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증진 자기효능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7초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of Mid-Life Women)

  • 이경희;김태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0-319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limacteric symptoms among the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women and data were obtain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health promotion life styles profile, self-efficacy scale, self-esteem scale, and, climacteric symtoms check-list.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program using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gres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cores o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scale ranged from 46 to 114 with a mean score of 77.95(SD=12.99). 2. The scores on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of house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orking women.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 1) self-esteem was the main predictor and accounted for 21.75% of the total varia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 2) Self-esteem, climacteric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were contributors to quality of life.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el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negatively with climacteric symptoms. In conclusion, self-esteem, age and occupation were important variables in health-promo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management of health in middle aged women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of them.

  • PDF

경기지역 여대생이 지각한 유방 자가검진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이행 간의 관계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on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 양남영;문선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7-37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behavior on breast self examination(B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499 female college student. Surveyed data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2008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knowledge and self-efficacy concerning BSE was low, and compliance was high. The level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were differed significantly by experience of thinking about breast cancer, perceived susceptibility of breast cancer, experience of meeting with breast cancer pati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BS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knowledge and compliance, knowledge and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efficacy were a powerful predictor of compliance. Conclusion: Focus on perceived knowledge, self-efficacy about breast self examination(B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y be beneficial to improve compliance, and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BSE education program.

한방병원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과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 김혜숙;김이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13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 seve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in the Busan Metropolita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buk-do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June 1st, 2002 to September 30th, 2002. 1)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her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llows : for general self-efficacy degree, age, occupation, and level of education ; for family support, level of education and occupation ; for quality of life, level of education, occupation, religion, and monthly income. 2)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other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llows ; for general self-efficacy,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 for specific character of paralysis,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 for family support, care-giver, character of paralysis,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related; for quality of life, level of paralysis, and periods of hospitaliz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general self-efficacy,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pecific self-efficacy, the specific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박현옥;박경숙;권오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7-369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구조모형을 개발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한국거주 1년 이상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바탕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 변수로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 결과는 ${\chi}^2=112$(p<.001), RMSEA=0.069, GFI=0.937, NFI=0.910, CFI=0.948 였다. 수정 모형의 검정결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을 55.2% 설명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를 29.3% 설명하였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5$), 지각된 건강상태(${\beta}=.20$), 지각된 장애성(${\beta}=-.26$), 지각된 유익성(${\beta}=.2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확인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책에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김희숙;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87-100
    • /
    • 2011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변인 분석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College Women)

  • 김명희;전미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3-30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college women thus providing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4 college women, living in Seoul, Chung-Buk, and Kangwon, during the period from May 10 to July 15, 2000.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scale developed by Bak, Insuk(1995), the self efficacy scale by Sherer et al. (1982), the social support scale by Su, Moonja(1988), the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1965)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by Lawton et al.(198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s was 2.45 on a 4 point scal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categories 'harmony relationships' (3.04) and 'sanitary life'(3.02) revealed higher scores, whereas scores for 'healthy diet' (2.32), 'exercise & activity' (2.14) and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1.48) were lower. 2.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as 3.38 (on a 5 point scale), 2.88 (on a 4 point scale), 2.98(on a 4 point scale) and 3.08(on a 5 point scale) respectively. 3. Health promoting lifestyl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 4.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elf efficacy.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explained 25% of variance.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healthy lifestyles in college women.

  • PDF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in Patients with Herpes zoster)

  • 김윤이;최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01-310
    • /
    • 2020
  •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과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한 삶의 증진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상포진 환자 141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집하였고 SPSS/WIN 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포진 환자의 현재 통증정도는 5.23±2.11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3.35±1.04점, 자기효능감은 66.36±10.79점, 가족지지는 42.093±8.68점, 사회적 지지는 59.80±20.42점,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74.12±5.73점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 동거가족여부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9.0%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긍정적일수록, 동거가족이 있을 때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대상자에 맞는 긍정적인 건강상태 지각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중재방안 마련과 본 연구에서 확인된 영향요인들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Self-Efficiency of Older People on the Quality of Life - Ba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respect -)

  • 태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20-2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함에 있다. 즉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자아존중감의 변수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심리적 만족과 삶의 질 향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8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5개월간 서울지역의 시·구청에서 진행하는 생활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공원, 운동장 등 공공운동시설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29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는데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실증적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나아가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반영됨으로써 노인건강증진프로그램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농촌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와 관련요인 (Middle-aged Women's Health Behavior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Area)

  • 김귀진;박재용;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81-103
    • /
    • 2001
  •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의 4개 보건진료소 담당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64세 사이 여성 468명을 대상으로 2000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의 본인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17.5%가 높다고 하였고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관심도가 높았다. 그리고 핵가족이 대가족보다, 개방적 가족분위기에서 본인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본인건강에 대한 가족의 관심도는 15.4%가 높다고 하였는데,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개방적 가족분위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자기효능점수는 최대 평점 68점 중, 대상자들의 평균점수는 49.90점이었고 종교, 학력, 배우자 동거유무, 경제상태, 본인의 건강관심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형태, 가족분위기, 자신건강에 대한 가족들의 관심도도 자기효능의 유의한 영향변수였다. 가족기능점수는 최대 평점 10점에 평균 5.51점으로 연령, 학력, 직업, 경제상태, 본인의 건강관심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분위기 및 자신건강에 대한 가족의 관심도에 따라 가족기능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 실천율은 비흡연율 89.5%, 비음주율 63.0%, 운동실천율 6.6%, 정상수면율 75.6%, 아침식사율 91.7%, 비간식율 18.2%, 표준BMI 69.2%였다. 건강행위빈도는 Breslow Index가 0-3점이 4.5%, 4-5점이 53.2%, 6-7점이 42.3%였고, 건강행위 점수는 최대 평점 7점에 평균 5.20이었는데, 배우자동거유무, 경제상태, 만성질환유무, 그리고 가족분위기가 유의한 변수였다. 건강행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행위는 배우자동거유무, 경제상태, 가족분위기가 유의한 영향변수였으며, 배우자가 없는 경우,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가족분위기가 개방적일수록 건강행위를 잘 하고 있었다. 자기효능이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낮을수록 건강행위를 잘 했으나 유의한 변수는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건강행위측정도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이므로 앞으로는 우리나라 사람에게 알맞은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반복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촌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보건사업에 있어,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률적으로 같은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 아니라 먼저 개개인건강행위를 파악하고 배우자동거유무, 경제상태 및 가족분위기 등을 파악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구축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Middle Aged Women in Korea)

  • 이숙자;박은숙;박영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20-336
    • /
    • 1996
  •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an individual are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over important health problems of the middle aged women.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middle aged women and their responsibility for family care can result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experienced by middle aged wom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Pender's model and thus purpose a model that explain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middle-aged women in Korea. The hypothetic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ng model and the findings from past studies on women's health.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863 women living in Seoul, between 20th, April and 15th, July 1995.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LISREL) modeling process was used to find the best fit model which assumes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good expect chi-square value(GFI=.96, AGFI=.91, RMR=.04). 2. Paths of the model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both its theoretical implic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estimates.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the revised model has become parsimonious and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expect chi-square value(GFI=.95, AFGI= .92. RMR=.04). 3. Some of modifying factors, especially age, occupation, educational levels and body mass index (BMI) are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4. Some of cognitive-perceptual factors, especiall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erceptive health status are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5. All predictive variabl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especially age, occupation, educational levels, body mass index(BMI),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 perceptive health status are explained 20.0%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