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소화율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3초

초기 비육돈에서 생균제 첨가 급여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내 Lactobacillus와 Escherichia coli 농도, 분으로부터의 유해가스 발생량 및 혈중 혈액세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biotics in Die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Count, Noxious Gases Emission from the Feces, and Blood Profile in Early-Finishing Pigs)

  • 정지홍;홍성민;김효진;멍칭웨이;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23-28
    • /
    • 2010
  • 본 연구는 생균제가 첨가된 사료 급여시 초기 비육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내 Lactobacillus와 Escherichia coli 농도, 분으로부터의 유해가스 발생량 및 혈중 혈액세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시 체중이 56.48 ${\pm}$ 1.66 kg인 3원 교잡종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초기 비육돈 60 두를 공시하여 28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ON (basal diet), 2) P1 (CON + 0.1% probiotics) 및 3) P2 (CON + 0.2% probiotics)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생균제 첨가 처리구 P1과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소화율은 P2 처리구가 CON과 P1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질소소화율에는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에너지 소화율은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Lactobacillus에 있어서는 처리구 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Escherichia coli에서는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분내 암모니아(Ammonia), 황화수소 ($H_2S$) 및 메캅탄(Mercaptan)의 농도는 생균제가 첨가된 P1과 P2 처리구들이 CON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 .05). 그러나, Acetic acid에서는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적혈구, 백혈구 및 임파구의 혈중농도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초기 비육돈에 있어 Agariemycetes 0.2%의 첨가급여는 사료효율, 건물 및 에너지 소화율, 분내 Escherichia coli 수 및 악취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돈사의 유해가스와 악취를 줄여 그에 따르는 생산성 감소 및 질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육성돈사료에 Lactobacillus brevis의 첨가가 성산성, 건물과 질소 소화율, 혈구수 및 분 내 악취 발생 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actobacillus brevi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Dry Matter and Nitrogen Digestibilities, Blood Cell Counts and Fecal Odor Emission Compounds in Growing Pigs)

  • 진영걸;민병준;조진호;김해진;유종상;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03-512
    • /
    • 2006
  • 본 시험은 육성돈 사료내 생균제 (Lactobacillus brevis, 3.4×108 CFU/g)의 첨가, 급여가 생산성, 건물과 질소 소화율, 혈구수 및 분 내 악취 발생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개시시 체중 24.60±1.28kg의 3원교잡종 [(Landrace×Yorkshire)×Duroc] 육성돈 96두를 공시하여 42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내 생균제를 첨가하지 않은 CON (basal diet), 생균제를 0.2% 첨가한 LB1 과 생균제를 0.4% 첨가한 LB2의 3개 처리구로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시험기간동안의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서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질소 소화율에서 LB1 과 LB2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linear effect, P<0.05). 그러나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혈액내 WBC, RBC 및 lymphocyte 함량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및 황화수소의 함량은 LB2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linear effect, P<0.05). 분내 acetic acid 와 propionic acid 함량에서는 BMS2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linear effect, P<0.05), butyric acid 에서는 각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육성돈 사료내 0.4%의 Lactobacillus brevis (3.4×108 CFU/g) 첨가는 질소 소화율 향상 및 분내 악취 발생 물질 함량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DN/CP 비율에 의한 영양소 공급이 젖소 육성우의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위 발효 및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DN/CP Ratio on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Replacement Dairy Heifers)

  • 김겸헌;김현진;황원욱;김수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53-162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4.6:1(T1)과 4.3:1(T2)의 비율로 생후 13개월령 육성우에게 급여하여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 위액 특성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9.0kg/day로 동일하였으며, 조단백질 섭취량은 T1이 1.34kg/day, T2가 1.45kg/day로 T2가 조금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은 T1이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섭취 후 4시간째 위액의 pH, ammonia-N, VFA 농도를 비교한 결과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반적인 VFA 수치는 TDN/CP 비율에 따라 큰 영향이 없었으나 T1 처리구에서 iso-butyrate, iso-valerate 및 A/P ratio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혈액 특성에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DN/CP 비율이 4.3:1과 4.6:1 수준은 반추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소화율과 비교하였을 때 생후 13개월령 육성우 시기에는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이 증가되는 4.6:1 수준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소분해효소 발효액의 첨가가 In vitro 발효 및 거세한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queous Fibrolytic Enzyme Products Supplementation on In vitro Ferment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Steers)

  • 국길;정완태;박홍석;장기영;이지웅;문승주;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39-44
    • /
    • 2009
  • 본 연구는 목재부후균 유래 $\beta$-글루코시다제, 엑소글루카나제 및 엔도글루카나제 유전자를 함유한 형질전환체 효모를 배양한 액상섬유소분해효소에 대하여 인공반추위 배양시험을 통해 완전혼합사료에 대한 적용 수준 조사와 더불어 한우 비육 거세우의 사양시험을 통해 2 종류의 액상섬유소분해효소를 완전혼합사료에 1.0%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여 가축의 성장, 영양소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1. 인공반추위 배양시험을 통해 완전혼합사료에 대한 액상 섬유소분해효소 첨가에 의해 pH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휘발성지방산에서 acetate 비율이 배양 12와 24시간에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총휘발성지방산 농도 역시 배양 12와 24시간에 유의적으로(p<0.05) 증가시켰으며 1.0% 첨가구에서 효과적이었다. 건물소화율은 배양 24시간에 액상 섬유소분해효소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2. 한우 거세우 사양시험에서는 액상 섬유소분해효소 급여에 의해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이 개선되는 경향이었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DM, 조섬유, NDF 및 ADF 소화율이 액상 섬유소분해효소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따라서 인공반추위 배양시험을 통해 액상 섬유소분해효소 1.0% 첨가가 비교적 반추위발효 양상을 개선시키었으며, 한우 사양시험에서도 2종류의 액상 섬유소분해효소 1.0% 급여가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 개선효과가 있었다.

이유자돈 사료 내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첨가수준이 사양성적, 영양소소화율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Hermetia Illucen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ing Pigs)

  • 최요한;윤세영;전세민;이재영;오승민;이승형;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55-261
    • /
    • 2019
  • 본 시험은 이유자돈 사료 내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사용 수준에 따른 성장, 영양소소화율 및 경제성을 평가하여 이유자돈 사료 내 동애등에의 적정 사용수준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시험을 위해 총 192 두의 이유자돈($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6.51{\pm}0.15kg$)을 공시하여 4 처리 6 반복, 반복당 8 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처리구는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하여 기초사료 내 동애등에를 각각 1, 2 및 3% 첨가하였다. Phase I, II 및 overall의 사양성적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overall의 일당증체량에서 동애등에 첨가 수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건물 소화율이 동애등에 첨가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항목에서 유의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제성 분석에서 overall의 총증체량이동애등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 < 0.05), 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사료 내 동애등에의 첨가는 경제성의 영향 없이 이유자돈의 성장과 건물 영양소소화율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며, 이는 이유자돈 사료 내 3%까지 사용이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

밤 가공 부산물의 반추가축용 사료 가치 평가: in vitro 반추위 배양 (Evaluation of nutritive value of chestnut hull for ruminant animals us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 정신용;조현선;박기수;강길남;조남철;서성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35-340
    • /
    • 2012
  • 밤의 가공과정에서 임업 부산물로 생산되는 율피(밤껍질)는 밤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며, 사료비 저감을 위한 반추동물의 사료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밤의 가공 부산물인 1, 2차 율피의 반추동물용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와 반추위 발효 특성을 분석하기 하기 위해 1, 2차 율피의 영양소를 분석하고, 48시간 동안 in vitro 반추위 발효 실험을 실시하여 율피의 첨가 수준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 및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In vitro 실험의 기본 사료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유산양 TMR을 이용했으며, 기본 사료와 1차 율피 및 2차 율피의 비율을 달리하여 13개의 처리구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2차 율피 100%, 1차 율피 100%, 2차 율피와 1차 율피의 1:1 혼합구, TMR 100% 및 TMR을 2차 율피, 1차 율피 또는 1, 2차 율피 혼합으로 각각 5%, 10%, 15% 대체한 처리구이다. 율피의 일반 성분분석에서 1차 율피는 2차 율피에 비해 섬유소(NDF, ADF, 리그닌)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고 이에 따라 비섬유소탄수 화물의 함량은 낮으나, 그 외의 영양소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71.97%)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42.80%)가 가장 낮았다. 2차 율피의 첨가 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건물소화율은 변화가 없었으며, 1차 율피의 첨가에 따라서는 소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스 발생량은 2차 율피 처리구에서 48시간 가스 발생량 및 발생 속도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TMR을 율피로 15%까지 대체하였을 때 가스 발생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H 또한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6.33)에서 가장 낮았고, 1차 율피(6.50)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2차 율피는 반추동물의 사료 자원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며, 1차 율피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료가치가 떨어지나 조사료를 일부 대체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율피의 사료 가치를 보다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물을 이용한 in vivo 대사, 소화, 성장 및 기호성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심각한 열스트레스에 의한 육성기 거세한우의 사료 소화율 변화 탐색 및 유지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 설정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Feed Digestibility and Establishment of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of Growing Hanwoo Steers under Severe Heat Stress)

  • 조유경;최성호;한옥규;박정현;최창원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63-172
    • /
    • 2016
  • 우리는 심각한 열스트레스 및 서로 다른 사료 에너지 급여가 사료 소화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심각한 열스트레스 조건에서 유지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을 설정하기 위해 한우 육성기 거세우 4두(평균체중 200±11.7kg)를 이용하였다. 사료 처리는 서로 다른 에너지 공급을 위해 4 시험구(TDN 기준, 쾌적한 상태 하에서 한국사양표준 한우 육성우 에너지 요구량의 100%(대조구), 심각한 열스트레스 하에서 에너지 100%(E100), 115%(E115), 130%(E130)로 나누어 4×4 라틴 방각법으로 수행하였다. 온도 및 습도에 노출한 열스트레스 조건을 위해 대조구는 쾌적한 온습도지수(THI)=71.5, 나머지 3개 처리구는 THI=81.4로 심각한 스트레스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심각한 열스트레스는 진정 건물소화율을 유의적으로(p<0.05) 감소시켰으며(대조구 81.5 vs E100 79.1, E115 77.0 및 E130 76.0%), 사료에너지 공급 수준의 증가는 건물소화율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열스트레스 및 서로 다른 사료 에너지 급여 수준은 혈중 생리대사물질 함량 및 체온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심각한 열스트레스 하에서 육성기 한우거세우의 유지를 위한 에너지 요구량은 Y=0.235X+115.03과 같은 산정식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육성기 한우거세우에게 열스트레스 하에서 체중변화없는 유지 에너지 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사양표준 대비, 사료에너지 15.03%를 더 공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옥수수 가공 방식이 반추위 소화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n Processing Method on Degradabi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Rumen of Hanwoo)

  • 안준상;강동훈;박보혜;정기용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127-137
    • /
    • 2024
  • 본 연구는 옥수수의 가공 방식이 한우의 반추위 발효특성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재료는 분쇄 옥수수(1mm) 및 옥수수 후레이크(600초-105℃-3mm)를 이용하였으며, 공시동물은 평균체중이 327 ± 41kg인 한우 암소 3두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건물, 전분, NFE 및 NFC의 소화율은 옥수수 분쇄 처리 보다 후레이크 처리에서 더 높았으며, 배양 3시간부터 24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P<0.05). 배양 3시간의 반추위 pH는 분쇄 옥수수에 비해 후레이크 처리에서 낮았으나 48시간 동안의 평균 반추위 pH는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평균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및 부티르산 생성량은 분쇄 옥수수에 비해 후레이크 처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옥수수의 후레이크 가공은 분쇄 가공에 비해 반추위 내에서 이용효율을 개선시켜 영양소 소화율 향상과 휘발성지방산 생성량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otal Mixed Rations Containing Different Winter Forage Crop Silages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9-398
    • /
    • 2009
  •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을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일당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동계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의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T1: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T2: 유채사일리지 첨가구, T3: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T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 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섭취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및 ADF 가소화 섭취량 또한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1일 증체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 조단백질 및 섬유소 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질소섭취량과 질소축적율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동계사료작물 중 유채 사일리지 첨가시 사료 섭취량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분해효소를 이용한 환경친화성 육성돈사료개발 (Development of Growing Pig Diets for Friendly Environment by Using Phytase)

  •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승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5-258
    • /
    • 2000
  • 본 연구는 육성돈에 있어 인분해효소인 phytase의 첨가가 환경친화성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영양소 이용률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옥수수-대두박의 육성돈 사료이고,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Phytase의 첨가 수준을 500 unit 및 1,000 unit을 첨가한 구로 3×3 Latin Square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건물과 질소에 대한 소화율에서는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회분, 칼슘 및 인의 소화율의 경우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돼지가 섭취한 인의 양은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인의 흡수량에서 phytase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분과 뇨의 총 인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칼슘의 섭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칼슘의 분 배설량은 각 처리구간에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뇨의 배설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적은 양이 배설되었다. 소화된 아미노산 중 cyst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소화율이 현저히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Asparagine, threonine, serine, methionine, leucine의 경우 phytase를 500 unit 첨가한 구가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한편 lysine, histidine, arginine 등의 다른 아미노산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약간의 소화율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인분해효소 phytase를 사료내 첨가하므로서 분중 영양소를 줄일 수 있는 환경친화성 사료를 개발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는 안경집과 이것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마련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형성된 케이스로 구성된다.로 금형설계 및 제작기간을 단축하고자 한다.ere demonstrated in rats after i.c.v., intraperitoneally and orally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antiepileptical effects by the combination of compounds from ginseng; were compared with the iuluence of Rg1, Rb1, Rc and with the well known antiepileptical drugs such as carbamazepine, valproic acid. The base for the research is obtained by using the WAG/Rij strain (Luijtelaar, Coenen, Kuznetcova), an excellent genetic model for human generalized absence epilepsy. The improving action of gensinosides was effectively demonstrated on the model of electrical kindling of amygdala of WAG/Rij rats with genetically determined absences, and the influences of ginsenosides on the slow wave discharges have also been being investigate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 kindling process exerted in the sex-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