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캠프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s of Camping Programs on Self-efficacy and Sick-role Behavioral Compliance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 (소아 당뇨 환자의 캠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환자 역할 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 Park, Yeon-Hee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4 no.2
    • /
    • pp.59-68
    • /
    • 1997
  • 당뇨병은 고혈당을 조절 안할 경우에는 돌이킬 수 없는 신체적 합병증은 물론 정신적 손상까지 받지만, 고혈당은 노력만 하면 조절이 가능하며, 정상에 가까울 정도로 조절되면 정상인과 같은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 전문가의 인슐린 주사 요법, 식사 및 운동요법 등의 일방적인 처방만으로 성공적인 당조절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에게 당뇨병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 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느냐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 지역과 의료기관마다 다양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소아 당뇨병 환자는 이러한 전통적인 당뇨병에 관한 교육을 통해서 당뇨병에 관한 지식은 많이 가지고 있지만, 당뇨병 자가 조절을 위한 환자 역할 행위(sick-role behavior)를 변화시키는데는 그다지 성공절이라 할 수 없다. Bandura(1977)는 자기 효능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수행 성취,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은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오늘날 이러한 정보를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중에서 가정과 학교를 떠나 자연 환경 속에서의 집단 활동을 통하여 사회 학습 경험을 하는 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캠프에 참여한 당뇨병 아이들은 캠프 활동속에서 다른 동료 아이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을 관찰하여 대리 경험하게 될 때 희망을 가지게 되며, 당뇨병을 가진 다른 동료들과 공통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그들은 자신이 더 이상 혼자가 아니며 남과 ‘다르지’도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점차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캠프 프로그램이 소아 당뇨병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당뇨병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를 높여주는지를 규명해 봄으로써, 소아 당뇨병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 1996년 8월 10일 부터 12월 12일까지 종합병원에서 추후 관리하고 있는 소아 당뇨병 환자중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 4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19명은 실험군으로 Bandura의 자기 효능 증진을 위한 정보원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을 5박 6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다음 22명은 대조군으로 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자기 효능 척도와 환자 행위 역할 이행 척도를 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사전 조사를 하고 중재 후 4주째 사후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로 Chi-square test, t-test, 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 PDF

Health Zone_질병 핫이슈 - 윤종신이 앓는다는 크론병은?

  • Yang, Seok-Gyun
    • 건강소식
    • /
    • v.36 no.4
    • /
    • pp.26-27
    • /
    • 2012
  • 가수 윤종신이 크론병을 잃고 있다고 말해 생소한 '크론병'을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윤종신은 SBS '힐리캠프-기쁘지 아니한가'에 출연해 2006년 크론병을 진단받고 그 다음해인 2007년 1월 소장을 60cm 잘라내는 대 수술을 받았다고 말했다.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Kim, Mi-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4
    • /
    • pp.338-34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nd the juvenile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for the 467 children and juveniles who participated in the maum meditation program. Instruments were depression developed by Sim(1989), anxiety by Lee(2003), and self-esteem by Im(20031). The data were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using SPSS 17.0. The score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children before the maum meditation progra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score of self-esteem of th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score of depression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14-16y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score of self-esteem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14-16yr)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maum medit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changing children and juveniles' depression and anxiety, and it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The Educational Effect of Human Body Exploration Camp on Health Pro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인체탐험캠프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Im, Hee Kyoung;Park, Je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111-5120
    • /
    • 2015
  • In this paper, learn how to establish a proper lifestyle and health management through professional and systematic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lifelong health, and to present the saeroeun paradigm complements the problems of school health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body exploration camp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in health promotion aspect. Survey was don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for 61 participants in the camp. The evaluation consisted of 53 questionnaires multiple-choice written test on the changes of knowledge and attitud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SPSS WIN18.0 verify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paired t-tes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knowledge and shift in attitude.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knowledge and attitude. By this study, we showed as follows. First, knowledge were increased post- than pre-test, follow up- than pre-test(p<0.01). Second, shift in attitude changed positively post- than pre-test(p<0.01), follow up- than pre-test(p<0.05). Third, satisfaction was closely related to shift in attitude(p<0.01).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implement of human body exploration camp for elementary students could be an alternative strategy in health education.

Evaluation of Nutritional Health Camp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일부 비만 초등학생을 위한 건강영양캠프의 효과 평가)

  • Jun, Ye-Sook;Lee, Ji-Eun;Lee, Yong-Sook;Bae, Yun-Jung;Kim, Mi-Hyun;Lee, Yoon-Shin;Kim, Ae-Jung;Sung, Chung-Ja;Choi, Mi-Kyeong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0 no.1
    • /
    • pp.79-87
    • /
    • 2007
  • An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nutritional health camp for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was assessed. Anthropometric measurement, 24-hour recall of dietary intake, MMTIC(Murphy-Me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 and questionnaire response(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 and self-satisfaction) was documented in 43 obese elementary students(29 boys and 14 girls). The mean age of the elementary students was 11.2 years. The mean height, body weight and obesity index was 144.7 cm, 55.4 kg and 41.0% in boys, and 136.1 cm, 45.2 kg, 40.0% in girls. The mean energy intake was 1,522.4 kcal in boys and 1,494.9 kcal in girls. The subjects taking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EAR) for vitamin ${B_2}$, folate, vitamin C and calcium was over 70%.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ents(65.1%) showed U band(undetermined character). The students demonstrated a propensity towards increased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and self-satisfaction after attending the nutritional health camp. In addi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average nutritional attitude was observed(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tritional health camp positively influenced the nutritional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Green Camp Adolescent Participants According to Participative Motivation of Forest Activities (그린캠프 청소년 참가자의 숲체험 참여동기에 따른 정서적 변화)

  • Jang, Jin;Lee, Yeonhee;Ha, Si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6 no.2
    • /
    • pp.230-239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Green Camp which was the field centered forest experience camp as analyzing the factor of th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nges in creative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to Green Camp. In results, there were five motivation factors: 'Adventure and Interest', 'Forest Activity', 'Improve Physical Health', 'Rest', 'Suggestion'. When respective factors were analyzed, the mean of 'Interest and adventure' was the highest at 4.303, and then 'Forest activity' at 4.287, 'Rest' at 3.970 followed. In the case of participant satisfacti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of the camp' was the highest at 4.530, and then 'contents of the camp' at 4.410, 'lecture performer of the camp' at 4.229, 'the way of progress of the camp' at 4.036, 'the place of the camp' at 3.952, 'the passage time of the camp' at 3.843 followed. It showed that 'Forest activity' factor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p<0.05). In addition, the means of creative personality before-and after-program participation increased from 3.687 to 3.773 (t=-2.218, p=0.029). Based on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of Green camp. Also, it proved that the participation Green camp had influence on the creative personality.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the necessity of activation forest education focusing on experience.

An Effect of the Health Camp Program for Promoting Self-efficacy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증진을 위한 건강캠프 프로그램의 효과)

  • Kim, Sang-Soon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8 no.1
    • /
    • pp.102-11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effect of the health camp program on self-efficacy, sick-role behavioral compliance and glucose metabolism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quasi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ith the framework of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Forty-two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outpatients. Of these, twenty-on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one to the control group.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8 to December 9 in 1994. The health camp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over 6 day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llection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chi - square test, t - test, ANCOVA,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PC+.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ealth camp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cores of self-efficacy for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2. The health camp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cores of sick - role behavioral compliance for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3. The health camp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s of glucose metabolism. 4. The more self-efficacy increased, the more sick - role behavioral compliance increased. 5. Boys showed the higher self-efficacy than girls and the group with diabetes patients whose family members are also patients, showed the higher self-efficacy and sick-role behavioral compliance than the group without diabetic patient among the family member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ealth camp program was a useful health intervention for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s.

  • PDF

비만 중학생에서 캠프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양교육 효과

  • 승정자;성미경;최미경;김미현;이윤신;조혜경;김경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1-1062
    • /
    • 2003
  • 현대사회에서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영양문제 중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청소년기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쉬우며, 당뇨병, 지방간, 고혈압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체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편견의 대상이 됨으로 인한 심리적 장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비만인의 체중조절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현재까지의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강의식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적극적인 교육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지역보건소를 중심으로 2박 3일간의 청소년 캠프 프로그램을 통하여 VTR감상, CAN-Pro를 이용한 섭취 식단의 평가 및 영양상담, 영양뷔페, 역할극, 다양한 영양지식 응용게임, 일상생활에서 활용가능 한 운동교육, 비만의 원인과 건강과의 관련성 및 식사요법 등에 대한 강의를 실시하였다. 캠프 참가자들은 부천시에 거주하는 중학생으로 사전에 신장과 체중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비만으로 판정된 총 42명(남 28명, 여 14명)으로 하였다. 캠프 시작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식, 영양태도, 자아만족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직후의 효과를 판정하였고, 일상적인 영양소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캠프참가 전날의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3.9세로 남녀학생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신장은 남학생이 160.7cm, 여학생이 156.8cm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체지방 함량은 남학생이 각각 75.5kg, 29.1kg/$m^2$, 30.1, 0.89, 33.3%이었고, 여학생이 각각 67.8kg, 27.5kg/$m^2$, 25.3, 0.81, 34.6%였다.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분석결과 열량의 경우 남학생이 2137.7㎉, 여학생이 2059.7㎉ 섭취수준을 보였으며, 총열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지질의 섭취 비율은 남학생 57:14:29, 여학생 60:13:26으로 남여학생 모두 총열량에 대한 지질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하여 남녀중학생을 모두 합하여 비교하였을 때 프로그램 실시 후 영양태도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p<0.001), 자아만족도 및 영양지식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로 분류하여 비교 시 남학생은 영양태도(p<0.01)와 영양지식(p<0.05)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영양태도(p <0.01)에서만 유의적인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2박 3일간의 청소년 캠프는 남녀 비만중학생에 있어 영양태도의 향상을 가지고 왔으며, 남학생의 경우에는 영양지식에도 유의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교육의 효과가 실제적인 영양소섭취 및 비만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적 관리를 통한 효과판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