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관련 정보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 및 지원 방향

  • Song, Ye-Ri-A;Nam, Eun-U;Mun, Ji-Yeong;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86
    • /
    • 2009
  • 목적 :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방법 : 국내외 관련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38개 건강도시 담당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 및 담당자 면접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는 SWOT 분석에 의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결과 : 국내 건강도시 응답률은 82.4%였음. 국내 건강도시는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76.3%가 작성하였음. 건강도시의 규모는 중소도시(시) 31%, 농어촌(군) 22%, 대도시(구) 47%로 조사됨. 건강도시사업 담당부서는 71%가 보건소이었으며, 건강도시업무 전담인력 보유 도시는 19%였음. 건강증진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도시는 34%에 불과하였음. 국외 현황으로는 브라질에서는 건강도시 관련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추진 방법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음. 결론 : 우리나라는 2007년도부터 건강도시협의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2008년도부터 교육훈련 비용 및 전담인력을 지원하고 있었음. 그러나 사업을 추진 중인 자체단체는 아직 예산의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족, 그리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본 청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음. 향후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침서 개발, 정부의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u-Healthcare 기반의 u-FitwWellness 시스템 제안

  • Kim, Tae-Uk;O, Hae-Seo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61-561
    • /
    • 2006
  • u-Health 관련 보건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와 건강 및 사전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건강 상담, 정보제공, 동영상 서비스 및 e-commerce등 건강 관련 서비스 시장 확대가 되고 있으나 국내 의료산업은 원무행정 분야에 대한 초기 정보화 단계에 있다. 또한 대학/종합병원들의 IT예산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종소형 병/의원/약국의 경우 IT 투자예산 확보 문제가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해 u-Health와 Wellness를 통합함으로써 BT, NT 및 IT 관련 기술을 활용하여 u-Fitwellness 시스템을 구축 ubiquitous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에게 건강과 의료관련 서비스, 제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홈 네트워킹 기반 u-Health Total solution을 통한 융합형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 하고자 한다.

  • PDF

Content Analysis of YouTube Vidoes Regarding Heated Tobacco Products: Focus on Product and Health Harm Information, and Creator Characteristics (궐련형 전자담배 YouTube 동영상 내용 분석: 제품 및 건강 유해성 정보, creator 특성을 중심으로)

  • Choi, You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2
    • /
    • pp.389-397
    • /
    • 2019
  • As the usage of e-cigarettes and its effects on health harms receive attentions, the debate over regulating e-cigarette industry's' social media marketing has been heated. While the industry has aggressively employed social media marketing such as YouTube,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what kinds of e-cigarette information is delivered to Korean viewers through YouTub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product-related information and health harm information in the videos, 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creators. The proportion of female creators was smaller than male creators, but more than female smoking rates. The results showed that product-related information such as taste, design and convenience was mentioned more than half the videos, but health ham was mentioned less. Videos which mentioned convenience and design tended to not mention health harm.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support the current regulation approach over e-cigarette YouTube marketing.

An Analysi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on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Websites and Its Implications (국내 광역대표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청소년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 분석 및 제언)

  • Hanseul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1 no.3
    • /
    • pp.431-459
    • /
    • 2024
  • In contemporary South Korea, ultra-low birth rates have become a critical social issue. Equally importan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 healthy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related to online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websites of 17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in South Korea. Using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methodologies, the study found that only two libraries (11.8%) offered 32 health-related resour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their library websites. Of these resources, 25 (78.1%) were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s, while hospitals contributed six resources (18.8%), and public institutions provided two resources (6.3%). Additionally, an evaluation of these 32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using the HON code, a recognized tool for assess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reveal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areas such as "complementarity," "attribution," "transparency of authorship," and "honesty in advertising and editorial policy." Furtherm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mparative evalu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through the search engines Naver and Google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utline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Park, Hye-Seon;Kim, Sang-Mi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121-130
    • /
    • 2024
  •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1,068 women aged 40-59, drawn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onducted in 2020, to investigate factors impacting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ologically, STATA 15.0 was employed for complex samp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s, complex sample weighted percentages, complex sample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Common factors influencing both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education level, household size, depression, and stress. Age, binge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nsurance type, employment status, and sleep disorders emerged as factors impa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cognizing middle age as a crucial transitional phase into old age, the development of health policy programs aimed at enhancing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uring this period is deemed essential.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 of women for cancer prevention (암 예방을 위한 여성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 Ha, Yan;Han, Yeo kyoung;Kang, Hye mee;kim, J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85-187
    • /
    • 2014
  • 본 논문은 여성들이 주로 걸리는 암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건강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주요 암에 대한 예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암에 대한 중상 및 관련 동영상 등 일반 정보 뿐 만 아니라 자이로 센서를 통해 요가 자세 교정 등 건강관리를 해 주게 되며, 다이어리 기능을 통해 각자 개인에 맞는 식단을 짤 수 있고 예방접종 알림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질병과 관련된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이 어플리케이션은 특히 여성을 위한, 암에 대한 주요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단순한 정보 제공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요가 기능과 다이어리 기능과 같이 사용자 개인 상황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 PDF

Content Analysis of Webzine for Gist-based Health Message Design (핵심정보 중심 건강 메시지 디자인을 위한 웹진 내용분석)

  • Cho, Young Hoan;Choi, Hyoseon;You, Myoung 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2
    • /
    • pp.192-204
    • /
    • 2014
  • Gist-based message design is essential in the Internet in which a lot of health messages are created and shared constantly.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messages in a webzine and explore a way to design gist-based health messages. A total of 72 webzin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ere selected, and text and visual messages of th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types, the frequency and position of gists, and intuitive expression. The articles were also categorize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messages through cluster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most texts of the health articles consisted of facts and methods, while most visual messages represented concepts. In addition, both text and visual messages had limitations in presenting a gist effectively. It was also necessary to explor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jargon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in health messag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design of gist-based health messages in the Internet.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elf-Perceived Health Behavior of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의 자기인지 건강행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Lee, Seong-R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607-610
    • /
    • 201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자기인지 건강행위 관련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0년 5월 3일부터 6월 3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 신경외과에 내원한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뇌졸중 환자는 건강정보가 많을수록 자기인지 건강행위에 높은 분포를 보였다(r=0.201, p<0.05). 둘째, 뇌졸중 환자의 자기인지 건강행위의 영향요인은 연령($R^2$=0.62, p=0.000), 불예측성($R^2$=0.143 p=0.006), 성별($R^2$=0.264, p=0.003), 약물 복용여부($R^2$=0.258, p=0.017)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들의 자기인지 건강행위 증진을 위하여 건강정보를 높이고 불확실성을 낮춰줄 수 있는 의학중재가 필요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Exerci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 Years (유연성 운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및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 Kim, Yu-R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2
    • /
    • pp.265-27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firming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exercise on quality of life, oral condition,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Data from the 2012 KNHNES were used, and complex sa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s of flexibility exercise on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As a result, those who controll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d not exercise flexibility had .027 times worse exercise ability among the subcategories of quality of life, and .152 times higher number of carious permanent teeth. Among th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in symptoms were 1.633 times higher in those who exercised flexibility (p<.05).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lexibility exercise has value in that it has suggested a relationship not only with general health but also with oral health.

u-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의료정보보호

  • Song, Ji-Eun;Kim, Shin-Hyo;Chung, Myung-Ae
    • Review of KIISC
    • /
    • v.17 no.1
    • /
    • pp.47-56
    • /
    • 2007
  • u-헬스케어 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질병 발생 후에 대응하는 방식의 병원 치료적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환자가 무선 의료 기기를 휴대하거나 주변 환경에 설치된 의료 장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가운데 건강관리, 질병 예방, 신속한 치료 등의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u-헬스케어 서비스가 고도화 될수록 지능화된 의료 센서나 기기에 의한 개인 생체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건강 정보의 공유가 확대될 것이다. 그러나 u-헬스케어는 개인 건강/의료 정보를 포함한 극히 개인적인 정보를 주로 다루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와 절대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의료 정보 권한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 및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다양한 취약점과 위협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u-헬스케어 서비스 연구 개발을 위해 u-헬스케어의 개요와 특성을 살펴보고, 관련 보안 이슈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대응 가능한 합리적인 기술적 대안들을 검토코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