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행동특성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3초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위한 심인성 어지럼 (Psychogenic Dizziness for Psychiatrists in Korea)

  • 이경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9-19
    • /
    • 2016
  • 어지럼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많은 환자에서 신경 이과적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고 정신의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심인성 어지럼증이란 진단을 붙이는데, 이는 대개 정신의학적 문제로 인하여 어지럼이 발생한다. 어지럼증 환자의 2-4명 중 1명일 정도로 많은 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심인성 어지럼에 대한 진료, 연구 등이 부족한 편이다. 이에 저자는 한국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심인성 어지럼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동참을 하도록 하기위하여 이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정신질환 특히 불안과 어지럼의 생물학적, 심리적 연관성을 포함한 심인성 어지럼의 원인 및 진단, 심인성 어지럼과 관련된 정신질환 및 각 정신질환에서의 어지럼의 특성, 그리고 심인성 어지럼의 치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신경 이과와의 협진에 필수적인 중추성 및 말초성 어지럼에 대해서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치료에서는 특정치료, 증상치료, 전정재활치료 뿐만이 아니라 심인성 어지럼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치료 및 인지행동치료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어지럼 환자에게 신경 이과적 검사 및 진료 시 기질적 문제가 없거나, 기질적 문제가 있을지라도 다른 정신과적 증상이 상당히 동반된 심인성 어지럼 환자라면 정신의학적 치료를 적용하여 치료성공률을 높이고 나은 귀결을 보일 것이다. 어지럼의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환자-중심의 치료적 접근이 환자들의 고통 경감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심인성 어지럼증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과 식행동 요인과의 관계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 이혜영;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839-8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의 특성을 파악하고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서울 및 6대광역시 (서울 45.4%, 부산 14.0%, 대구 9.8%, 인천 11.8%, 광주 7.0%, 대전 6.9%, 울산 5.0%)의 20${\sim}$60세 성인 여성 2,0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표시에 대한 행동변화단계는 고려전단계 5.9%, 고려단계 35.9%, 준비단계 26.6%, 실행단계 19.0%, 유지단계 12.6%로서 영양표시 사용군은 실행 유지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31.6% (654명)였고 영양표시 비사용군은 고려전 고려 준비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68.4% (1,419명)였다. 2) 소득이 150만원 미만 또는 150${\sim}$300만원 미만, 고졸 이하의 경우 영양표시 비사용군이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중반 연령 (30${\sim}$49세), 1주 1회 이상 운동자, 식이보조제 사용자의 경우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결혼, 임신 수유, 자녀, 흡연 유무에 따라서는 영양표시 사용군과 비사용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스스로 질병을 자각하는 비율은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체중군은 영양표시 비사용군이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품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맛 (42.5%) > 영양 (23.6%) > 가격 (21.1%) > 편이성 (9.6%) > 분위기 (3.2%) 순이었고, 영양은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3) 영양표시 사용군은 비사용군에 비해 과잉섭취우려 성분 (나트륨, 콜레스테롤, 당, 트랜스지방)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이 더 높았고, 비타민 C, 칼슘 같은 권장섭취 성분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은 차이가 없었다.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인식도는 평균 4.2 ${\pm}$ 0.8로서 모든 항목에서 높은 편이었고 영양표시 사용군이 비사용군보다 약간 높았다. 4) 식사의 질에 대한 전체 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3.2 ${\pm}$ 0.8로서 영양표시 사용군은 비사용군보다 과일류, 채소류, 유류, 고기 육류 콩류, 다양한 식사섭취에 대한 식사의 질 점수와 콜레스테롤, 열량에 대한 식사의 질 점수가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5) 전체적으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영양표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식사의 질이 2배 높았다 (OR: 2.01, CI: 1.66${\sim}$2.44) (P < 0.001). 고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은 저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식사의 질이 2.5배로 좋았으며 (OR: 0.39, 0.36${\sim}$0.69) (P < 0.001). 고소득인데 영양표시를 사 용하지 않는 사람의 식사의 질은 고소득이면서 영양표시를 사용하는 사람의 1/2수준으로 낮았고 (OR: 0.56, 95% CI:0.43${\sim}$0.73), 저소득의 영양표시 사용자보다도 식사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 성인 여성에서 영양표시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나트륨, 콜레스테롤, 당, 트랜스지방과 같은 과잉섭취우려 성분과 질병 간 관계에 대한 신념이 더 높고,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인식이 더 높으며 식사의 질이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소비자가 영양표시를 이해하고 식사에의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교육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식사의 질에 미치는 영양표시 사용의 다양한 특성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어떤 영양표시정보가 식생활개선과 관련이 있는가 등에 대한 연구 및 영양표시와 식행동 간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생활진단표 등 조사방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영양표시 교육 및 정책 수립을 위해 국가단위에서의 소비자 조사.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김희숙;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87-100
    • /
    • 2011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언어스타일: 연설문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 (Language style of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properties in Presidents' Address)

  • 김영준;김경일
    • 인지과학
    • /
    • 제30권3호
    • /
    • pp.105-13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광복 이후 한국의 대통령의 연설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인 내용분석 연구들이 내용어에 집중해 글쓴이의 생각을 분석한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기능어와 심리적 상태와 관련된 내용어의 사용비율을 토대로 대통령의 생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대상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 기존 언어분석 연구와 마찬가지로, 심리적이고 언어적인 변인들을 지표화하여 대통령의 연설문을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영향력, 진정성, 대통령다움, 인지적 복잡성, 여성성, 심리적 건강 등 6개의 언어스타일 지표를 개발하였다. 역대 대통령 8인의 공식 연설문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통령 언어스타일 지표 모두에서 대통령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최근 대통령으로 올수록 연설문에서 진정성, 대통령다움, 심리적 건강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인지적 복잡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재임시대를 구분하여 언어스타일의 변화를 추세 분석한 결과 선형추세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정치적 성향에 따라서도 언어스타일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관찰됐다. 진보 성향 대통령의 연설문에서는 영향력과 인지적 복잡성이 높았고, 더 여성적인 언어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 보수 성향 대통령의 연설문에서는 진정성이 높았고, 더 대통령다운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 2에서는 개발된 언어스타일 지표가 직전인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에서도 신뢰도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관찰했다. 마지막으로 언어스타일 지표 간의 상관 특성, 2000년대 이후 정권과 일반 대중의 정치적 성향의 적합성, 본 연구의 지표인 여성성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노인특성과 여행형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mographic and Trip-related Behavior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Travel Population)

  • 지봉구;이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47-354
    • /
    • 2010
  • 여행시장에 있어 인구의 고령화는 새로운 표적시장의 증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국가정책 측면에서는 복지관광수요의 증가라는 의미를 갖는다. 날로 첨예화되는 시장경쟁과 새로운 시장 창출이라는 당면과제를 안고 있는 여행업계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수익창출 대안으로서 노인관광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향후 우리사회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지관광 측면에서 노인관광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는 여러 가지 노인 여가활동 중 관광이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타 여가활동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에 착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및 여행활동 특성이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생활수준, 건강상태, 용돈수준이 높은 노인 집단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행형태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실무적 시사점과 정책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정신건강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중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 방은주;김두형;노법래;유혜승;장지현;하경희;박은진;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73-18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by using longitudinal data. Methods: For this study, 153 high schools were randomly sampled on a nationwide scale. The descriptive data was collected from a school information internet site which is organ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We used the schools' mean scores on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Behavior Questionnaire-II (AMPQ-II) scale which was used for estimating students' mental health in the 2013 school-based mental health screening test.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MPQ-II scale's mean scor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llowing year's academic achievement and annual dropout rates. Especially, the AMPQ-II scale's mean scores tend to increase the school dropout rate in vocational schools.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ntal health stat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ropout rate.

부모와 교사의 평정에 기반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 대한 인식 조사 (Awareness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 based on Parental and Teacher Ratings)

  • 김인태;방은주;김가경;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260-267
    • /
    • 2017
  • Objectives: Since 2013, the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 (SEBT) has been conducted annually for 1st grade a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1st 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SEBT has been considered to have effectiveness and strength for screening high risk students who have a strong possibility of harboring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schoo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awareness of the SEBT based on the rating score of the parents and teachers to determine its future direction and management. Methods: A total of 731 parents and 149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their awareness of the SEBT. Results: 428 (58.5%) parents and 99 (66.4%) teachers rated their overall satisfaction at more than 4 points out of a total of 5 points. The test reliability was rated at more than 4 points out of a total of 5 points by 52.1% of the parents (n=381) and 47.7% of the teachers (n=71). Conclusion: Both parents and teachers consider the SEBT to be highly satisfactory and reliable.

금연과 관련된 개인의 특성, 경험, 그리고 인지·감정요인들이 금연행동 계획수립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Pender의 개정된 건강증진 모형 적용- (Analysis for Influenc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perience, Cognition, and Affect Relating to Smoking Quitting Behavior on Commitment to a Plan of and Practice for Smoking Quitting Behavior)

  • 오현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7-29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 revised HPM was appropriate to explain smoking quitting behavior. A convenience sample of 40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Inchon province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moking-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included in the study could significantly explain commitment to a plan to quit smoking which was one of the behavioral outcomes in the revised HPM.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among predictors, smoking-related affect, perceived benefit of quitting smoking, and perceived self-efficacy significantly explained commitment to a plan to quit smoking, but perceived barrier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did not. The model for smoking quitting behavior formulated with smoking-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l explained 48 percent of variance in smoking quitting behavior. More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among smoking-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only smoking-related affect, interpersonal influences, and perceived self-efficac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smoking quitting behavior. Smoking-related affec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explain smoking quitting behavior, followed by perceived self-efficacy. However, the influence of commitment to a plan to quit smoking on smoking quitting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model for smoking quitting behavior formulat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could explain 13 percent of the variance in behavior to quit smoking. Although the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e number of quitting attempts had significant and direct influence on behavior to quit smoking, while the remaining variables did not.

  • PDF

노년기 여성의 자아통합감과 인구통계적 특성, 건강 및 외모행동과의 관련 연구 (Ego Integrity, Appearance Behavior, Health, and Demographic Variables of Elderly Women)

  • 이은실;안성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53-163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ppearance behavior and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 and to examine how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was influenced by appearance behavior, health,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17 elderly women(aged 60 to 70) in Jinju, Korea who were interviewed face-to face with a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adornment and ego integrity (wise living and attitude toward life) according to age.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makeup, and ego integrity according to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go integrity (attitude toward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spouse or m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makeup, and ego integrity according to health. Health and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living. Health, age(-), and appearance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se living. Health, age(-), and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life. Education and heal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behavior.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health state and appearance behavior, such as appearance interest and make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On the whole,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health state, education, and appearance behavior.

비전염성 질환으로서 치아우식증에 대한 예방 전략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s a Non-Communicable Disease)

  • 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1-141
    • /
    • 2023
  • 치아우식증은 치아, 바이오필름(biofilm), 식이 요인의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타액, 불소 등의 구강 환경요인과 생물학적, 행동적, 사회문화적,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는 복잡한 다인성질환이다. 최근 치아우식증은 외부 병원체의 감염에 의한 것이 아닌 구강 미생물군의 생태적 변화에 따른 불균형(dysbiosis)의 결과로 이해되면서 전염성질병에서 비전염성 질병(non-communicable diseases, NCD)으로 전환되었다. 치아우식증은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이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비전염성 질환(NCD) 특성을 가지며, 식이섭취와 생활 습관과 환경적 요소들이 관여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높은 유병률과 함께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효과적인 구강 건강관리를 목표로 비전염성질환(NCD)로서 치아우식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구강 미생물군의 생태적 균형을 이루기 위한 적절한 예방법과 효율적인 공중보건 정책들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