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관련 삶의 질

검색결과 829건 처리시간 0.027초

구강기능향상운동과 노인의 구강기능 및 의치만족도와의 관련성 (Effects of Oral Exercise on Oral Function and Dentur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김주영;문원숙;이경수;황태윤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3호
    • /
    • pp.158-170
    • /
    • 2015
  • 이 연구는 구강기능향상운동을 통한 의치사용 노인들의 구강기능의 향상과 의치만족도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2013년 9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경상북도 청송군 관내 경로당 13개소에서 실시되었다. 구강기능향상운동 프로그램 실시군 79명과 미실시군 71명을 대상으로 구강기능, 의치만족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강기능은 실험군에서 타액분비량이 사전보다 사후에 $1.53m{\ell}$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개구량은 사전보다 사후에 0.33 cm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또한 발음은 사전보다 사후에 6.91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미각 기능도 0.52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실험군과 대조군의 타액분비량, 개구량, 발음의 개선 정도 및 미각의 두 군 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의치만족도는 실험군에서 고정기능 만족도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0.32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일반적 치료 만족도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0.26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의치만족도 총점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0.22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실험군과 대조군의 저작기능 만족도, 고정기능 만족도, 일반적 치료만족도, 의치만족도 총점은 두 군 간의 변화량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사회적 불리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총점에 있어서 두 군 간의 변화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로 구강기능향상운동이 의치사용 노인의 구강기능 개선과 의치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서울지역 치과위생사의 삶의질(Quality of Life)에 관한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in Seoul)

  • 김연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3
    • /
    • 2005
  • 본 연구는 치과에 근무하는 여자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건강과 관련된 생활양식을 바람직하게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보다 나은 삶의 질 개선 및 치과위생사들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 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의 만족도는 평균 $3.1{\pm}0.4$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사회여건 만족도($3.2{\pm}0.5$)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조직여건 만족도($3.1{\pm}0.6$), 개인여건 만족도($3.1{\pm}0.5$)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평균 $2.5{\pm}0.4$이었다. 하위 영역별로 위생적 생활($3.2{\pm}0.4$)이 가장 높았고, 전문적인 건강관리($1.73{\pm}0.5$)가 가장 낮음을 보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이 증가할수록(P=0.0035), 학력이 높을수록(P=0.0111), 소득이 높을수록(P<0.0001), 미혼 보다는 기혼(P=0.0016)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이 많을수록(P=0.0014), 지각된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할수록(P<0.0001) 삶의 질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행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P<0.0001), 학력이 높을수록(P=0.0011), 소득이 높을수록(P<0.0001), 미혼 보다는 기혼(P=0.0002)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이 많을수록(P<0.0001), 지각된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할수록(P<0.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변수의 설명력은 37.6%로 나타났고, 건강증진 생활양식, 소득, 지각된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 치과위생사를 대표하기에 무리가 따를 수 있다. 일반화를 위해서는 대상자 수를 늘리는 것 외에도 각 지역별로 표본을 선정한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서 향후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역할을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직척추염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 (The Differenc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nkylosing Spondylitis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 장애리;장금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15-623
    • /
    • 2016
  • 본 연구는 강직척추염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5년 1월 13일부터 2월 12일까지 G광역시 C대학병원에 강직척추염으로 진단받고 최소 4주이상의 안정적인 약물을 유지중인 만 19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75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test, multiple regression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p=.008), 직업유무(p<0.001), 동반질환 수(p<0.001), 수술유무(p=0.002), 증상 발현 후 기간(p=0.010), 진단 후 기간(p=0.027), 음주(p=0.002), 적혈구 침강속도(p=0.049)는 강직척추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육수준, 수입, 동반질환 수, 음주가 유의미한 변수였다. 결론적으로 강직척추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함과 동시에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임상학적 특성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이러한 통합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실제적인 근거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신민우;이영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00-511
    • /
    • 2016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 정신적 기능(CES-D, MMSE-K) 및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있는 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정신적 기능(CES-D, MMSE-K)은 신체적 기능(ADL, IADL)이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보다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기능과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정신적 기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The Effect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Older Adul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황미구;김은주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865-885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의한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8,315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 전체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자아존중감 및 우울은 모두 자살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신체적 병력 유 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고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인의 삶의 질, 자아존중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자살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신체적 병력을 가진 노인의 우울이 신체적 병력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가장 강력하게 자살사고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울은 자살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정신건강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노인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행위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s)

  • 한정희;염영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9-189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46 people 65 years or older.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acute{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presence of a spouse, subjective health status, presence of chronic disease and existing number of teeth explained 14% (F=7.76, p<.001) of variance i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The control variables,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collectively explained 20% of variance i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he factors that influenc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presence of spouse presence factor, existing number of teeth and health behavior. Therefor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boost the quality of life, and help the elderly people to maintain existing number of teeth by focusing on the variety of characteristics.

중년여성의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 (Yangsae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iddle Aged Women)

  • 김애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7-30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Yangsaeng and HRQOL in middle aged women. Yangsaeng as a traditional health care regimen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nd prevention of illness by means of specific principles and methods, which purpose was to improve longevity and healthy lif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middle aged wome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Yangsaeng according to age, stress and working hou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QOL according to stress and working hours. The relationship between Yangsaeng and HRQ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Mind and diet Yangsaeng, christianity, and working hou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24.6%) of HRQOL. Conclusion: To promote HRQOL of middle aged women, the nurse should focus on the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when she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구강건강증진과 구강질환치료가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EQ-5D와 HINT-8에 미치는 영향 :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Effect of oral health promotion and oral disease treatmen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s EQ-5D and HINT-8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유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1-62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s that promote oral health and those that treat oral disease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 A total of 3,338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before applying oral health promotion (OHP; 1,132 persons) and oral disease treatment (ODT; 2,206 persons).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HP and OD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OHP and ODT on the quality of life, which are indicators of the quality of life, HINT-8 had a significant effect even in Model 2, adjust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persons who promote or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NT-8, a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for Koreans. Therefore, continuous oral care is requir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 및 구강건강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 정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589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stribu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and oral health was analyzed using complex-sample chi-square tes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by calculating the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striction of activity, perceived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perceived stress, and speech difficulties. Further, i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lower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striction of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walking days per week, life time smoking history, Community Periodontal Index, and chewing and speech difficulties. Conclusions: The elderly are concerned with self-maintenance of general and oral health. Therefore, systematic policies related to health services need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at the national level.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take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 more continuous and professional approach in their health care.

u-Healthcare 기반의 u-FitWellness 시스템 서비스 (u-Healthcare Based u-FitWellness System Service)

  • 김태욱;오해석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487
    • /
    • 2007
  • u-Health 관련 보건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와 건강 및 사전 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온라인을 통한 상담, 정보제공, 동영상 서비스 및 e-commerce등 건강 관련 서비스 시장 확대가 되고 있다. 국내 의료산업은 원무행정 분야에 대한 초기 정보화 단계에 있으며, 대학/종합 병원들의 IT예산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중소형 병/의원/약국의 경우 IT 투자예산 확보 문제가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해 u-Health와 Wellness를 통합 함으로서 BT, NT 및 IT 관련 기술을 활용하여 u-Fitwellness 시스템을 구축 Ubiquitous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에게 건강과 의료관련 서비스,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홈 네트워킹 기반 u-Health Total Solution을 통한 융합형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