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에너지 절감

Search Result 2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Concept and Modeling of Zero Energy House(ZEH) (Zero Energy House(ZEH) 개념 및 설계 모델링에 관한 연구)

  • Jeon, Jeong-Pyo;Kim,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184_2185
    • /
    • 2009
  • 오늘날 세계 여러 국가에서 에너지 소비 절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중 상당량을 차지하는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 특히 주택에서의 에너지 절감 대안중 하나인 Zero Enegy House에 대해 알아보고 설계시 고려사항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가정용 에너지관리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쾌적환경제어 및 에너지 절감제어 응용(쾌적과 에너지 절감의 협조제어, VAV제어, 외기취입제어에 관하여)

  • 조추영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2
    • /
    • pp.32-40
    • /
    • 2004
  • 지구환경보호 관점에서 건물공기조화도 에너지 절감과 쾌적한 실내환경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BAS(빌딩오토메이션)로 실현하는 쾌적환경과 에너지 절감제어 응용에 관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쾌적한 에너지 절감제어 쾌적제어 (1) 협조제어 쾌적, 에너지절감, 운영경비절감 등 다양한 목적을 조화롭게 실현하는 제어이다. 예를 들면 쾌적하고 에너지절감제어에서는 여름철 냉방이나 겨울철 난방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무효한 에너지 사용을 억제하면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 방법이다.(중략)

  • PDF

Design of Remot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on 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반의 원격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Kim, Tae-Hyung;Jeong, Yeon-Kwae;Lee, 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110-1112
    • /
    • 2015
  •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20% 이상을 차지하는 건물 분야는 정부의 정책과 제도적인 지원 하에 에너지 절감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3000m^2$ 이상의 중대형 건물의 경우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기반의 건물에너지 관리가 의무화 될 예정이다. 하지만 기존 BEMS의 경우 특정 기업에 의한 단독 솔루션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BEMS간 데이터 상호호환성을 보장하지 않고, 단순 모니터링 기능에 의존하여 저장/관리 되지 않고 버려지는 데이터들이 많아 차후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과거 데이터를 통한 분석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물에너지 통합관리 측면에서 원격지에 설치된 다양한 BEMS들의 센서/미터 데이터들을 웹을 통해 수집하고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관리되며 건물에너지 통계, 분석 및 진단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반의 원격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에 대해 서술한다.

에너지 절약형 건물에너지 해석을 위한 설계 요건

  • 이의준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8
    • /
    • pp.41-45
    • /
    • 2003
  •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계.전기.설비 및 건축분야의 최적 설계 요건을 미국의 ASHRAE 90.1 및 캐나다의 C-2000 요건에 근거하여 한국형 설계요건 K-2000을 제시한다.

  • PDF

Design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Platform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Kim, Tae-Hyung;Jeong, Yeon-Kwae;Lee, 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80-581
    • /
    • 2016
  • 국제적으로 지속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 절감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20%이상을 차지하는 건물(가정/상업/공공)부문에서는 에너지 진단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과 건물 자동화 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 그리고 다양한 환경정보들을 수집하여 활용한다. 하지만 기존 분석 방식은 결과의 신뢰성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데이터 관리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기존에 수집된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샘플링하는 사전 정제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하지만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면 더 이상 신뢰성을 낮추면서까지 데이터를 정제할 필요가 없어지고, 수집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분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의 한계로 기존 건물에너지 진단 및 분석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분석 및 진단 서비스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에 대해 서술한다.

A Study on the Non-residential Building Envelope Remodeling for Energy Efficiency (비주거용 건물의 외피 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성능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Jang, Hyun-Sook;Lee, Sa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6
    • /
    • pp.3-12
    • /
    • 2012
  • The slowdown of private building industry resulted in growth of remodeling market as a way to improve energy performance. Remodeling is considered more cost-effective and eco-friendly approach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 than new construction. Since 2008, Seoul has promoted Building Retrofit Project (BRP) preponderantly to attract energy-saving renovation by supporting building owners to switch building system into energy-saving system when they remodel their old buildings. According to 2012 press release, 254 Private sectors participated in this green building project and annually reduced 41000t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14000TOE, which also result in 7.5 billion won energy cost savings per year. The paper focuses on the building envelope remodeling as a way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Different components of the building envelope such as wall insulation, window, and shading, were applied to the baseline model and the comparison was analyzed to come up with the ideal solution. This study only assesses the building envelope as to suggest the way to redesign the better energy performing building. Offering solution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feature is essential because it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standard when remodeling a building for energy efficiency, especially, for the nonresidential buildings used as rental offices.

ESCO Column 1: 인버터 구동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펌프의 에너지 절감 방법

  • Im, Myeong-Hwa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5
    • /
    • pp.14-17
    • /
    • 2010
  • 건물이나 공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계 중의 하나가 유체 기계인 펌프와 송풍기다. 이러한 기계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버터가 있다. 이는 어떤 신호를 받아 주파수를 변화시켜 유체기계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 소비동력을 줄여주는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다. 목포해양대학교 실습선 사례를 통해 인버터 구동방식에 의한 실습선 냉각수 펌프의 에너지 절감 방법을 알아본다.

  • PDF

BRP, Building Retrofit Project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 서울시 맑은환경본부 에너지정책담당관 이창학 과장)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7
    • /
    • pp.52-55
    • /
    • 2009
  •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BRP, Building Retrofit Project)은 건물 소유자 또는 에너지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에너지 사용실태와 낭비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에너지 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참고하여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 및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설개선사업이다. 이를 통해 2013년 도쿄의정서를 대비하고 앞으로 서울을 친환경적 세계도시로 조성해 나가기 위해 앞장서고 있는 서울시의 맑은환경본부 에너지정책담당관 이창학 과장을 만났다.

  • PDF

그린ICT 융합 S/W 사례: 에너지통합최적 운영시스템 개발

  • Yu, Seo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7
    • /
    • pp.8-14
    • /
    • 2014
  •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에너지부족문제에 대한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에너지 사용급증은 에너지 부족문제 초래뿐만 아니라 화석사용연료 사용 급증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증가 및 에너지 비용증가가 국가적 이슈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기관들에서는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별도의 관리자 및 운영비용이 들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이득에 비하여 비용에 대한 혜택이 없는 중소형 건물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KT 융합기술원에서는 에너지통합운영시스템이 개발하였으며, 중소형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에서는 다수의 건물 관리가 가능한 건물통합에너지관리 최적운영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3D BIM-based Building Energy Efficiency Solution for Carbon Emission Reduction (탄소저감을 위한 3D BIM 기반 건물 에너지 효율화 방안)

  • Lee, Dong Hwan;Kwon, Kee Jung;Shin, Ju Ho;Park, Seung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1235-1242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energy performance analysis implemented in EnergyPlus. The BIM model constructed at Revit is updated at Design Builder, adding HVAC models and converted compatibly with the EnergyPlus. We can obtain the input values about HVAC system and building environment such as HVAC system efficient, the number of air changes and energy consumption of equipment on applying GAs (Genetic algorithms). After modification about HVAC system, Optimization about HVAC system energy consumption can be analyzed. In order to maximize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 genetic algorithm (GA)-based optimiz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the modified HVAC models. Throughout the proposed building energy simulation, finally, the best optimized HVAC control schedule for the target building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supply air temperature schedule". Throughout the supply air temperature schedule is applied to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we obtained energy saving effect result on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