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관리 특성

Search Result 86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and Sexual Function in Adult Men (성인 남성의 주관적 치주건강상태와 성기능의 관련성)

  • Cheon, Sae Hee;Jeong, Seong Hwa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132-13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and sexual function among adult men. Three hundred thirty adult 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living at Changwon and Jinju. All the participants surveye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stress, and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 using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ze were adapted to access the crude and adjusted associations using PASW Statistics 18.0.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and IIEF and mos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ess and all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0.05). The sexual fun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r=-0.228, p<0.001) and stress (r=-0.257, p<0.001), respectively. In multivariate analysis,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xual function (b=-0.889, p=0.030)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ress. Therefore, it is found that perceived periodontal status negatively influenced on sexual function in adult me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of Airborne Particles Emitted During Production of Epoxy/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국외논문정보 - 에폭시/카본나노튜브 나노복합물 생산 중 방출되는 입자의 특성 및 관리)

  • Cena, Lorenzo G.;Peters, Thomas M.
    • 월간산업보건
    • /
    • s.279
    • /
    • pp.45-48
    • /
    • 2011
  • 이 논문은 나노물질을 다룰 때 발생하는 나노입자에 대한 특성과 관리방안 중 하나인 환기시설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나노관련 연구는 아직 명확한 건강상 영향이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는 않지만 산업보건에서는 새로운 분야이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향후 우리나라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iddle-aged Adults with Hypertension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요인)

  • Kim, Ki-Bo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1-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health in middle-aged with hypertension. Hypertension, a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 is a disease of increasing prevalence from middle age. To effectively manage hypertension from middle age, it is necessary to revise lifestyle based o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54 middle-age with hypertension who were 30-64 years of age among the 2014-1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gener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data analysis, compound statistics were made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n complex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ubjective health of the subjects were sex, age, economic level, number of households, home ownership, stress, quality of life,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20.4% (F = 12.58,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of middle-aged with hypertension. Appropriate lifestyle modifications are needed to effectively manage hypertension based on good subjective health awareness.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Types with Depression, Stress and Happiness in the Elderly (노년기 신체 활동 특성과 우울, 스트레스 및 행복의 관계)

  • Kang, Hee 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680-691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types with depression, stress and happiness in the elderly. The data were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2,381 cases. The results showed the level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levels of moderate recreational activity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prevalence were low. The levels of depression, stress and happiness were satisfactor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epression, stress and happiness by the level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moderate recreational activity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prevalence. The implications to enhance physical activities and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ere discussed.

The Study on the Elderly Homodialysis Patients'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혈액투석노인의 건강상태 변화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Shim, Ok Su
    • 한국노년학
    • /
    • v.30 no.1
    • /
    • pp.179-1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Health-related quality in life(HRQL)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RQL and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The subject were 443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over 65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was used in this research, in which were analysed a wide range of statistical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RQL were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Educational level, Live with spouse, Best supporter, and Number of Disease. Also the factor related to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was Number of Disease. The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accounted for 13.9% of variance in HRQL and Number of Disease accounted for an additional 7.4% of HRQL.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finally on the HRQL in the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were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and number of disease. In conclusion adequate hemodialysis treatment and soci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factors affecting HRQL in order to improve the HRQL for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Health Status and Use of Health Care Services of the Elderly Utilizing Senior citizen Centers (경로당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서비스 이용 관련요인 분석)

  • Shin, Sun-Hye;Kim, Jin-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7 no.1
    • /
    • pp.99-113
    • /
    • 2002
  • For this study a sample of 205 people, 66 males and 139 females, over 65 years of age, residing in C-gu of S-si and utilizing senior centers, were selected,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provided by health center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e o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social health status and utilization rate for health service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Lawton scale, to measure daily routine function, the MMSE-K developed by Folstein and modified to fit the Korea situation, for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CES-Dtool developed by Radloff, for emotional health status. the SPSS Window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percentages. Tests of significance were done using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 use of health serv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Of those utilizing senior citizen centers, 40.9% of males and 17.3% of the female thought they were healthy. The average score for IADL was 7.4. The daily routine of female respondents consisted of buying household articles and drugs, and other IADLs such as riding the bus or subway alone. These resulted in a higher score compared to males. For emotional health, 7.6% of the males reported depression compared to 21.6% of the females. For mental health, 48.5% of the males and 28.8% of the females were found to be in the group suspicious for dementia. On social health, 57.6% of the males and 62.6% of the females reported no intimate human relations. Of those older people who had close human relations, 52.5% of the males indicated a friend as the closest person and 53.8% of the females, their children. On use of health services,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need for mobile medical care services treatment for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and status of window/widower.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need for health exmination services for those with lower levels of exercise, greater satisfaction with sleep, higher levels of oral health care, and higher social contact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ied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long with parallel resolution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issues. It is recommended that health services for elderly people provided by the health centers be implemented with full recogni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 PDF

The Health Behavior Pattern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일부 농촌주민의 건강행위유형과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실태와의 관련성)

  • Kim, Young-Gab;Kang, Myung-Guen;Ryu, So-Yeon;Kim, Ki-Soon;Kang, Sung-Deu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9 no.1
    • /
    • pp.43-63
    • /
    • 200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patterns of health behavior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by sub-grouping them into populations with similar patterns of diet quality,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and cigarette smoking,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health behavior patterns and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of them.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22 rural residents above 20 years old on a typical rural district in Korea, 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from the survey data for health planning of a health center. Study questionnaire for this survey was developed from modifying the questionnaire for 'National Nutrition and Health Study' conducted in 1998. To classify health behavior patter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test the association of health behavior patterns with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e identified six health behavior typologies : 67.8% of the sample had a good diet quality but showed sedentary activity level(good diet lifestyle) and 10.9% had heavy smoking behavior(smoking lifestyle). Individuals included in fitness lifestyle cluster(6.2%) had high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ose in drinking life style(2.6%) had had mainly large amount of alcohol. Zero point six percent of sample were included in hedonic lifestyle cluster, who showed poor health behaviors in all. Those included in passive lifestyle(11.9%) had no activ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but tended to avoid risk taking health behavior such as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2.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with the individuals in good diet lifestyle,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of those in fitness lifestyle showed higher and that of those in smoking lifestyle, drinking lifestyle, hedonic lifestyle, passive lifestyle showed lower than them, retrospectively. 3. Adjust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to compare with the individuals in good diet lifesty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good health management practices in fitness lifestyle was higher,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health check in past 2 years was lower than them, retro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patterns between rural population and national population, which influenced significantl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of them. We suggested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m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ese points.

  • PDF

Determinants of Utilization of Postnatal Care in Kapchorwa District, Eastern Uganda (산후건강관리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우간다 동부 카프초르와 구를 중심으로-)

  • Chelangat, Irene Kapsawani;Jin, Ki-Nam;Kim, Sunmi;Um, Tae Rim;Kim, Jinjoo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6 no.1
    • /
    • pp.51-63
    • /
    • 2015
  • 목적: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중저소득국가 모성보건지표의 더딘 개선율은 MDG 5(모자보건향상) 미달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간다 동부 카프초르와 구의 모성사망과 밀접한 산후건강관리(PNC, Postnatal care)서비스 이용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건강관리자들에게 PNC 서비스 이용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MDG 5 지표 개선에 일조하고자 한다. 방법: 표본 집단은 카프초르와 구의 15세~49세 여성들 중 최근 1년 내에 출산을 경험한 자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 되었다. 조사기간은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에 총 171명이 응답하였고, 19명의 주요 정보제공자와의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PNC 이용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독립변수가 PNC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응답자의 55%만이 의료시설의 PNC 서비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응답자의 연령과 사회적 네트워크, 인지된 건강상태,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이 PNC 서비스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시설과의 거리, 가족의 규모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PNC 서비스 이용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여성의 사회적 자본 확충 및 개선을 위한 모성보건교육인 소프트 인프라 지원이 지자체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서비스 이용을 가능케 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응급후송체계 구축과 같은 물리적 인프라 지원도 도입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모성보건관리에 대한 지자체의 민감성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겠다.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위 특성에 따른 치주상태 평가)

  • Han, Gyeong-Soon;Bae, Kwang-Hak;Lee, Myeong-Ju;Choi, Jun-Seo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8 no.4
    • /
    • pp.395-401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available for being helpful to promoting periodontal health, by analyzing effects in socio-demographical and health-behavior characteristics on index of evaluating periodontal statu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the 151 adults aged 30 to 59 from October. 1, 2006 to March. 30, in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one-way of variance using SPSS 12.0. Then,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 1. sociodemographic and health-behavior characteristics is not related to O'Leary plaque index, Loe & Silness gingival index. 2. The number of sext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was higher in men(3.34) than women(2.43),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pational fields. Smoker(3.38) was higher than non-smoker(2.72), and it was higher over 3 times a week than almost no drinking as for frequence alcohol intake. 3. The amount of loss for inter-dental alveolar crest was higher in men(71.79) than women(42.24), was highest of the 'professional' in the occupational fields, and smoker(67.23) was higher than non-smoker(48.22). 4.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issing tooth between age and frequence of alcohol intake. These results that occupational fields, smoking and alcohol intake were related to the number of sext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and amount of loss for inter-dental alveolar cr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