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관련서비스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method for evaluating and scoring of health status (건강수준의 측정 및 평점화 모형의 설계)

  • Oh, Piljae;Kim, Hyeoncheol;Kwon, Hyuk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3 no.3
    • /
    • pp.239-256
    • /
    • 2020
  • Health is an important issue due to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a result, the demand for industry and services associated with individual health, health-related programs and services will be facilitated by a method to evaluate and classify the health level of an individual based on various factor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measure and score an individual health level. A credit scoring model was introduced to implement the categorization of variables, construct a prediction model, and to score individual health level. Cohort DB provid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as used to illustrate overall procedures.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odel can be utilized in designing and managing health care services as well as other health-related program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공공도서관 사서대상 소비자건강정보(CHI) 관련 교육전후의 인식변화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4
    • /
    • pp.1-29
    • /
    • 2012
  • Health literacy i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have the capac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need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decisions. Librarians should improve their health literacy as well as that of their users' in order to help library users make well-informed decis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CHI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uitable for Korean public librarians' professional development. We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fter its administration and found areas in which improvement was necessar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effects on public librarians after they completed the training: improved the public librarians' familiarity with CHI-related terms; increased education for users and diversification of resources;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which librarians used to perform CHI-related services; reduced time for reference services; increased professional knowledge in this area. However, this research represented the first time CHI-related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was performed in Korea, and therefore many limitations were present in the education instructo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the methodology.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CHI-related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accessibility among Korean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City (뉴욕 거주 한국인의 의료서비스 접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Kim-Roh Eunha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4 no.1
    • /
    • pp.61-67
    • /
    • 2000
  • 뉴욕시 정부의 이민자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 대상자간에 언어적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상호협조의 어려움은 계속되고있다. 본 연구는 뉴욕시 보건국 소속 다민족 다문화 계층의 의료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실시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뉴욕시의 한국 이민자들이 뉴욕시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의 의료시설 이용 및 서비스 수혜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 이민자들의 문화적 배경과 그로 기인한 건강 신념을 알고자하는 시 정부 차원의 요구가 이 연구의 배경이다. 즉, 한국이민 사회의 독특한 특성을 뉴욕시 정부 관련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그 이해를 높여서 한국 이민자들의 미국에서의 의료서비스 수혜의 기회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기초 관련 연구가 전무한 한국 이민자들의 건강관련 이슈를 다루기 위해 미국 센서스와 병원 입퇴원 기록 현황에 나타난 한국인 혹은 아시안의 의료보장 실태 등을 고찰하였고, 한국이민사회의 주요 기관의 대표들과의 면담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이민자들은 한국어를 주요 언어$(83\%)$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의 동화율이 낮았고, 낮은 문화 동화율은 의료 서비스 접근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 보험이 없는 것$(55\%)$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는 미국 직장에 적응하기 어려운 이민생활로 자영업을 주로 하는 생활 양태가 비싼 사 보험(private health insurance)을 사지 못하는 요인과 관련되어있다고 본다. 따라서, 주로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의 종류에도 많은 제한점이 있어서, $60\%$가 한국인 의사를 선호하며, $31\%$가 한국인 약사에게 건강관리를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사회의 의료 서비스 접근도는 극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서비스 접근을 막는 주요 장벽으로는 비싼 의료비 $(53\%)$ , 의사소통장애$(37\%)$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서비스를 위해 주로 이용하며 생활의 정보를 얻는 통로로는 한국어 신문$(69\%)$과 한국어 TV$(61\%)$, 한국어 라디오 $(57\%)$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이민자들에게 좀더 나은 의료 서비스 수혜를 위해서는 문화 친밀도가 높은 의료환경 조성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일 등과 함께 한국 이민자들이 의료보험을 살수 있도록 한국어로 된 의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u-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의료정보보호

  • Song, Ji-Eun;Kim, Shin-Hyo;Chung, Myung-Ae
    • Review of KIISC
    • /
    • v.17 no.1
    • /
    • pp.47-56
    • /
    • 2007
  • u-헬스케어 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질병 발생 후에 대응하는 방식의 병원 치료적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환자가 무선 의료 기기를 휴대하거나 주변 환경에 설치된 의료 장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가운데 건강관리, 질병 예방, 신속한 치료 등의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u-헬스케어 서비스가 고도화 될수록 지능화된 의료 센서나 기기에 의한 개인 생체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건강 정보의 공유가 확대될 것이다. 그러나 u-헬스케어는 개인 건강/의료 정보를 포함한 극히 개인적인 정보를 주로 다루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와 절대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의료 정보 권한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 및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다양한 취약점과 위협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u-헬스케어 서비스 연구 개발을 위해 u-헬스케어의 개요와 특성을 살펴보고, 관련 보안 이슈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대응 가능한 합리적인 기술적 대안들을 검토코자 한다.

Development of a Wellness Mentor Support System based on CBR (CBR 기반의 웰니스멘토지원시스템 개발)

  • Park, Seong-bin;Chung, Kyung-ryul;Kim, sa-yup;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89-390
    • /
    • 2013
  • 건강관리서비스는 금연, 절주, 식이 운동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스스로 건강을 증진하도록 평가 교육 상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에서 성공적인 건강상담사례들 중 유사한 사례를 추출하여 이를 건강관리 상담에 활용하기 위한 CBR(Case based Reasoning) 기반의 웰니스멘토지원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가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해 수집한 개인 건강관리 관련 정보로부터 운동처방 및 식이영양 처방을 위한 판단기준이 되는 변인들을 추출하였고, 변인들 간 유사도 비교를 위한 함수를 선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또한 기존의 성공사례들에 대한 DB를 구축하고 유사도 비교(Retrieve)를 통해 가장 적절한 사례를 추천하기 위한 웰니스멘토지원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웰니스멘토지원시스템을 통해 과거의 성공적인 상담사례를 참고하여 상담해줌으로써 상담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the Library's Role via the Provision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한 도서관의 역할강화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2
    • /
    • pp.117-144
    • /
    • 2019
  • Today, interest in health information has risen overall due to the aging society,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creased state's interest in reducing medical costs. Accordingly, efforts have been made acros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libraries in terms of providing health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state, yet policie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anner through the libraries have not been proposed with clarity to date. Thu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ethod to provide the health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by the libraries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policy studies, and case studies. Consequently, it proposes to build a system to integrate the health information, build an overall database of the health related information, develop and operate a health specialized library program, operate a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and build a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rel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for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e details proposed by this study is likely to contribute to developing services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citizens of this country.

Health Status and Use of Health Care Services of the Elderly Utilizing Senior citizen Centers (경로당 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리서비스 이용 관련요인 분석)

  • Shin, Sun-Hye;Kim, Jin-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7 no.1
    • /
    • pp.99-113
    • /
    • 2002
  • For this study a sample of 205 people, 66 males and 139 females, over 65 years of age, residing in C-gu of S-si and utilizing senior centers, were selected,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provided by health center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e o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social health status and utilization rate for health service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Lawton scale, to measure daily routine function, the MMSE-K developed by Folstein and modified to fit the Korea situation, for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CES-Dtool developed by Radloff, for emotional health status. the SPSS Window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percentages. Tests of significance were done using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 use of health serv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Of those utilizing senior citizen centers, 40.9% of males and 17.3% of the female thought they were healthy. The average score for IADL was 7.4. The daily routine of female respondents consisted of buying household articles and drugs, and other IADLs such as riding the bus or subway alone. These resulted in a higher score compared to males. For emotional health, 7.6% of the males reported depression compared to 21.6% of the females. For mental health, 48.5% of the males and 28.8% of the females were found to be in the group suspicious for dementia. On social health, 57.6% of the males and 62.6% of the females reported no intimate human relations. Of those older people who had close human relations, 52.5% of the males indicated a friend as the closest person and 53.8% of the females, their children. On use of health services,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need for mobile medical care services treatment for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and status of window/widower.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need for health exmination services for those with lower levels of exercise, greater satisfaction with sleep, higher levels of oral health care, and higher social contact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ied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long with parallel resolution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issues. It is recommended that health services for elderly people provided by the health centers be implemented with full recogni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 PDF

Design of Smart TV-based Integrated Gateway Solution for Wellness Service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TV 기반 통합 게이트웨이 솔루션 설계)

  • Kim, Jong-Pan;Heo, Sung-uk;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950-953
    • /
    • 2013
  • 본 논문은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변화에 따라 최근 대두되고 있는 웰니스 서비스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많은 소비자들이 여러 가지의 홈 헬스케어 개인건강기기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있지만 제조사 별 고유의 소프트웨어와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되어있어 개인건강기기마다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제공되고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인건강기기와 서비스 제공 시스템간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통합 게이트웨이 솔루션이 필요하다. 특히, 각 시스템 구성요소 간에 IEEE11073 PHD(Pelsonal Health Devices), HL7(Health Level Seven) 등의 표준을 통하여 건강정보 데이터 센싱, 취합 및 전송, 분석 및 피드백이 표준적인 방법으로 운용되어야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 환경에서 ISO/IEEE11073 표준을 준용하여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개인건강기기의 연결성을 지원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솔루션 및 헬스케어, 건강관리와 관련된 서비스를 위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앱을 설계하였다.

  • PDF

An Analyzing of the Current CHI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5 no.2
    • /
    • pp.415-437
    • /
    • 2011
  • The increased interest in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has brought about a rapid increase in CHI resources. There are diverse means for obtaining such information, and one CHI acquisition route is the public library. In the U.S. public libraries, the demand for CHI reference services is increasing, and a variety of projects to promote these services are in progress. On the other hand, Korean public library services for CHI is at a very basic level, and thus a very small amount of such research could be found. This study drew suggestions from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studies in the U.S. and Canada, and analyzed public library CHI services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Only 17.25%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provided CHI service, and it evidences very low needs and awareness for CHI services in Korea. 2) Only three kinds of services including CHI-related websites, users training, and promotional and marketing were provided, and only 13(1.74%) of libraries surveyed offered more than two kinds of services. 3) There were no CHI librarians, nor did any librarians receive CHI-related education. 4) ILL services, outreach services, and cooperation with CHI- and medical-related institutions for CHI services were not fou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research on delivery strategies for CHI servic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Diseases Management Service for Chronic desease Patients Based-on Bigdata (만성질환 환자들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질환 관리 서비스)

  • Ryu, Ga-Ae;Ahn, Da-Mi;Lee, Dong-Hee;Doung, Chankhihort;Yoo, K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1-472
    • /
    • 2016
  • 최근들어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헬스케어 서비스들이 대두되고 있고 자기 자신이 직접 건강 체크를 하기 시작한다. 또한, 자신의 건강에 대해 체크해주는 스마트 워치같은 제품들이 많이 나와있어 자신의 건강을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만성질환 환자들이 직접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리할 수 있고,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HIRA-NPS(전체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의 토픽에 관련된 내용을 가시화해서 보여주어 사용자들에게 쉽게 건강에 관련된 내용들을 보여줄 수 있다.

  • PDF