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신념 모형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8초

건강신념 모형 기반 폐경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모형 개발 및 검정 (An Equation Model Development and Test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Regard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among Postmenopausal Women)

  • 장현정;안숙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24-63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revised health belief model explain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among postmenopausal women under 65.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included 342 postmenopausal women under 65 from original data sources of a total of 734 women. The measured instruments were scales for osteoporosis awareness,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benefit, barrier, susceptibility, severity, and health motivation), self-efficacy, and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0.0 and AMOS 20.0.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5.2 years and the mean age of menopause was 51.10. The hypothetical model of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was relatively fit.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explained up to 62% by expectation factors (relative benefit, self-efficacy, health motivation) and modifying factors(knowledge only). Expectation factors of health belief had a mediation effect between modifying factors and prevention behaviors. Conclusion: This study partially supported the revised health belief model for explain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It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expectation factors and knowledge with the aim of behavioral changes for osteoporosis prevention.

한국 여성의 유방엑스선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건강신념 모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Women: Use of Health Belief Model)

  • 함옥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7-19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of Korean women using components of Health Belief Model. A total of 310 women aged 30 and ol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 participants. 155 women who obtained a mammogram du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were classified as the mammography group and the other 155 who had never had a mammogram were classified as the non-mammography group. The researcher developed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hich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and questions measuring the concepts of the HBM components. Trained data collectors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employing a face-to-face survey method in the waiting areas of hospitals and health promotion center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age. knowledg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Korean women's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wherea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guid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mammography utilization among Korean women.

  • PDF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in Senegal Women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 주영주;오혜경;서형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31-239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세네갈 수유 여성의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개인위생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7년 12월 2일부터 8일까지 세네갈 다카르 주에 거주 중인 15~35세 사이의 수유 여성 21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ath analysis를 사용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개인위생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위생에 대한 지식, 지각된 감수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위협,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로 나타났으며, 총 87.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 and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on the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 최동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7-14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을 조사하고, 이들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163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의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는 윤리인식(r=.17, p=.033), 지각된 민감성(r=.33, p<.001), 지각된 심각성(r=.24, p=.003) 및 지각된 유익성(r=.3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지각된 장애성(r=-.31,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8.09, p<.001), 지각된 유익성(β=.20, p=.014)과 지각된 장애성(β=-.20, p=.008)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8.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윤리인식과 함께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 중 유익성 및 장애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폐결핵 환자의 환자역할행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Korean Literatures about Sick Role Behavior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pplied Health Belief Model)

  • 김춘배;조희숙;이정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03
  •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 동안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폐결핵 환자의 환자역할행태 관련 국내 연구문헌을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계량적 메타분석을 통하여 환자역할행태 향상을 위한 관련요인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이후 20여년간 폐결핵 환자의 건강 관련행태와 관련되어 수집된 66편의 연구논문 중 이 연구의 계량적 메타분석 단계에 최종 포함된 연구는 11편이었다. 이 연구들은 주로 1985년에서 198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각각 54.5%(6편)가 게재되었으며, 연구자(제1저자 포함)는 주로 간호학 전공자들(90.9%)이었다. 메타분석에 포함되는 전체 결핵환자수는 1,263명으로 보건소의 등록환자(81.8%)를 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설계로는 환자-대조군연구와 단면연구가 각각 6편(54.5%), 5편(45.4%)으로 t-검정, 분산분석, ${\chi}^2$-검정, 상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이 병용되었는데, 이중 t-검정방법이 빈번히 사용되었다. 둘째, 폐결핵 환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유일하게 결핵에 대한 지식 요인만이 환자역할행태에 중등도의 큰 효과를 미치고 있었다(d=0.7870). 그리고 약간의 중등도 효과를 보인 요인들로는 성(d=0.2756), 결혼상태(d=0.2176)와 교육(d=-0.2208) 특성도 들 수 있다. 셋째, 건강신념(믿음)모형 관련 모든 요인들이 환자역할행태에 각각 중등도의 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즉, 행위 수행에 따르는 이익을 높게 인지할수록(d=0.7257), 행위 수행에 따르는 장애요인이 적을수록(d=-0.4242),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높게 인지할수록(d=0.4033), 질병의 심각성을 높게 인지할수록(d=0.3133) 환자역할행태의 향상에 유효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결핵 환자의 환자역할행태에는 환자 개인의 다른 특성보다는 결핵에 대한 지식 수준 및 건강신념(믿음)모형의 이익, 장애, 가능성과 심각성 등의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결핵정보감시체계의 운영을 통한 결핵환자의 추적관리가 용이한 만큼 건강증진의 차원에서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보건교육을 통한 결핵에 대한 지식 수준의 제고뿐만 아니라 건강신념모형에 따라 결핵치료에 대한 의료인의 설명과 지시 이행의 장점을 충분히 인지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겠다.

  • PDF

서울지역 일부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by Oral Health Belief of Student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 박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9
    • /
    • 2011
  • 본 연구는 구강보건 업무를 담당하는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를 유도하고 바람직한 구강건강신념을 갖도록 하며 구강보건 분야로 활용하고,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서울에 위치한 1개 대학의 치위생과 1학년과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총 163명을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구강건강신념과 종속변수인 구강보건행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 1.2%, 여성 98.8%로 대다수가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연령별로는 19세 이하가 31.9%, 학년은 1학년이 47.9%, 2학년이 52.1%, 종교는 기독교 26.4%, 기타 없음이 52.1%, 가정에서 의사소통이 원할하다가 87.7%, 경제수준은 하 13.5%, 세대주 학력은 대졸 이상50.3%, 세대주 직업은 자영업이 28.2%로 파악되었다. 2. 구강건강신념수준 및 구강보건행태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결과, 감수성 2.18, 심각성 2.10, 유익성 .22, 중요성 3.93, 장애도 3.06으로 나타났다. 3.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행태 유무에 미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구강건강신념이 치과의료이용 유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연령, 경제수준, 감수성, 중요성 등 4개 변인(P<0.05), 검진목적 치과의료이용 경험유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종교유무, 심각성 등 2개 변인(P<0.05), 예방목적으로 치과의료이용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연령, 경제수준, 직업, 심각성 등 4개변인(P<0.05), 구강병예방 행위로서 치과의료이용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 경제수준, 심각성등 3개 변인(P<0.05), 구강병예방 목적으로 치과의료이용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 직업, 심각성 등 3개변인(P<0.05), 치석제거 유무에 미치는 영향 변수로는 연령, 경제수준 등 2개 변인(P<0.05), 잇솔질 횟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학력, 종교, 직업 등 3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P<0.05). 4.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결과, 구강건강신념 중 치과의료 이용 횟수의 설명력은 17.0%, 중요성, 감수성, 경제수준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진목적 치과의료 이용 횟수의 설명력은 13.3%, 종교, 경제수준, 가정소통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방목적 치과 의료 이용횟수의 설명력은 16.9%, 종교, 심각성, 경제수준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병예방행위로서 치과의료 이용횟수의 설명력은 17.8%, 심각성, 종교, 경제수준, 가정소통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병예방 진료횟수의 설명력은 17.2%, 감수성, 종교, 경제수준, 직업이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으며, 치석제거 횟수의 설명력은 6.1%, 종교, 경제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잇솔질 횟수의 설명력은 19.5%, 심각성, 학년, 직업이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기초로 보다나은 구강보건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임신부의 건강신념요인이 구강건강관련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lief Factor on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Pregnant Woman)

  • 김미나;임도선;김명희;김아름;김성임;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7
    • /
    • 2015
  •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신부의 건강신념 수준은 총 3.61점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기 효능감 4.04점, 인지된 민감성 3.98점, 인지된 장애성 3.15점 순이었으며 인지된 심각성이 2.91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신념요인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로 인지된 심각성은 치아에 좋은 식품섭취 노력,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전 구강검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중 치과치료에,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에,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 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에,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건강신념요인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며, 임신부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인지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임신부를 위한 구체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식도 및 예방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revention Program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Office Worker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박상순;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0-57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health belief, perception and need of prevention program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office workers in a public corporation. Method: We surveyed 339 office workers at a industry based in Ahn Yang, Kyunggi Province, with questionnaires, during the period June 3rd - June 18th, 2004. Result: Forty-four percent of the subjects said they ha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10.9% said they had received medical treatment for musculoskeletal disease in the last year. Factors that affected percep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were appeared to be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 cue to action, marital status, regular exercise and age, and they explained 23.2% of percep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Factors that affected need of prevention program appeared to be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and PC using hours, and they explained 20.8% of need of prevention program. Conclusion: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in management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for office workers, it should be consider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inforce health belie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