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문제

Search Result 2,37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blem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행위, 건강문제 및 주관적 건강상태)

  • Seo, In-Ju;Park, Jung-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369-382
    • /
    • 2013
  • This study is to identif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problem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and is an descriptive study for searching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blems of the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s for them. Methods: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HPLP II developed by Walker et al. (1995) and modified and translated by Park (2005), CMI developed by Weider et al. (1945) and translated by Go & Park(1980), and modified by Seo and Park(2010).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Conclusi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done low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2.01) and they had more mental health problems than physical health problems.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blems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self-rated health and general character which includes age-gap with partner, partner's education and ag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Factors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exercis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monthly income. In consideration of this result, we need to provide health education and develop health program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A Big-Data Analysis on Older Adult's Health and Safety Issues (노인의 건강 및 안전문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 Wang, Lin;Lee, Ju-Gyung;Hwang, Ji-H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4
    • /
    • pp.336-344
    • /
    • 2019
  • Currently, Korea is entering an aging society, causing the issues of older adults in a wide range of fields. This study focuses on the health and safety issues of the older adult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was applied, and a new theory was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the physiological needs and safety needs of the 5 stages of desire in relation to the health and safety issues of the older adults. Health issues applying to physiological needs for the older adults are examined in detail in the body, perception and psychology areas, and safety accidents occurring indoors and outdoors are examined in relation to safety needs. Naver DataLab, a big data portal, shows that the number of bugs regarding health and safety of the older adults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rough Google Trends, we can understand the interest setting up related search keyword about the older adults. According to the related search keywords, social part related to health in health issues is ranked high and kewords related to accident type in safety issues is ranked high. These findings will be an important basis data for research and solution to the issues of older adults.

작지만 큰 변화로 넘치는 건강한 노후생활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10 s.434
    • /
    • pp.6-7
    • /
    • 2004
  • 지금 우리의 문제 중에 가장 심각한 문제는 노인문제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이 되면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하고 건강이 악화되기 때문에 스스로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보다 활력이 넘치는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서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운동과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 PDF

Community Based Nursing Service As An Alternative Background Forces and Current Practice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 그 배경과 실태에 관한 고찰)

  • Hong Yeo-Shin;Rhee Seon-Ja
    • The Korean Nurse
    • /
    • v.19 no.1 s.104
    • /
    • pp.68-84
    • /
    • 1980
  • 간호사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이제까지의 병원중심-환자중심의 간호사업을 수행해 오다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건강간호사업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일차건강관리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의 배경과 실태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앞으로 국민건강사업 체계에 대한 논의에 참고자료가 되게 하고자 본 논문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고도의 과학문명의 발달과 물질적 풍요로 특징짓는 현대사회속에서도 인류의 건강문제는 영원히 충족되지 못한 상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60년대 중반까지는 의료지식 및 기계공업의 발달과 이를 뒷받침할 재정적 지원속에 세계적으로 치료의학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건강을 태생의 권리라고 규정하여 여러나라에서 사회보장제대로써 의료시해의 균점을 위한 각가지 방도를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60년대말기부터 70년대로 넘어오면서 치료의학의 발달만으로는 의료수가가 앙등되어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모든 국민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요인별로 따져보면 복잡하여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유전적 제요인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신체적인 질병의 치료만이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차보건의료사업에 중점을 두어 노력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개선방안이라는 의견이 경험적으로 이론적으로 뒷받침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조는 지역사회 건강문제가 복잡한 것과 같이 그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여러보건요원이 팀이 되어 임해야만 하며 그중에서도 간호팀의 활동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여러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간호사업의 방향은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이 실시되어야만 국민건강문제 해결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고찰되었다.

  • PDF

근로자 건강이 최우선이다

  • Lee, Sang-Su
    • 건강소식
    • /
    • v.30 no.5 s.330
    • /
    • pp.4-5
    • /
    • 2006
  • 한 사회가 근로자를 어느 정도 잘 보호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환경 변화에 대한 사회의 능동적 대처 정도를 나타내주는 징표이며, 이 문제는 국가 전체 차원의 중요한 문제이다.

  • PDF

부주의와 사고로부터 귀중한 생명을 보호하자 (4)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7 no.7 s.176
    • /
    • pp.48-50
    • /
    • 1993
  • WHO의 통계에 따르면, 매년 350만여명의 지구촌 사람들이 질병이 아닌 불의의 사고, 폭력 등으로 인해 사망한다. 그 비율은 요즘 건강상의 큰 문제인 성인병의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이 문제는 선진국보다도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진정한 의미의 건강을 위해 이 "사고"의 문제도 결코 간과할 수 없다고 판단한 WHO는 올해 보건의 날 주제를 "부상"으로 선정하고 이의 예방을 위해 나섰다. 본 내용은 WHO가 발표한 자료를 요약한 것이다.

  • PDF

건강한정신, 자살없는 사회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5 no.4 s.269
    • /
    • pp.6-13
    • /
    • 2001
  • 자살은 인류 역사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어 시대의 변화나 문화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류와 함께 있어 왔다. 우리나라는 최근 급속한 자살 사망률의 증가로 인해 자살이 심각한 보건학적,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IMF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실업, 빈곤화, 가족해체 등은 IMF경제위기 이전보다 자살사망률이 급증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기존의 가족이나 사회문제, 교육문제 등으로 인해 취약한 정신건강상태로 인해 자살욕구에 대한 전염력이 강한 청소년과 젊은 청년층에게 ‘자살 사이트’라는 인터넷 매체로의 접근은 자살이라는 전염병의 새로운 감염경로가 되고 있다. 이것은 국민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위험수위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낸다. 온전한 정신 건강은 육체적 건강을 위한 필수조건일 뿐만 아니라 활기찬 생활의 바탕이 된다.

  • PDF

A Study on Examination of Health Inequality among Dying Alone Cases (고독사와 건강불평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Hae S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311-318
    • /
    • 2019
  • Dying alone is an emerging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It is reported that most cases of dying alone showed various and chronic health problems. Despite of this situation, there existed neither medical support nor welfare services when dying. It indicated severe health inequality problems. With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lth inequality issue among dying alone cases by using news paper articles during the past three years(2016-2018).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for 89 dying alone cases. Characteristics of dying alone cases, types of illness and health problems, and unmet medical ser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directions were addressed.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and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Nursing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a City (일 도시 초·중등 학생의 보건실 이용률과 건강문제 및 보건교사의 간호수행도)

  • Kim, Jin Hee;So, Hyang 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180-19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and the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years go by sex, school locations, and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difficulty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ance that school health teachers was available to resolve students' health problems at school health room. Participants were fifty nine school health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career. As the years go by,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has gradually increased. Utilization of female than male was higher than 200%, i.e. Elementary school girls in urban area were the highest rate, and secondary school boys in urban area were the lowest. In male,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was in order the skin and subcutaneous, musculoskeletal, and digestive problems, and also was in order the skin and subcutaneous, digestive, and musculoskeletal problems in female. Utilization of in urban elementary school was higher on patricular health problem than in suburban areas. Nursing interventions of most often using were self-care management & education and counselling. Nursing intervention was the highest degree of difficulty in self-harm, seizure, circulatory health problems. In conclusions,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has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workload of school health teacher aggravated. To perform a heath teach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general and emergency health issues, the expansion of qualified school health teachers is needed, and the standardized guidelines and refresher training programs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