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친화 계획요소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건강친화 지능형주택 계획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Consumer's Response for Health Friendly Planning Features of Smart Home)

  • 이선민;이연숙;안창헌
    • KIEAE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7-36
    • /
    • 2009
  • Due to rapid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peoples life value, multi-dimensional functionality of the house has been possible and demanded. Among them, intellectual function and health support function appeared prominent and the former can support the l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health support planning features for smart home. Thirty six planning elements were extracted for initial pool for survey to find out what consumers demanded. Two hundred and n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web-survey. Important planning features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three different health dimensions that is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Generally consumers' responses were positive for all features. Major health friendly features highly demanded by consumers were found gas detect system, security system, and a call alarm syste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to develop strategies for smart home and to grasp current housing culture.

거주자요구에 기반한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연구 (Health Friendly House Planning Elements Demanded by Consumers)

  • 이선민;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8권6호
    • /
    • pp.11-20
    • /
    • 2008
  • Modern society is an era that demands higher standards of living, and accordingly healthier living conditions due to fast economic growth. This society is being confronted by the necessity to find strategies to promote and manage health condition in everyday living environment. The current 'wellbeing' trend which pursues holistic health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has accelerated the demand for healthy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health friendly planning features based on consumer's demand. Web survey technique was used as main research methodology.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used with age being used as the strata valuable. Two hundred and eleve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As results, awareness about health housing and hierarchy of important planning features were empirically identified. Further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planning features according to the age were scrutinized. Major health friendly features demanded by consumers were found ventilation, non-toxic material, view of nature, space in which family can gather, protection of their privacy. Consumers' recognitions and demands varied according to age. The older the resident was, the higher the demands appeare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to explore and develop strategies for future healthy housing.

가정교과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를 위한 교육과 실천 사례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전미경;오경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5-11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하여 가정교과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가정교과 교육의 내용요소를 찾고, 정부에서 진행 중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정책에서 가정교과 교육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실천방안을 강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 중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하기 위하여 가정교과는 선택으로서의 결혼, 가족생활역량의 강화, 건강한 가족문화 형성, 더불어 사는 이웃의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이러한 교육내용은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사회책임 강화', '일과 가정의 양립 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건강하고 보호받는 노후 생활 보장' 등의 새로마지플랜2010 사업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저출산 고령사회 시행 계획에 포함된 '가족 친화 및 효문화 함양 교육 강화', '저출산 고형사회 관련 학교교육 강화', '양성평등 사회 조성 가치관 교육 강화' 등의 내용과 일치하였다. 셋째, 서울 중구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의 긍정정적 반응을 얻었고, 사회교육 현장에서도 중추적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교과는 청소년들의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한 의식을 함양시키고 이에 대한 가치판단과 자기 주도적 해결 능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교육이 실천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 분석 : 딥러닝 기반의 의미론적 분할기법을 적용하여 (Exploring the Cognitive Factors that Affect Pedestrian-Vehicle Crashes in Seoul, Korea :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Semantic Segmentation)

  • 고동원;박승훈;이창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88-304
    • /
    • 2022
  • 보행은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요소이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이다. 이처럼 보행에 대한 중요성은 매우 강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보행안전은 여전히 심각하다. 이에 따라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의미론적 분할기법을 적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특성도 함께 고려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요인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식생과 하늘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을수록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속방지턱은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위험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로의 위계가 낮은 소로가 많은 지역에서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호등, 횡단보도, 교통표지는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에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기존의 물리적 근린환경 요인뿐만 아니라 가로경관의 시각적 요소를 구축한 인지적 측면에서의 요인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실제로 인지적 특성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보행친화적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