수해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침수해석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침수면적에 따른 적합도가 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결과 90%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침수심과 침수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침수심은 건물 영향 고려시 낮게 산정되나 침수위로 고려시 높은 수위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rone for Building Condition Inspection (건물 상태점검을 위한 드론의 활용)

  • Yeo, Sang-Sam;Kim, Jun-Young;Joen, Hwa-Yeol;Bae, Chang-Ho;Park, Sang-Mii;Han, Do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85-186
    • /
    • 2021
  • 기존의 건물 점검은 사람이 직접 들어가 확인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탐사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드론과 아두이노를 이용한 센서를 적용하고자 한다. 건물 점검은 사람이 직접 들어가 확인하는 만큼 안전 수칙을 지켜가며 실시해야 하지만, 불편함이나 귀찮음을 핑계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지켜지지 못한 안전 수칙에 더불어, 건물의 직접적인 상태를 미리 알지 못하고 진입하게 됨으로 발생하는 인명피해는 불가피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어려운 조작의 드론에 호버링이 가능하게 하는 옵티컬 플로어 센서를 장착하여 조작을 보다 쉽게 하고 아두이노의 센서를 적용한 '건물 탐사 드론'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드론과 다르게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해 건물의 점검을 대신하고, 센서들의 값을 앱으로 전송받아 핸드폰으로 받아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