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

Search Result 52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ffects of a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Knowledge of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Middle-Aged Women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 건강관리지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 Chang, Chun-Ja;Yoo, Jae-Hee;Lee, Kun-Ja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5 no.4
    • /
    • pp.577-586
    • /
    • 2004
  •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Methods: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 group consisted of 116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Three 12-week sessions consisted of a 90 minute class each week, from March 14th to November 14th, 2003. Pre- and post-education tests were collected after each s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sessions. Data were analyzed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ith SPSS/PC (10.0 version)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but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lf-efficacy and the knowledge of health manage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has partially positive effects for middle-aged women. Based on this study, a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through a community health center is needed for middle-aged women's health.

  • PDF

The Educational Effect of Human Body Exploration Camp on Health Pro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인체탐험캠프가 건강증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Im, Hee Kyoung;Park, Je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111-5120
    • /
    • 2015
  • In this paper, learn how to establish a proper lifestyle and health management through professional and systematic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lifelong health, and to present the saeroeun paradigm complements the problems of school health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body exploration camp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in health promotion aspect. Survey was don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for 61 participants in the camp. The evaluation consisted of 53 questionnaires multiple-choice written test on the changes of knowledge and attitud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SPSS WIN18.0 verify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paired t-test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knowledge and shift in attitude.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knowledge and attitude. By this study, we showed as follows. First, knowledge were increased post- than pre-test, follow up- than pre-test(p<0.01). Second, shift in attitude changed positively post- than pre-test(p<0.01), follow up- than pre-test(p<0.05). Third, satisfaction was closely related to shift in attitude(p<0.01).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implement of human body exploration camp for elementary students could be an alternative strategy in health education.

Convergence Study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융합연구)

  • Hong, Se-Hwa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6
    • /
    • pp.339-34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10 students(100 nursing students, 110 general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SPSS/WIN 23.0 program.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t=-0.489, p=625).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taking health-related lectures, smok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tervene vari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s.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Healthy Lifestyle in the Community Elderly: A Systematic Review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Lee, Ji-Soo;Lee, Soo-K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371-380
    • /
    • 2020
  •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study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 was to search for published papers using the domestic databases RISS, KISS, DBpia, and KoreaMed, analyze a total of 10 studies, and code them for 2 researcher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ere often applied to the frequency of intervention more than twice a week, and the intervention time of more than 12 weeks, approximately 60 minutes once. In the composition of intervention, the study that applied exercise and education together and the study that mixed the types of exercise were mainly. The outcome measurement variables were muscle strength, body mass index, depression,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stainable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verify effectiveness in the live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ervice Satisfaction at Regular Medical Checkup (정기건강검진 상담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 지방공무원교육원생을 대상으로 -)

  • Park, Mi-Ae;Na, Baeg-Ju;Lee, Moo-Sik;Hong, Jee-Young;Kim, Sang-Ha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78-781
    • /
    • 2009
  • 본 연구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수검자들이 검진결과에 대한 상담을 받는 것이 건강증진행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증결과 인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검진 후 교육 및 상담에 대한 만족도 정도는 성별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만족도가 높았고, 직렬의 경우 기능직공무원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재직기간이 오래 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2. 건강검진 시 상담서비스 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분석결과 만족도 내용에서 '검진결과 설명시 교정해야할 건강 위험에 대한 지적, '검진결과에 따른 건강 상담', '검진 후 결과에 대해 제공하는 상담 및 보건 교육', '검진 후 결과에 관련된 자료나 진료 혹은 상담안내'에서 건강증진행위와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검진결과 설명 시 교정해야 할 건강 위험에 대한 지적'은 식사조절과 건강관리행위, '검진결과에 따른 건강 상담'은 건강관리행위, '검진 후 결과에 대해 제공하는 상담 및 보건 교육'은 신체활동과 심리적 안정, '검진 후 결과에 관련된 자료나 진료 혹은 상담안내'는 건강관리행위와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건강검진서비스 만족도가 낮은 항목의 불만족요인을 분석하여 건강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 교육내용에 포함한다면 건강검진서비스 만족도가 상승할 것이며,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A DESIGNING HEALTH EDUCATION PROGRAM -Cigarette Smoking and Health for Junior High School- (중학생의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 Lee Kyungja
    • The Korean Nurse
    • /
    • v.22 no.1 s.119
    • /
    • pp.47-64
    • /
    • 1983
  • 간호원은 비록 그가 양호교사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가 처한 위치에서 거의 매일 건강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비정규직 교육은 상황에 따라 간호활동의 대상자들에게 수시로 별 준비 없이 실시한 경우도 있겠으나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체계적인 보건교육은 구체적인 학습목적과 교육과정이 교육적으로 미리 계획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양호교사의 기본적인 역할이 학교 구성원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있으며 효율적인 건강교육을 통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고 할 때, 양호교사는 자신을 그 학교공동체의 주된 건강교육자로 이해하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보건교육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여야만 한다. 그러한 역할중의 하나는 보건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는 학과목 교사나 담임교사들이 건강교육에 관련한 협의를 양호교사에게 요청하도록 적극적인 건강교육환경을 학교 내에 조성하여야 하는 일과 중요한 건강주제에 대하여서는 양호교사가 직접 수업을 교실에서 이끌어야 하는 것일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룬 보건교육 교안 연구는 양호교사에게 또 건강에 관한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하는 일반교사에게 중학생의 건강교육 과정의 한 모델로써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질병예방, 건강증진에 초점을 두어 설계한다고 할 때 건강교육의 주된 방향은 대상자 하나 하나의 생활에서 건강을 위한 바람직한 행위를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학교에서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건강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그 지식 위에 건강을 위한 바람직한 행위를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그러한 행위를 지속하도록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가지게 되면, 행위는, 그것에 상응하여 바람직하게 행할 것이라고 가정하기가 쉽다. 그리하여 건강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 건강교육을 했다고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건강을 위한 정보를 받고 지식을 가졌다 하더라도 바람직한 행위를 실천하지 않거나, 습관된 반건강 행위를 바꾸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건강한 행위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가 먼저 분명하게 세워져야 한다. 학생들의 경우에도 그 가치관이 확립되어야 하겠으므로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제시된 교육안 모델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건강문제에 대한 태도의 확립과 그에 따른 올바른 행위를 실천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치밀하게 계획된 건강교육 안이 연구되어 지는 것이 건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건강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많은 부분의 정보가 학생들 스스로에 의해서 수집되도록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이 흡연에 관한 사실들을 스스로 명백하게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소그룹 토의와 논쟁의 방법을 통해서 학생들이 흡연에 대해서 자신들의 생각하고 있는 것을 검토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on Health Care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어머니 건강교육프로그램이 자녀 건강관리행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Kim,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6
    • /
    • pp.338-34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to help mother's cope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s health,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ontents of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 discussion with experts and previous studies. The program consisted of two parts,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health, which were measured over 4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helped mothers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are and reduce parenting stress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for handicapped children's healt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 및 지원 방향

  • Song, Ye-Ri-A;Nam, Eun-U;Mun, Ji-Yeong;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86
    • /
    • 2009
  • 목적 :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방법 : 국내외 관련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38개 건강도시 담당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 및 담당자 면접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는 SWOT 분석에 의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결과 : 국내 건강도시 응답률은 82.4%였음. 국내 건강도시는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76.3%가 작성하였음. 건강도시의 규모는 중소도시(시) 31%, 농어촌(군) 22%, 대도시(구) 47%로 조사됨. 건강도시사업 담당부서는 71%가 보건소이었으며, 건강도시업무 전담인력 보유 도시는 19%였음. 건강증진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도시는 34%에 불과하였음. 국외 현황으로는 브라질에서는 건강도시 관련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추진 방법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음. 결론 : 우리나라는 2007년도부터 건강도시협의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2008년도부터 교육훈련 비용 및 전담인력을 지원하고 있었음. 그러나 사업을 추진 중인 자체단체는 아직 예산의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족, 그리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본 청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음. 향후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침서 개발, 정부의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Japan (일본의 지역 건강증진 프로그램)

  • Eto, Takash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117-128
    • /
    • 1999
  • Before consider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carried out in Japan, I would like to explain a summary of today's health conditions of Japan for a while. Current major concern in public health world as well as political or economic world is an aging society. To say more precisely, it would be an aging society with relatively small children's population. Estimated total population is 126,166,000 in 1997. Among these, almost 10% population lives in Tokyo Metropolitan Area.(omitted)

  • PDF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의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Park, Dong-Young;Kim, Mi-J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561-570
    • /
    • 2017
  •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me factors such as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 - 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sults showed that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 - efficacy were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 - efficacy seemed to explain 37.7%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us, as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fficacy to promote desirabl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subjects and the results of such studies should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imed at promoting the health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os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