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에너지

Search Result 1,44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to Construct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Building Energy (건물 부문의 에너지 관리체계 구축수립 기본 방안에 관한 연구)

  • Yoo, Jung-Hyun;Kim, Jong-Yeob;Hwang, Ha-Ji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379-385
    • /
    • 2011
  •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is given a sizable portion in total national energy conservation and if current trends continues, energy conservation level will rise as level of developed country. For this reason, a basic plan is propose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manage energy conservation of buildings using a link with energy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onducted by building energy expert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jects along with time schedule and demands level of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o investigate study on energy usag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ituation the management architecture of energy supplier is also studied.

ESCO사업의 새 장을 연다! - 신축건물 ESCO 사업$\cdots$원천적인 에너지절약 유도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33
    • /
    • pp.38-39
    • /
    • 2005
  • 건실한 전문건설업체 ㈜금강종합건설이 최근 ESCO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에너지절약사업에 들어갔다. 국내에너지소비량의 $25\%$를 차지하는 건물부문의 에너지절약을 위해 신축건물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원천적인 에너지절약을 유도하겠다는 금강종합건설은 건설업계의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를 ESCO사업에 적극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ESCO사업부의 이운조 이사를 만나 앞으로의 사업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 PDF

Applying Responsive Web Design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im, Kyu Ri;Lee, Hyun Ju;Na, Hyung Seon;Jung, Hwa Young;Lee, Y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421-424
    • /
    • 2013
  •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전력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건물의 전력 소비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력 소비량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과거, 현재, 미래의 전력 소비량을 통계 자료로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전력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였다. 그렇지만 기존의 시스템에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 소비량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부하 예측을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하여 여러 모바일 기기로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건물을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건물에서 유지되어야 할 목표 온도, 건물 전력 소비량에 대한 과거 데이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하여 부하 예측을 하고, 다양한 전력 소비량 통계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를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BEM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Energy Monitoring(Measuring) of New Building (신축건물 에너지효율관리를 위한 환경 및 에너지모니터링(계측) 방법론)

  • Kwon, Won Jung;Yoon, Ji Hye;Kwon, Dong Myung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7 no.2
    • /
    • pp.32-48
    • /
    • 2018
  • Monitoring of energy use should be a priority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building energy use. Energy use in buildings can be managed by dividing them into energy sources, uses, and ZONE. By energy source, electricity, gas, fuel, and district heating are supplied to run the building's facilities. The purpose can be divided into five main applications, including cooling, heating, lighting, hot water and ventilation, but not many elevators and electric heaters that are difficult to include in the five applications are classified. ZONE Star refers to the comparison or separate management of areas for which the purpose of the building is similar or different. In addition,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requires control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eople who will be measuring energy in the building, and the recent problem of fine dust should directly affect the ventilation of the building.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ensing locations for a high-rise building using displacement participation factor and strain energy density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활용한 고층 건물의 센싱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Hong-Min;Park, Sung-Woo;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7-220
    • /
    • 2009
  • 고층 건물에 대한 구조 안전성 모니터링은 건물 특성상 계측 대상 부재가 많고 하중과 구조반응의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센싱 위치 선정의 어려움으로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층 건물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구조반응 계측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 에너지 이론에 근거한 부재의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 개념을 도입하였다. 보, 기둥, 코어 전단벽, 그리고 아웃리거로 구성된 고층 건물을 대상으로 풍하중에 대한 부재 종류별 부재의 변위기여도 및 변형에너지밀도를 확인하고 전체 구조물의 거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고층 건물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센싱 위치를 예상해보았다.

  • PDF

Design of Commissioning System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using Facility Working Database (설비 작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건물 에너지 커미셔닝 시스템 디자인)

  • Choi, Jongwoo;Jeong, Youn Kwae;Lee, Il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574-576
    • /
    • 2015
  • 커미셔닝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커미셔닝 시스템의 디자인에 대해 서술한다. 건물 내에 존재하는 각 설비에 센서를 설치하는 것에 더하여 센서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설비 작동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설비 작동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기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커미셔닝 시스템은 전체 건물의 에너지 사용 환경을 분석한다. 커미셔닝 시스템 엔진의 분석결과는 건물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더 나은 건물 에너지 관리를 가능케 한다.

Design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Platform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Kim, Tae-Hyung;Jeong, Yeon-Kwae;Lee, 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80-581
    • /
    • 2016
  • 국제적으로 지속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 절감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20%이상을 차지하는 건물(가정/상업/공공)부문에서는 에너지 진단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과 건물 자동화 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 그리고 다양한 환경정보들을 수집하여 활용한다. 하지만 기존 분석 방식은 결과의 신뢰성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데이터 관리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기존에 수집된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샘플링하는 사전 정제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하지만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면 더 이상 신뢰성을 낮추면서까지 데이터를 정제할 필요가 없어지고, 수집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분석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의 한계로 기존 건물에너지 진단 및 분석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분석 및 진단 서비스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건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에 대해 서술한다.

에너지 절약형 건물에너지 해석을 위한 설계 요건

  • 이의준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8
    • /
    • pp.41-45
    • /
    • 2003
  •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계.전기.설비 및 건축분야의 최적 설계 요건을 미국의 ASHRAE 90.1 및 캐나다의 C-2000 요건에 근거하여 한국형 설계요건 K-2000을 제시한다.

  • PDF

건물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기상자료의 국내외 현황

  • 윤종호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8
    • /
    • pp.7-14
    • /
    • 2003
  •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결과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가장 먼저 확인하는 요소 중의 하나가 어떠한 기상데이터를 적용했는가일 것이다. 아쉽게도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공인된 표준기상자료가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해석결과의 객관성 확립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고에서는 건물에너지 성능평가를 위한 시간별 기상자료를 대상으로 국외 및 국내의 개발현황을 고찰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에너지 관리와 건물의 조절장치

  • 김효경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9 no.1
    • /
    • pp.39-49
    • /
    • 1980
  • 이 보고서는 각종형태의 건물에 있어서 에너지 관리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며, 건물의 공기조화를 위한 에너지의 사용방법과 그 관리에 중점을 두고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